• 제목/요약/키워드: Animal feces

검색결과 502건 처리시간 0.027초

대전광역시 양축농가의 축분뇨 관리 실태 및 VOCs 농도 조사 (Investigation on the Management of Livestock Wastes and VOCs Concentration of Farms in Daejeon Area)

  • 이봉덕;이수기;오홍록;허정민;정기철;김성복
    • 농업과학연구
    • /
    • 제32권1호
    • /
    • pp.43-51
    • /
    • 2005
  • 본 조사는 대전광역시 양축농가의 축사 형태, 그리고 축분 및 축사주위의 악취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한우사는 조사 농가 중 대부분(94.5%)이 톱밥 또는 왕겨를 축사 바닥에 깔아주고 있어서 분뇨가 축사 밖으로 유출되지 않았다. 돈사의 경우는 대부분이 슬러리식을 채택하고 있었으나 아직도 일부 농가는 바닥 충전재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축사로부터의 오물 유출가능성은 없다고 판단되었다. 계사의 경우, 육계사는 전부 바닥 깔짚을 사용하고 있었고 산란계사는 스크레퍼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축사로부터의 오염물의 유출 가능성은 없다고 판단된다. 사슴사는 12개소 중 3개 소는 바닥 충전재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10개소는 재래식으로 관리되고 있었으며, 지붕설치 여부와 관련하여 볼 때 7개소는 우천 시 오물의 유출이 우려된다고 하겠다. 생분의 암모니아, 아민류 및 휘발성지방산 함량은 부숙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함황 물질인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및 에틸메르 캅탄의 농도는 부숙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축사내의 악취성분은 돈사와 육계사에서 암모니아와 황화수소가 미량 검출되었을 뿐 다른 성분은 검출한계 이하였다. 축사 외 부지경계선에서의 악취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악취감 소용 사료첨가제에 대한 축산농가의 반응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축산 시설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출은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되지만, 조사 시점이 동절기인 것을 감안하면 좀 더 세심한 배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악취저감 사료첨가제에 대해서는 제조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PDF

환경친화적인 사료의 급여가 육성돈의 성장 능력, 영양소 소화율, 분 배설량, 분뇨내 질소배설량 및 악취 가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vironment-Friendly Diets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Excretion, Nitrogen Excretion and Emission Gases in Manure for Growing Pigs)

  • 유종상;조진호;진영걸;김해진;왕기;현영;고태구;박찬수;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491-500
    • /
    • 2007
  • 세계적으로 축산 폐수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는 매우 심각하게 거론되어져 왔으며 특히 네덜란드, 덴마크, 영국 등과 같은 축산 선진 국가에서의 연구는 매우 심도 있게 이루어져 왔다. 우리 나라의 경우도 최근 들어 축산업이 대규모 전업화 혹은 기업화 되면서 가축이 배설하는 분뇨가 심각한 수질 및 토양 오염원이 됨에 따라, 정부는 이들 축산 폐수를 억제하기 위한 일환으로 환경 시행법을 법률화하고 있다. 또한 농림수산부는 시설 개선과 축산 폐수의 처리를 위한 시설 지원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환경청이나 환경 관련 단체의 활동이 강화되면서 일반 국민의 수질오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부응하는 축산인들의 자체 노력이 가세하여 축산 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질오염에 대한 경각심은 초미의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동물의 품종의 개량과 함께 생산성을 저해하는 각종 질병의 예방, 치료 약제, 성장 촉진 및 사료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물질이 사료첨가제로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동물의 성장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료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로서는 항생제(Thrasher, 1968), 효소제(권 등, 2003), 호르몬제(Chung, 1990)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축산악취저감 및 사료 효율개선 등을 위한 생균제에 관한 연구(박 등, 2001; 길 등, 2004)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양돈 산업에 있어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환경 친화적인 축산을 위하여 양돈을 하면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질소의 배설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저단백질 사료를 급여하거나 단백질 소화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소화효소제나 미생물제제, 효모제, 생균제 등을 이용하여 배설량 및 질소의 배출량을 감소시킨다는 연구들이 있었으며(민 등, 1992; Park 등, 1994), Sutton 등(1999)과 Shriver 등(2003)은 사료내 단백질 수준을 낮추고, 합성아미노산을 급여함으로써 질소 배설량을 감소시켰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친환경적인 사료 개발은 사료 효율 및 영양소 소화율의 개선, 분뇨내 질소 배출량 및 악취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저공해 사료 개발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저공해 사료 개발에 대한 시험에서는 육성돈의 사료에서 대사에너지 함량을 낮추고, α-1, 6-galactosidase와 β-1,4-mannanase를 포함한 복합 효소제를 첨가하여 성장 능력 및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료내 낮은 CP의 함량과 복합 생균제를 첨가 급여 성장능력, 질소배설량 및 악취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Fiber source and inclusion level affects characteristics of excreta from growing pigs

  • Mpendulo, Conference Thando;Chimonyo, Michael;Ndou, Saymore Petros;Bakare, Archibold Garikay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5호
    • /
    • pp.755-762
    • /
    • 2018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varying fibrous diets on fecal characteristics of growing pigs. Methods: A total of 104 pigs (initial weight $18{\pm}2.0kg$) were used in the study. They were housed in individual pens and fed on diets containing maize cob, grass hay, lucerne hay, maize stover, and sunflower husk. These fibers were included at 0, 80, 160, 240, 320 and 400 g/kg. Fecal and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Results: Fecal output was largest amongst pigs fed on diets containing grass hay and maize stover (p<0.05). Nitrogen content was highest in feces from pigs fed on sunflower husk (p<0.05). Pigs fed on diets containing maize stover and maize cobs produced the largest concentrations of short chain fatty acids. Acetate concentration was high in feces of pigs fed maize stover than those fed grass hay and lucerne hay (p<0.05). As the level of fiber inclusion increased, fecal consistency and nitrogen content increased linearly (p<0.05). Urea nitrogen decreased as the inclusion level increased across all the fibers (p<0.05), with maize cobs containing the largest content of urea nitrogen. As dietary fiber content increased, fecal nitrogen content also increased (p<0.05).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different fiber sources influence fecal characteristics, thereby having different implications on pig waste management. It is vital to monitor fiber inclusion thresholds so as to easily manage environmental pollutants such as butyrate that contribute to odors.

인분해효소를 급여한 산란계에서 배출되는 계분의 성상과 비료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position and Fertilization of Feces from Laying Hens Fed Dietary Phytase)

  • 임천익;김성준;김주은;송성은;이덕배;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5-32
    • /
    • 2022
  • 사료 내 인분해효소를 첨가급여한 산란계에서 사료섭취당 생계분 발생량의 차이는 없었다. 반면에 2,000 FTU/kg 인분해효소 처리구에서 발생한 생계분은 높은 함수율로 인하여 건계분 배출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질소, 인산, 칼리의 배출량도 모두 감축되었다(P<0.05). 부숙한 계분으로 복합비료를 제조한 결과 인분해효소 급여에 따른 퇴비의 배합량과 비료의 양분 함량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퇴비의 구성비는 25~30% 함수율의 퇴비를 사용 시에 비료 내 69.6~71.6%를 차지하였으며, 40~60% 함수율 퇴비는 비료 내 13.0~47.1%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계분처리량을 높이기 위해 계분의 함수율을 낮추기 위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계분퇴비는 함수율 조절 및 다른 원료들과의 조합을 통해 양분 균형을 맞춘 복합비료의 주원료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채종박과 밀기울에 대한 오리의 분과 회장 소화율 비교 (Comparison of Ileal and Fecal Digestibility of Canola Meal and Wheat Bran in Ducks)

  • 김지혁;강환구;방한태;황보종;최희철;김동욱;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9-75
    • /
    • 2015
  • 본 시험은 밀기울과 채종박에 대한 육용오리(Pekin종, 평균체중 3.4 kg)의 소화율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6주령 육용오리 90수를 선별하여 대사케이지에서 1주간 사육하며 소화시험을 수행하였고, 시험사료는 밀기울과 채종박을 이용하였다. 시험설계는 사료원료에 따른 3처리구, 처리구당 6반복, 반복당 5수씩을 완전임의 배치하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이 끝난 후 분과 회장에서 소화율 측정용 시료를 채취하였다. 처리구와 시료 채취 부위에 따른 일반성분의 소화율은 조단백질과 조지방을 제외한 성분들에서 기초사료의 분 소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채종박의 회장 소화율이 낮게 나타났다(P<0.01). 처리구 간 비교에서 기초 사료의 소화율이 가장 높았고, 밀기울의 소화율이 가장 낮았다(P<0.05). 분과 회장 소화율의 비교에서도 조단백질과 조지방에서는 회장 소화율이 분의 소화율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P<0.01). 처리구와 시료 채취 부위에 따른 아미노산의 소화율은 기초사료의 분 소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채종박의 회장 소화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1). 처리구간 비교에서는 필수 아미노산 중 iso-leucine, leucine 및 phenylalanine, 비필수 아미노산 중 alanine, glycine 및 tyrosine은 대조구와 밀기울 급여구, 밀기울과 채종박 급여구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들 아미노산의 소화율은 대조구가 채종박 급여구에 비해 높았다(P<0.05). 다른 아미노산들은 처리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오리에 의한 밀기울과 채종박의 소화율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들은 오리 사료의 최적 배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Effect of Feeding Aspergillus Oryzae Culture on Fecal Microflora, Egg Qualities, and Nutrient Metabolizabilities in Laying Hens

  • Han, S.W.;Lee, K.W.;Lee, B.D.;Sung, C.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3호
    • /
    • pp.417-421
    • /
    • 1999
  • This experiment examined the effects of feeding Aspergillus oryzae (AO) culture to laying hens, on fecal microbial populations, fecal pH and moisture content, egg quality, and metabolizabilities of several nutrients. Sixteen commercial 38-wk-old laying hens were randomly allotted to four diets: control; with 0.15% locally produced AO culture; with 0.3% locally produced AO culture, and; or with 0.3% imported AO. Each treatment consisted of four replicates (cages) containing one bird per cage according to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After 4 wk, AO were recovered in the feces of birds fed the AO diets, indicating that AO might pass through the fore-gut alive and become active in the hind gut. The number of Lactobacillus spp. in feces was higher in all treated groups than that of the control, indicating that AO would provide a beneficial environment for the Lactobacillus spp. to proliferate in the intestine. The number of fecal E. coli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addition of AO. A similar trend was also found for aerobic bacteria. Although not significant, fecal moisture contents tended to be reduced by the addition of AO. Fecal p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The addition of AO did not affect the various economic traits of eggs. Metabolizabilities of gross energy and dry matter measured during the 5th wk were increased by the AO supplementation. It appears that AO culture alone could be used as a probiotic supplement for layers.

An investigation of seasonal variations in the microbiota of milk, feces, bedding, and airborne dust

  • Nguyen, Thuong Thi;Wu, Haoming;Nishino, Nao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1호
    • /
    • pp.1858-1865
    • /
    • 2020
  • Objective: The microbiota of dairy cow milk varies with the season, and this accounts in part for the seasonal variation in mastitis-causing bacteria and milk spoilage. The microbiota of the cowshed may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because the teats of a dairy cow contact bedding material when the cow is resting.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termine whether the microbiota of the milk and the cowshed vary between seasons, an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crobiota. Methods: We used 16S rRNA gene amplicon sequencing to investigate the microbiota of milk, feces, bedding, and airborne dust collected at a dairy farm during summer and winter. Results: The seasonal differences in the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were marginal. The fecal microbiota was stable across the two seasons. Many bacterial taxa of the bedding and airborne dust microbiota exhibited distinctive seasonal variation. In the milk microbiota, the abundances of Staphylococcaceae, Bacillaceae, Streptococcaceae, Microbacteriaceae, and Micrococcaceae were affected by the seasons; however, only Micrococcaceae had the same seasonal variation pattern as the bedding and airborne dust microbiota. Nevertheless, canonical analysis of principle coordinates revealed a distinctive group comprising the milk, bedding, and airborne dust microbiota. Conclusion: Although the milk microbiota is related to the bedding and airborne dust microbiota, the relationship may not account for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milk microbiota. Some major bacterial families stably found in the bedding and airborne dust microbiota, e.g., Staphylococcaceae, Moraxellaceae, Ruminococcaceae, and Bacteroidaceae, may have greater influences than those that varied between seasons.

Three-step in vitro digestion model for evaluating and predicting fecal odor emission from growing pigs with different dietary protein intakes

  • Lo, Shih-Hua;Chen, Ching-Yi;Wang, Han-Tsung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0호
    • /
    • pp.1592-1605
    • /
    • 2022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an effective in vitro digestion-fermentation model to estimate the effect of decreasing dietary crude protein (CP) on odor emission during pig production and to suggest potential prediction markers through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Methods: In the in vitro experiment, three diet formulations with different CP contents (170 g/kg, 150 g/kg, and 130 g/kg) but containing the same standardized ileal digestible essential amino acids (SID-EAA) were assessed. Each diet was evaluated by two different in vitro gastric-intestinal phase digestion methods (flask and dialysis), combined with fresh pig feces-ferment inoculation. Eighteen growing barrows (31.9±1.6 kg)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diet (180 g CP/kg, without SID-EAA adjustment), 170 g CP/kg diet, and 150 g CP/kg diet for 4 weeks. Results: The in vitro digestion results indicated that in vitro digestibility was affected by the gastric-intestinal phase digestion method and dietary CP level. According to the gas kinetic and digestibility results, the dialysis method showed greater distinguishability for dietary CP level adjustment. Nitrogen-related odor compounds (NH3-N, indole, p-cresol, and skatole) were highly correlated with urease and protease activity. The feeding study indicated that both EAA-adjusted diets resulted in a lower odor emission especially in p-cresol and skatole. Both protease and urease activity in feces were also closely related to odor emissions from nitrogen metabolism compounds. Conclusion: Dialysis digestion in the gastric-intestinal phase followed by fresh fecal inoculation fermentation is suitable for in vitro diet evaluation. The enzyme activity in the fermentation and the fecal samples might provide a simple and effective estimation tool for nitrogen-related odor emission prediction in both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The Effect of Inclusion Level of Soybean Oil and Palm Oil on Their Digestible and Metabolizable Energy Content Determined with the Difference and Regression Method When Fed to Growing Pigs

  • Su, Yongbo;She, Yue;Huang, Qiang;Shi, Chuanxin;Li, Zhongchao;Huang, Chengfei;Piao, Xiangshu;Li, Def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2호
    • /
    • pp.1751-1759
    • /
    • 201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nclusion level of soybean oil (SO) and palm oil (PO) on their digestible and metabolism energy (DE and ME) contents when fed to growing pigs by difference and regression method. Sixty-six crossbred growing barrows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and weighing $38.1{\pm}2.4kg$) were randomly allotted to a $2{\times}5$ factorial arrangement involving 2 lipid sources (SO and PO), and 5 levels of lipid (2%, 4%, 6%, 8%, and 10%) as well as a basal diet composed of corn and soybean meal. The barrows were housed in individual metabolism crates to facilitate separate collection of feces and urine, and were fed the assigned test diets at 4% of initial body weight per day. A 5-d total collection of feces and urine followed a 7-d diet adaptation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 and ME contents of SO and PO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method were not affected by inclusion level. The DE and ME determined by the regression method for SO were greater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respective values for PO (DE: 37.07, ME: 36.79 MJ/kg for SO; DE: 34.11, ME: 33.84 MJ/kg for PO,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close to the DE and ME value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method at the 10% inclusion level (DE: 37.31, ME: 36.83 MJ/kg for SO; DE: 34.62, ME: 33.47 MJ/kg for PO, respectively). A similar response for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acid-hydrolyzed ether extract (AEE) in lipids was observed. The true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AEE in SO was significantly (p<0.05) greater than that for PO (97.5% and 91.1%,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DE and ME contents of lipid was not affected by its inclusion level. The difference method can substitute the regression method to determine the DE and ME contents in lipids when the inclusion level is 10%.

돈분과 돈슬러리의 성분이 열분해공정에 의한 바이오오일 생산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g Feces and Pig Waste Mixture Compositions on Bio-oil Production by Pyrolysis Process)

  • ;최홍림;신중두;백이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4호
    • /
    • pp.29-35
    • /
    • 2009
  • 바이오매스를 바이오오일로 전환시기키 위하여 오거형의 반응조를 설계,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10.2L의 반응조는 $550^{\circ}C$를 유지하며 Batch식으로 운영하였다. 돈분뇨 혼합물, 돈분 왕겨혼합물, 돈분 톱밥혼합물 등 세 가지 혼합물을 대상으로 주(主) 구성성분인 헤미셀루로즈, 리그닌, 셀루로즈, 단백질, 지질(脂質)등을 화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전섬유소 (holocellulose = hemicellulose + cellulose), 리그닌(lignin)의 함유량이 클수록 바이오오일 생산량은 많았으나, 회분(ash)함량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바이오매스기질을 평가하였으며, 돈분과 왕겨의 상관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돈분과 톱밥의 상관성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