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mal farm's wastewate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Impact of Pig Slurry from WangGoong Farm Cluster on Water Quality of the Iksan Stream

  • Choi, Hong-Lim;Suresh, A.;Babu, T.;Mansyur, Mansyur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6호
    • /
    • pp.549-561
    • /
    • 2011
  • Livestock wastewater is being discharged without treatment from Hasen's pig farm cluster in WangGoong (WG) area into the Iksan Stream, eventually flowing into the ManGyung (MG) at the upstream junction. Although it is well known that before discharge, wastewater must satisfy the pig slurry discharge standards; because of ongoing remodeling, proper treatment is not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public records, wastewater from the WG pig farm cluster is responsible for 3.6% of MG River pollution and 2.0% of the SaeManGuem (SMG) Reservoir pollution. As a result, upstream water treatment quality has become primary concern for development of the SMG project. All physicochemical constituents and pathogenic microbes, such as chemical oxygen demand ($COD_{Cr}$),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_5$), total suspended solids (TSS),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ous (TP), fecal coliforms,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at the effluent of WG Plant (S-1) exceed the effluent standards. This is mainly due to insufficient wastewater treatment: the WG Plant is under renovation to increase water purification efficiency. By comparing the water quality at the S-7 junction, where the the Iksan Stream (pig farms) and the Wanggoong Stream (no pig farms) merge, it is clear that farming facilities and improper treatment can critically affect surrounding water quality. While it is clear throughout this study that the level of all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pathogenic microbes along the Stream decreased due to sedimentation, biodegradation and/or dilution. An alarming problem was discovered: the existence of pathogenic microbe count(E coli, Salmonella) in the lagoon wastewater and the stream water. Not only were high concentrations of these pathogens themselves found, but the potential existence of more serious pathogens could rise to more dangerous conditions.

축산농가 오수가 충주호에 유입되는 지천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Livestock Farm's Wastewater on the Water Quality of Near Streams flowing into the Chungju Lake)

  • 오인환;이종현;황현섭;장영수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9-96
    • /
    • 2005
  • 축산농가가 인근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충주호 주변 3곳을 선정하여 계절별로 지천의 수질을 조사하였다. 여름철에 T-N이 상류와 하류에서 각각 최소 0.005에서 최대 5.005 ppm이 조사되었고, 인산성 인이 S2 지점의 하류에서 0.5 ppm 검출되었다. COD는 8에서 20 ppm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가을철에 총 질소는 3측정지점을 통털어 상류지점에서 최저 0.005 ppm, 하류지점에서 최고 5.005 ppm을 나타내었으며, 역시 S2 지점의 하류에서 인산성 인이 0.5 ppm을 나타내었다. COD는 3 ppm에서 6 ppm의 범위를 나타내어 여름철보다 양호하였다. 겨울철에는 총 질소가 상류지점에서 최저치 0.053 ppm을 하류지점에서 최대치 0.51 ppm을 나타내었으며, 인산성 인은 S2 지점의 하류에서만 0.5 ppm을 나타내었고, COD는 가을철과 비슷하게 3 ppm에서 6 ppm을 나타내었다. 충주호 지천의 수질분석에서 여름철보다는 가을, 겨울철로 접어들면서 수질이 양호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축산농가에서 유출되는 오수가 지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rowth of Spirulina platensis in Effluents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 of Pig Farm

  • Hong, Seok-S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19-23
    • /
    • 1993
  • Spirulina platensis NIES 39 was grown in effluents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utilizing activated sludge process at a pig farm to reduce pollutants and to produce feed resources. The addition of 2 g/l NaCl was required for the growth of S. platensis in the effluents with about 100 mg/l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 The growth was stimulated by the addition of 2 g/l sodium bicarbonate and 4 mg/l ferrous sulfate. The microorganism grew well at pH 8~11, and the optimum pH for the growth was 10. The algal concentration of 1.1 g/l was attained after 8 days of growth at the optimum condition with the removal of 95% ammonia nitrogen and 34% phosphorus.

  • PDF

오존 접촉농도가 양돈슬러리 2차 처리수의 고도처리 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zone Concentration on AOP Efficiency of Secondary Effluent from Pig Slurry Purification System)

  • 정광화;전승기;류승현;김재환;곽정훈;안희권;정만순;유용희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1-188
    • /
    • 2011
  • 돈분뇨 슬러리 2차 처리수를 대상으로 하여 오존과 과산화수소 등을 적용한 시험결과를 요약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일한 시료에 동일한 처리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경우, 주입한 오존 농도에 따라 처리수의 색도변화가 육안적으로 쉽게 확인할 정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2. BOD와 COD 그리고 색도는 처리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8.4 g/hr 오존 주입 수준에서의 제거효과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SS는 오존 적용농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질소와 인도 오존처리 효율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돈분뇨 슬러리 2차 처리수에 오존을 적용할 경우 색도 등 오염성 물질 제거효과와 더불어 생물학적 안정성 확보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4. 돈분뇨 슬러리 3차 처리수에 과산화수소수를 첨가할 경우 2차 오염에 의한 잔존세균의 감소효과 및 암모니아 발산감소로 인해 돈분뇨 2차 및 3차 처리수의 중수도 개념으로서의 재활용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착유시스템 유형별 세척수의 발생량과 특성 (Estimation of Influence of Milking System Type on Milking Center Effluent Amount and its Characteristics)

  • 최동윤;곽정훈;박치호;정광화;김재환;유용희;정만순;한창배;최홍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49-158
    • /
    • 2008
  • 본 시험은 젖소농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여러가지 형태의 착유시스템에 대하여 계절별 세척수의 발생량과 이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바켓식, 파이프라인식, 텐덤식, 헤링본식 등 착유시스템 유형별로 각각 3농가를 선정하여 계절별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착유시스템 유형별 세척수 발생량은 텐덤식과 헤링본식에서 많았으며 바켓식이 적었다 (P<0.05). 2. 착유작업별 세척수 발생량은 착유기 세척에 가장 많은 량의 세척수를 사용하였으며 여름철의 경우 텐덤식 $398.8{\ell}$, 헤링본식 $407.7{\ell}$가 다른 착유시스템보다 많은 세척수를 사용하였다 (p<0.05). 3. 착유과정에서 발생하는 세척수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 평균 $15.4{\ell}$/두였으며, 계절별로는 여름이 $16.4{\ell}$로 가장 많은 세척수가 발생되었다. 4. 착유과정에서 발생하는 세척수의 $BOD_5$는 착유실 세척시 발생하는 세척수가 $906.4mg/\ell$로 가장 높았으며, 유두 세척시 가장 낮은 $212.4mg/\ell$로 나타났다. COD, SS 등도 착유실 바닥세척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세척수의 이화학적 특성은 pH는 $7.3{\sim}8.2$의 범위로 착유작업 단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착유작업 후 착유실 외부로 흘러나오는 배출수의 $BOD_5$, COD, SS, T-N, T-P는 각각 731.2, 479.0, 751.6, 79.1, $14.7mg/\ell$였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착유시스템 유형별 세척수 발생량은 바켓식, 파이프 라인식, 텐덤식 및 헤링본식이 각각 143.9, 487.9, 914.0, $856.7{\ell}$로 조사되었으며, 착유과정에서 발생하는 세척수량은 착유우 두당 $15.4{\ell}$로 착유시스템 유형 및 착유우 사육두수에 따라 낙농가도 농가실정에 맞는 세척수 처리시설 및 용량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돼지분뇨 특성에 따른 기계교반 퇴비화시설의 적정용적 산정 연구 (Investigation on Characteristics of Swine Manure of Optimum Volume for Escalator Reversing Composting Facility)

  • 곽정훈;최동윤;박치호;정광화;김재환;유용희;윤창규;라창식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5-112
    • /
    • 2008
  • 돼지분뇨 특성에 따른 기계교반 퇴비화시설의 적정용적 산정을 위하여 돈분 및 톱밥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투입량과 발효온도, 유기물 분해율 및 수분감소율 등의 변화를 조사하여 적정 용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본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효조내 온도는 발효조내 혼합물 투입 후 4일 이상 경과해야 발효온도가 $70^{\circ}C$ 이상 유지되었으며, 발효조내 투입되는 혼합물(돈분+톱밥)의 수분함량은 평균 72.9%로 추천치보다 높게 조사되었으나, 적정수분함량 조정은 발효조 27m 지점 즉, 투입후 $5{\sim}6$일후에나 적정 수분 함량이 되었다. 2. 투입되는 열량가는 현물상태에서 평균 1,127.3kca/kg이고 질소, 인산 가리성분은 각각 1.0%, 1.1, 및 0.38%로 조사되었으며 OM/N은 26.3로 조사되었으며 완제품의 수분 함량은 평균 65.3%였으나 겨울철과 나머지 계절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3. 퇴비화과정 중의 유기물 분해율은 평균 3.53%였으며, 계절별로는 봄철이 3.88%로 가장 높았고, 가을과 여름은 각각 3.47, 3.52%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3.23%로 봄철에 비하여 약 16.8% 정도 분해율이 낮아 퇴비화기간 동안의 수분감소 량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4. 퇴비화시설의 용적 산정에 사용할 인자를 도출하기 위해 앞서 수행한 시험결과에 의거하여 돼지의 성장단계별 분뇨발생량, 계절별 수분증발량, 유기물 감소율, 용적 중 감소율, 톱밥수분량 및 계절별 수분발생량을 산출하였다. 양돈농가에서 돼지의 사육규모가 2000두를 기준으로 하여 용적을 산정시 슬러리 돈사의 경우 적정 퇴비화 용적은 여름철 $281m^3$, 겨울철 $260m^3$으로 약 7.5%($21m^3$) 차이가 났으며, 돈분뇨 및 세정수 등을 포함한 농가의 경우에는 여름철 $412m^3$, 겨울철 $359m^3$로 계절간에는 약 12.9%($53m^3$)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5. 따라서 양돈농가에서의 기계교반 퇴비화 시설을 이용하여 돈분뇨를 퇴비화 하는 경우 계절별 수거되는 돈분의 수분 함량과 유기물 분해율 및 수분증발가능량 등을 고려하여 퇴비화 용량을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