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le class III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6초

Five-year investigation of a large orthodontic patient population at a dental hospital in South Korea

  • Piao, Yongxu;Kim, Sung-Jin;Yu, Hyung-Seog;Cha, Jung-Yul;Baik, Hyoung-Se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37-145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orthodontic patients at Yonsei Dental Hospital from 2008 to 2012. Methods: We evaluated Angle's classification from molar relationships, classification of skeletal malocclusion from the A point-nasion-B point angle, facial asymmetry,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TMDs) from the records of 7,476 patients who received an orthodontic diagnosis. The orthognathic surgery rate, extraction rate, and extraction sites were determined from the records of 4,861 treated patients. Results: The patient number increased until 2010 and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Most patients were aged 19-39 years, with a gradual increase in patients aged ${\geq}40years$. Angle's Class I, Class II divisions 1 and 2, and Class III malocclusions were observed in 27.7%, 25.6%, 10.6%, and 36.1% patients, respectively, with a gradual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Class I malocclusion.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 Class II, and Class III malocclusions was 34.3%, 34.3%, and 31.4%, respectively, while the prevalence of facial asymmetry and TMDs was 11.0% and 24.9%, respectively. The orthognathic surgery rate was 18.5%, with 70% surgical patients exhibiting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overall extraction rate among nonsurgical patients was 35.4%, and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first premolars were the most commonly extracted teeth. Conclusions: The most noticeable changes over time included a decrease in the patient number after 2010, an increase in the average patient age, and a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Angle's Class I maloc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periodic characterization is necessary to meet the changing demands of orthodontic patients.

Crown-root angulations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according to malocclusions: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in Korean population

  • Lee, Kyoung-Hoon;Choi, Dong-Soon;Jang, Insan;Cha, Bong-Kue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432-438
    • /
    • 2022
  • Objective: To compare crown-root angulations of the permanent maxillary anterior teeth in skeletal Class I, Class II, and Class III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using cone-bean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es. Methods: Sixty CBCT images were collected from orthodontic patients archive based on skeletal Class I (0˚< A point-nasion-B point angle [ANB] < 4˚), Class II (ANB ≥ 4˚), and Class III (ANB ≤ 0˚) to have 20 samples in each group. Mesiodistal crown-root angulation (MDCRA) and labiolingual crown-root angulation (LLCRA) were evaluated after orientation of images. Crown-root angulations were compared among Class I, Class II, and Class III groups and among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in each group. Results: LLCRAs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the lateral inciso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lass III group than those in Class I group. However, those of the canin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MDCRAs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groups either.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might affect LLCRA of the maxillary incisors, especially the central incisor.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치관-치근 각도(Collum Angle)에 대한 연구 (MAXILLARY INCISOR CROWN-ROOT ANGLE(COLLUM ANGLE) IN DIFFERENT MALOCCLUSIONS)

  • 홍희숙;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3-463
    • /
    • 1995
  •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악 중절치의 장축은 치근첨(Root Apex)과 절치단(Incisor Edge)를 연결한 선을 사용하지만 일부 부정교합 환자에서는 치관장축과 치근장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두장축이 이루는 각을 치관-치근각도(Collum Angle)라 하며, 이 각도는 교정치료의 진단 및 치료과정에 고려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 31명, 제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 30명, 제 II 급 2류 부정교합 환자 31명,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31명에서 치관-치근 각도를 계측하여 부정교합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사용되는 항목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치관-치근 각도의 평균값은 제 I 급 부정교합에서는 $3.11^{\circ}{\pm}3.54^{\circ}$, 제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는 $1.23^{\circ}{\pm}2.41^{\circ}$, 제 II급 2류 부정교합에서는 $3.77^{\circ}{\pm}4.39^{\circ}$, 제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3.90^{\circ}{\pm}4.08^{\circ}$ 이었다. 2. 제 II급 1류 부정교합군의 치관-치근 각도와 제 II급 2류, 제 III급 부정교합군의 치관-치근 각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3. 치관-치근 각도와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사용되는 다른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 제 I급 부정교합에서는 IMPA, 제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는 Wits, 제 II급 2류 부정교합과 제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Overbite이 가장 큰 상관성을 보였다.

  • PDF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환자와 구순구개열환자의 두부방사선계측치의 비교 (A cephalometric comparison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백형선;유형석;전재민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9-67
    • /
    • 2003
  • A cephalometric study was performed to reveal differences betwee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nd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The material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6 males (mean age 19.8, range 17-29) and 9 females(mean age 19.4, range 16-27) with cleft lip and palate, and 222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males 106, females 116), Cephalometric tracing and measurements were done by one investigator. Results were followed: 1. Cleft lip and palate group had more retrusive maxilla than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2, Cleft lip and palate group had smaller effective maxillary and mandibular length tha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ore prominent in the mandible than in the maxilla. 3. Dental compensation was not observed in the upper incisors of cleft lip and palate group and in the lower incisors it was smaller than skeletal Class III group. 4, In the Gonial angle and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valu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eft lip and palate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These results can be used in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and orthognathic surgery for the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PDF

Application of the foramina of the trigeminal nerve as landmarks for analysis of craniofacial morphology

  • Lim, Ba-Da;Choi, Dong-Soon;Jang, Insan;Cha, Bong-Kue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326-337
    • /
    • 2019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ew parameters based on the foramina of the trigeminal nerve and to compare them with the conventional cephalometric parameters in different facial skeletal types. Method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s and cephalograms from 147 adult patients (57 males and 90 females; mean age, 26.1 years) were categorized as Class I ($1^{\circ}$ < ANB < $3^{\circ}$), Class II (ANB > $5^{\circ}$), and Class III (ANB < $-1^{\circ}$). Seven foramina in the craniofacial area-foramen rotundum (Rot), foramen ovale (Ov), infraorbital foramen, greater palatine foramen, incisive foramen (IF), mandibular foramen (MDF), and mental foramen (MTF)-were identified in the CBCT images. Various linear, angular, and ratio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by using the foramin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 parameters and the conventional cephalometric parameters was assessed. Results: The distances between the foramina in the cranial base did not differ among the three groups. However, the Rot-IF length was shorter in female Class III patients, while the Ov-MTF length, MDF-MTF length, and Ov-MDF length were shorter in Class II patients than in Class III patients of both sexes. The MDF-MTF/FH plane angle was larger in Class II patients than in Class III patients of both sexes. Most parameters showed moderate to high correlations, but the Ov-MDF-MTF angle showed a relatively low correlation with the gonial angle. Conclusions: The foramina of the trigeminal nerve can be used to supplement assessments based on the conventional skeletal landmarks on CBCT images.

Flabby tissue를 동반하는 골격성 Class III 환자의 양악 총의치 수복 및 적합성/안정성 평가 증례 (Evaluation of suitability and stability in a skeletal Class III complete denture patient with flabby tissue: A case report)

  • 이준석;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295-301
    • /
    • 2018
  • 치조제 흡수 및 광범위한 flabby tissue가 존재하는 Class III 무치악 증례에서 의치의 유지, 지지, 안정을 얻기는 매우 어렵다. 환자는 72세의 남성으로 약 20년전 비의료기관에서 제작된 의치의 잦은 탈락과 잘 씹히지 않는다는 것을 주소로 내원하신 분이다. 본 환자의 임상검사 소견상 상악 전치부에는 심한 flabby tissue 가 존재하였으며, 골격성 Class III에 해당하는 심한 하악 전돌 양상이 관찰되었다. 먼저 임시 의치 제작으로 저작기능을 회복하고 flabby tissue의 무압인상채득을 실시하였으며, 구치부 치아 배열을 고려하여 최종 의치를 제작하였다. 이에 환자의 주소인 의치의 탈락 및 저작시 불편감이 개선되는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성인에서의 수평적, 수직적 안면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 두께의 비교 (Comparison of mandibular anterior alveolar bone thickness in different facial skeletal types)

  • 김윤수;차정열;유형석;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14-324
    • /
    • 2010
  • 본 연구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안면골의 수평적, 수직적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순설측 두께를 하악 전치 치축을 기준으로 계측하고, 하악 이부 치조골의 단면적을 비교해 형태학적 차이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20세 이상 성인 환자들의 초진 시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사용하여, 수평적, 수직적 분류 기준에 따라 9군으로 분류하여 무작위로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씩, 총 270명을 추출하였다. 수평적 골격 형태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ANB 각도가 사용되었으며, 수직적 골격 형태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하악평면각(SN-MP 각도)을 사용하였다.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에서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협설측 두께와 하악 이부 치조골의 단면적을 계측하여 형태학적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연구 결과로 high angle group은 low angle group과 average group에 비해 CEJ 하방 2 mm 부위 아래의 협설측 치조골과 모든 부위의 설측 치조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얇은 두께를 보였으며 ($p$ < 0.05), low angle group과 average group 중에서 Class I, II group은 모든 부위에서 Class I average group에 비해 유사하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두꺼운 치조골 두께를 보였다 ($p$ < 0.05). Average group 내에서 Class III group은 Class I, II group에 비해 치근 중간 부위의 협설측과 설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얇은 치조골 두께를 보였으며 ($p$ < 0.05), high angle group 중에서도 특히 Class III인 high angle group에서 더 얇은 평균 치조골 두께를 보였다. 수직적 안면 골격 형태에 따라 하악 이부 치조골의 단면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이상의 결과에서 성인의 교정 치료 시 Class III이면서도 high angle을 보이는 환자에서는 하악 전치부에서 얇은 치조골 두께를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하악 전치의 위치를 결정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비폐쇄를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아동의 기도 공간 형태와 안모 골격 형태와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irway space and facial morphology in Class III malocclusion children with nasal obstruction)

  • 정호림;정동화;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92-203
    • /
    • 2007
  • 본 연구는 비폐쇄를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아동에서, 기도 공간의 형태와 안모 골격 형태 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III급 부정교합을 보이며, 비폐쇄 소견을 보여 이비인후과로 의뢰된 환아 100명의 초진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에서 상 인두기도 공간(upper PAS), 하 인두기도 공간(lower PAS), 편도의 크기, 구개-혀 공간을 측정하여 기도 공간 형태를 분석하였으며, 통상적인 계측점을 사용하여 안면 골격 분석을 시행하여 기도 공간 형태 계측항목과 안면 골격분성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Upper PAS는 ramal height, SNA, SNB, PFH, FHR, facial plane angle 항목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gonial angle의 sum, SN-GoGn, Y-axis to SN, FMA 항목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Lower PAS는 genial angle, FMA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articular angle, facial depth, PFH, FHR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편도의 크기는 PCBL, ramal height, Mn. body length, Mn. body length to ACBL, facial depth, facial length, PFH, AFH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개-혀 공간은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genial angle의 합, facial length, AFH, FMA, LFH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IMPA, overbite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국인 부정교합자의 하악 치열궁의 크기와 형태 (Size and forms of the mandibular dental arch in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 이성준;백승학;김상철;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2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부정교합자에서 하악 치열궁간의 형태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I급 114명, II급 119명, III급 135명의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하악 모형의 교합면을 복사한 후 13개의 접촉점 중에서 가장 협측면으로 위치한 부분을 digitize 하였고 각 치아의 브라켓 위치에 해당하는 점을 하악치아의 두께에 의거하여 4개의 선계측과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치열궁의 형태는 square ovoid tapered형으로 분류하여 그 빈도를 조사한 결과 Angle 분류와 남녀 성별에 따른 특별한 치열궁 형태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특정 치열궁 형태의 빈도는 Angle 분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치열궁 크기의 계측항목에서는 대구치간 폭경에서만 남녀 성별 차이를 보였으며, 치열궁 크기에 있어서 I급과 III급. II급 부정교합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열궁 형태의 분포는 I급과 III급 부정교합군에서는 square ovoid, tapered 형태 순이었고. II급 부정교합군은 square, tapered ovoid 형태 순이었다 치열궁 형태의 빈도분포에 있어서는 남녀간의 차이는 없었다.

ROC 분석을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수평계측방법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HORIZOTAL MEASUREMENT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THE ROC ANALYSIS)

  • 최희영;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3-163
    • /
    • 1995
  • 본 연구는 III급 부정 교합을 판별하는데 있어, 수평 부조화의 진단에 이용되는 여러 진단 항목들의 진단학적 효율과 타당성을 ROC analysis로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는 연속적으로 변하는 cut-off value에서의 sensitivity와 1-specificity에 의해 그려지는 곡선으로서 진단 방법의 타당성을 결정하고, 여러 진단 방법들을 비교하는 분석법으로 알려져 있다. 부정교합자 49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X-선 계측사진과 진단모형을 이용하여, 진단모형 계측을 통해 부정교합군을 분류하였으며, 이중 III급 부정 교합자는 245명이었다. 측모 두부 X-선계측사진에서 16개의 계측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이 계측항목들과 III급 부정교합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각도 계측항목에서는 $1^{\circ}$ 간격으로, 선계측항목에서는 1mm의 간격으로 sensitivity와 specificity를 구해 ROC curve를 그렸다. 그리고, 이 계측항목들의 직접적인 비교를 위해 ROC curve 아래의 면적을 계산해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III급 부정교합을 판별하는데 있어, "Wits" appraisal이 다른 계측 항목에 비해 더 나은 진단 효율을 보였다. 2. AB plane angle, ANB angle, App-Bpp distance, AF-BF distance, APDI, N perpendicular to A 와 Pog to N perpendicular의 차이, maxillomandibular differential도 높은 진단 가치를 보였다. 3. 하악골의 위치를 평가하는 계측항목은 중정도의 진단 효율을 보였다. 4. 상악골에 대한 계측항목은 III급 부정교합의 판별에 대한 진단 가치가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