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le class III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4초

완전 편측성 구순구개열자의 하악골 형태와 위치에 관한 측모 두부 방사선학적 연구 (Cephalometric Study of the Morphology and Position of Mandible in Complete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이승욱;손우성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7-42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morphology and the position of the mandible in the complete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Craniofacial skeletal morphology pattern was analyzed on th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of the 50 subjects of complete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the 50 normal and 50 class III, Each group was divided into child and adult sub-groups, All the data were test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 In the comparison with the normal group, complete cleft group showed smaller angular, condylar length, clockwisely rotated mandible and larger NMe/SGo(p<0.01). 2, In the comparison with the class III group, the complete cleft group showed significantly smaller angular, condylar, ramal, body length of the mandible(p<0,01). 3. As for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 to the cranial base, the class III group was the most anterior, the normal group was the most posterior and the complete cleft group was in the middle(p<0.05). 4. In the comparison with child group, the normal adult group showed smaller mandibular angle and mandibular plane angle, but not the other two groups. And the complete cleft group and the class III group showed the similar change. The normal and class III group showed increased XiCd/XiPog, but not the complete cleft group(p<0.01).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측두하악관절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A radiographic study of temporomandibular joint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김성은;김재덕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3권2호
    • /
    • pp.85-90
    • /
    • 2003
  • Purpose :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ondyles in temporomandibular joints of patients presenting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Materials and Methods: Forty-two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 and thirty-seven subjects exhibiting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rior to orthodontic treatment were included in the study. Transcranial radiographs of each subject were taken at centric occlusion and 1 inch mouth open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ndibular condyles with articular fossae and articular eminences at two positional states were evaluat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The mandibular condyles of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were found to be located more anteriorly from the center of the articular fossae compared to the normal occlusion group in centric occlusion. The mandibular condyles of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were located more superiorly from the middle of articular height than those of the normal occlusion group in centric occlusion.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1 inch mouth opening, the mandibular condyles of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were placed more posteriorly from the articular eminences than those of the normal occlusion group. The mean angle of the articular eminence posterior slope were 56.51 ° ± 6.29° in the normal occlusion group and 60.37° ± 6.26° in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Conclusions: The mandibular condyles of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were placed more anteriorly at centric occlusion and more posteriorly at 1 inch mouth opening wh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occlusion group.

  • PDF

McNamara분석법에 의한 III급 부정교합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THE LATERAL CEPHALOMETRIC STUDY OF THE GROWING CHILDREN WITH CLASS III MALOCCLUSION BY MCNAMARA ANALYSIS)

  • 양규호;김지영;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12-420
    • /
    • 2001
  • 정상교합아동과 비교적 조기치료가 요구되는 III급 부정교합을 갖는 성장기 아동에서 측모 두부 방사선 계측치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7세에서 9세사이의 III급 부정교합 아동 83명과 안모가 단정하고 정상교합을 갖는 광주지역 초등학생 84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방사선촬영을 하여 McNamara 분석법을 이용한 계측치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남아에서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계측치에서 Effective maxillary length, Maxillomandibular differential, Facial axis, Nasion perp to pogonion, Point A perp to Mx 1, A-Pog line to Mn 1의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2. 여아에서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계측치에서 Nasion Perp. to Point A(p<0.05), Effective Mandibular length, Effective Maxillary length, Maxillomandibular differential, Mandibular plane angle, Point A perp to Mx 1, A-Pog line to Mn 1의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3. Effective Mandibular length는 남아에서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여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그러나 Effective Maxillary length는 III급 부정교합자가 남녀 모두에서 정상교합자보다 유의성있게 짧았다(p<0.01). 4. Anterior lower facial height는 남녀 모두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남아와 여아의 계측치 비교에서 Anterior lower facial height와 Mandibular plane angle은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 교합자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 PDF

Activator 사용전후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각 근육 활성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AN ELECTROMYOGRAPHIC STUDY ON THE CHANGES IN MUSCLE ACTIVITY IN DIFFERENT MALOCCLUSION TYPES FOLLOWING ACTIVATOR THERAPY)

  • 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5-82
    • /
    • 1996
  • 본 연구는 II급 및 III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activator사용에 따른 각 근육의 적응 및 변화양상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성장 발육기에 있는 아동중 II급 부정교합자 15명과 III급 부정교합자 17명으로 기능적 요인을 갖고있는 자로 선정하였고, 연구방법은 전측두근(T.A.), 교근(M.M.), 후측두근(T.P.), 악이복근 전복(D.A.)의 활성도를 알아보고자 $Biopak^{TM}$ program 과 쌍극표면전극을 이용하여 activator 치료 시작시기와 사용후 6-12개월 사이의 두차례에 걸쳐 안정위, 연하시, clenching등 세가지 조건에서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II급 및 III급 부정교합자와 정상교합자의 근활성도를 비교한 결과 안정위시와 연하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lenching시 교근과 후측두근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치료전 근활성도가 정상보다 작은 군은 유의성 있는 증가를, 큰 군은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이는 등 대부분의 근육이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경향은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전측두근(연하시), 후측두근(clenching시), 악이복근 전복(연하시, clenching시)을 제외하고 모두에서 보였으며 II급 부정교합군에서는 전측두근(연하시), 교근(안정위, 연하시), 후측두근(clenching시)에서만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clenching시에서 감소되었다. II급 부정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과의 근활성도 비교에서 안정위시는 III급 부정교합군의 근활성도 증가율이 II급 부정교합군보다 우세했고, 연하시에는 교근을 제외하고 II급 부정교합군이, clenching시에는 역시 II급 부정교합군이 악이복근 전복을 제외하고 우세하게 나타났다.

  • PDF

성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의 하악 소구치 발치를 통한 보상치료 (Camouflage treatment in adult skeletal Class III cases by extraction of two lower premolars)

  • Ning, Fang;Duan, Yinzho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49-357
    • /
    • 2010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성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의 하악 제1소구치 또는 제2소구치 발치 후에 치조골격성 변화와 연조직 변화를 평가하는 데 있다. 28명의 경계선상에 있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들이 연구되었다. 모든 환자는 하악 제1소구치 또는 제2소구치를 발치한 후 치료되었으며 치료 전과 치료 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paired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치료 후에 골격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치성변화에 대해 하악 전치각도가 8.1도 정도 감소하였으며 interincisal angle은 7.7도 정도 증가하였다 ($p$ < 0.01). 수평 피개는 5.7 mm로 증가하였으며 ($p$ < 0.01), L1-NB 각은 7.3도 감소하였고 L1-NB 거리는 4.8 mm 감소하였다 ($p$ < 0.01). 연조직 변화에 있어 Li-E, Li-H과 LiRL2 거리는 각각 3.2 mm, 3.4 mm, 4.1 mm 감소하였다 ($p$ < 0.01). 심하지 않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 대한 하악 소구치 발치를 통한 교정적인 보상치료는 우수한 교합관계를 달성할 수 있으며 예측이 가능한 치료 대안이 될 수 있다.

악골형태에 따른 상하악절치위치에 관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분석 (CEPHALOMETRIC ANALYSIS OF UPPER AND LOWER INCISORS IN DIFFERENTIAL FACIOSKELETAL PATTERN)

  • 김정호;권오원;김정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35-753
    • /
    • 1992
  • 악골형태에 따른 상하악절치의 위치를 분석하기 위하여 18세 이상되는 정상교합자 60명과 II급 1류 부정교합자 40명, 그러고 III급 부정교합자 40명의 측모 두부방사선규격 사진을 설정한 계측점과 계측항목에 따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저작계와 관련된 계측항목인 CI angle은 정상교합자군에서 $89.20{\pm}4.34^{\circ}$, II급 1류 부정교합자군에서 $81.68{\pm}5.95^{\circ}$, III급 부정교합자군에 $101.96{\pm}6.31^{\circ}$이었다. 상하악절치위치 계측항목의 악골형태별 비교에서 정상교합자군에 대한 II급 1류 부정교합군은 상악절치가 모든 계측항목에서 유의한 차를 보이며 순측경사져 있고(p<0.05), 하악절치도 ${\angle}LI-APog$, LI-APog(m), ${\angle}LI-AB$, LI-AB(mm)를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순측경사져 있었다(p<0.05). III급 부정교합자군은 상악절치가 ${\angle}UI-SN,\;{\angel}UI-OP$을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유의한 차를 보이며 순측경사져 있고 하악절치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설측 경사져 있었다(p<0.05). 모든 악골형태에서 ${\angle}LI-SN,\;{\angel}LI-FH$가 악골계측항목과 비교적 상관성이 있었고, FMA가 하악절치위치계측항목과 비교적 상관성이 있었다. 악골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준선은 상악절치 계측항목에서는 AB선, 하악절치 계측항목에서는 APog선이었다.

  • PDF

부정교합유형에 따른 하악와의 위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ITION OF GLENOID FOSSA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IES)

  • 김희곤;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25-432
    • /
    • 1995
  • 본 연구는 안면골의 수평적 및 수직관계가 위치한 하악와의 위치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기위해 18세 이상 성인 남녀 각 96명, 108명을 대상으로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촬영하였다. 이를 ANB각도에 따라 3개의 군($0.5^{\circ}$이하, $0.5^{\circ}-4.0^{\circ}$, $4.0^{\circ}$ 이상), SM-MP각도에 따라 3개의 군($30^{\circ}$이하, $30^{\circ}-38^{\circ}$, $38^{\circ}$ 이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안면골의 수평직 부조화관계(ANB)에서 하악와의 수평적위치(X)는 Class II, Class I, Class III 순으로 전방위치 하였다. 2. 하악와의 수평적 위치(X)는 ANB, SNB와 유익성있는 상관관계를 보이고, SNA와는 유의성이 없었다. 3. 안면골의 수직적 부조화(SN-MP)에서 하악와의 수직적 위치(X)는 low angle에서 가장 크며 medium, high angle 순이었다. 4. 하악와의 수직적 위치(X)는 SN-MP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SN-MP, SN-OP순으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전두개저의 길이는 III급 부정교합에서 가장 작았다.

  • PDF

Treatment of anterior open bites using non-extraction clear aligner therapy in adult patients

  • Suh, Heeyeon;Garnett, Bella Shen;Mahood, Kimberly;Mahjoub, Noor;Boyd, Robert L.;Oh, Heeso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10-219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and mechanism of clear aligner therapy for the correction of anterior open bite in adult nonextraction cases. Methods: Sixty-nine adult patients with anterior open bite were enrolled and classified into Angle's Class I, II, and III groups. Fifty patients presented with skeletal open bite (mandibular plane angle [MPA] ≥ 38°), whereas 19 presented with dental open bite. Fifteen cephalometric landmarks were identified before (T1) and after (T2) treatment. The magnitudes of planned and actual movements of the incisors and molars were calculated. Results: Positive overbite was achieved in 94% patients, with a mean final overbite of 1.1 ± 0.8 mm. The mean change in overbite was 3.3 ± 1.4 mm. With clear aligners alone, 0.36 ± 0.58 mm of maxillary molar intrusion was achieved. Compared with the Class I group, the Class II group showed greater maxillary molar intrusion and MPA reduction. The Class III group showed greater mandibular incisor extrusion with no significant vertical skeletal changes. Conclusions: Clear aligners can be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vertical dimension and correcting mild to moderate anterior open bite in adult nonextraction cases. The treatment mechanism for Class III patients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at for Class I and Class II patients. Maxillary incisor extrusion in patients with dental open bite and MPA reduction with mandibular incisor extrusion in patients with skeletal open bite are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ing factors for open bite closure.

악안면 골격 유형에 따른 비부 형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OSE PROFILE WITH RESPECT TO THE SKELETODENTAL PATTERN)

  • 태기출;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61-869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nose profile with respect to skeletodental pattern, by measur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the lateral cephalograms of 95 females (13 to 30 years old). Tg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antero-posterior factors of the nose - nasofrontal angle, nasofacial angle, and dorsal length / ala length ratio were different among the malocclusion groups 2.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he vertical nose factors and the skeletal factors 3. The Class I groups had a straight nose profile , the Class II groups had a convex profile ; the Class III groups had a concave profile.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열궁 폭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sal and Dental Arch Width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이해경;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2호통권91호
    • /
    • pp.117-127
    • /
    • 2002
  • 본 연구는 전후방적인 부조화가 폭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I급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을 비교하였고, III급 부정교합군내에서 수직적인 부조화가 폭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Hyperdivergent군과 Neutral군으로 나누어 폭경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골격성 III급(ANB< 0$^{\circ}$) 부정교합자 중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상에서 하악 평면각(SN-Mandibular plane; 정상인의 평균 32 ${\pm}$ 5$^{\circ}$)이 1.5 SD이상(39.5$^{\circ}$이상)인 환자 37명 (남자 18명, 여자 19명 )을 hyperdivergent군(Group B)으로, 하악 평면각이 정상치의 0.5 SD이내인(32 ${\pm}$ 2.5$^{\circ}$) 40명 (남자 20명, 여자 20명)을 neutral군(Group C)으로 분류하였고 11개의 치과대학 교정과에서 선별한 정상교합과 정상적인 안모를 가진 성인 24) 중 41명(남자 20명, 여자 21명)을 정상교합군(Group A)으로 하여 이 세 군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군내에서 수직적인 양상에 따른 폭경 비율은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2.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 하악 기저골에 대한 치아간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상악에서는 III급 부정교합군의 비율이 더 컸고(p<0.001), 하악에서는 제 1대구치 부분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III급 부정교합군의 비율이 작아서(p<0.001) III급 부정교합군이 정상교합군에 비해 기저골에 대해 상악 치아가 더 협측으로 경사되고, 제1대구치를 제외하고 기저골에 대해 하악 치아가 설측 경사되어 횡적인 치성보상이 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3.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악에 대한 하악의 치아간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모든 부분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4.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악에 대한 하악의 기저골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모든 부위에서 III급 부정교합군이 정상교합군보다 더 커서(p<0.0001)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악 기저골 폭경이 하악보다 더 좁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