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iography, follow up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9초

콜레스테롤 식이 및 내막 손상을 통한 토끼 장골동맥 협착 전임상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Rabbit Iliac Arterial Stenosis Model Using a Controlled Cholesterol Diet and Pullover Balloon Injury)

  • 민훈;이종호;이재환;김건영;윤창진;김민욱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372-380
    • /
    • 2024
  • 목적 콜레스테롤 식이 및 기계적 혈관 내막 손상 유발을 통한 토끼 장골동맥 협착 모델을 개발하고 서로 다른 내막 손상 방법에 따른 협착 유발 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8마리의 토끼를 콜레스테롤 식이 후 풍선으로 당김 손상(pullover injury)을 가한 군(group A, 6마리), 콜레스테롤 식이 후 국소 확장 손상(localized balloon dilatation) 군(group B, 6마리), 일반 사료 식이 후 당김 손상을 가한 군(group C, 6마리)로 나누었다. 모든 군에서 혈관조영술을 시행하고 좌측 장골동맥에 직경 3 mm, 길이 10 mm의 비순응성(noncompliant)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여 당김 손상(group A, C) 또는 국소 확장 손상(group B)를 가하였다. 실험 시작 후 9주째 추적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혈관조영술상 장골동맥의 협착 정도(후기 내강 손실, 협착 비율)을 정량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A군이 9주째 추적 혈관조영술에서 가장 심한 후기 내강 손실을 보였고 32.02% ± 6.54%의 협착이 확인되었다(A군 vs. B군: 0.67 ± 0.13 mm vs. 0.04 ± 0.13 mm, p < 0.0001; A군 vs. C군: 0.67 ± 0.13 mm vs. 0.26 ± 0.29 mm, p < 0.05). B군에서는 혈관조영술상 협착이 1.75% ± 6.55%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결론 콜레스테롤 식이 및 당김 손상 기법을 이용한 기계적 내막 손상이 토끼 장골 동맥에서 유의한 협착을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이 전임상 모델은 전임상 말초동맥 질환의 질병 모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ortic arch를 포함한 Carotid angio 검사 시 Time of flight(TOF)의 유용성 평가 (Usefulness estimating of Time of flight(TOF) during Carotid angio inspection including Aortic arch)

  • 유영준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13
  • Purpose : The Carotid Angio inspection including Aortic arch applied to wide area is conducted as the Contrast Enhance MR Angiography(CEA) which is using a contrast medium. However it is a burden not only for someone such as infants, pregnant women and patients suffering from kidney failure but continuous use of contrast medium also can be a burden for patients who has been taken follow up inspection since diagnose lesion alrea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a usefulness of the Time of Flight (TOF) by comparing with CEA. Materials and methods : 10 patients with an average age of 58 (from 45 to 75) who had MRA inspection in our hospital were studied using 3.0 Tesla Aachieva (Philips, Netherland) MRI system and Sense Neuro-Vascular 16 Channels Coil. The same patient was inspected both TOF and CEA simultaneously. The TOF inspection included from Aortic arch to Willis Circle by connecting 3 TOF stacks and so did CEA inspection.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ignal to noise ratio(SNR) and contrast to noise ratio(CNR) with soft tissue by setting up an area of interest on CCA bifurcatoin, ICA, ECA, MCA and VA concerning obtained image. In case of qualitative analysis, 3 radiological technologists and 1 radiologist evaluated 4 items (1: Visibility of the blood vessel, 2: Image distortion measure, 3: Overlapping measure with vein, 4: Peripheral blood vessel description measure) into five points scale (1: Very bad, 2: Bad, 3: Normal 4: Good, 5: Very good). Results : Result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5 ROIs in case of SNR and CNR separately. Results of SNR, TOF were generally measured higher than CEA (In case of TOF were 166.1, 205.2, 154.39, 172.23, 161.95, and CEA were 92.05, 95.43, 84.76, 73.69, 88.3). But according to the result of CNR, both TOF and CEA were measured similarly as 67.62, 106.71, 55.9, 73.74, 63.46 for TOF and 67.82, 71.19, 60.52, 49.45, 64.07 for CEA. Throughout every results of each ROI, SNR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consequence (0.050.05). In case of qualitative analysis the average of each evaluated item was 4.2points and 4.28points in the item1, 2.93points and 4.55points in the item2, 4.6points and 3.13points in the item3, 2.88points and 4.6points in the item4. According to the results TOF was measured higher in the item3 while in the item2 and item4 CEA was higher and in case of the item1, both CEA and TOF were similar. To sum up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p<0.05) were shown in the item2, item3 and item4 but not in the item1 (p>0.05). Conclusions : Both TOF and CEA are complementary because each inspection has pros and cons, but when inspect wide area including Aortic arch normally CEA is conducted. But TOF inspection also can be considered as alternative in terms of patients who has difficulty in the contrast medium such as infants, pregnant women and patients suffering from kidney failure and patients during follow up.

  • PDF

May-Thurner 증후군과 동반된 하지 심부정맥혈전환자에서 혈전제거술과 스텐트삽입술 (Pharmaco-mechanical Thrombectomy and Stent Placement in Patients with May-Thurner Syndrome and Lower Extremity Deep Venous Thrombosis)

  • 전용선;김영삼;조정수;윤용한;백완기;김광호;김정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757-762
    • /
    • 2009
  • 배경: May-Thurner 증후군은 좌측장골정맥이 우측장골동맥에 의해 눌리어 정맥 환류장해에 의해 혈전증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저자들은 심부 정맥혈전중의 치료를 위해 시행한 혈전 제거-용해술 및 스탠트 삽입술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May-Thurner 증후군과 동반된 하지 심부정맥혈전증으로 진단받고 좌측 장골정맥에 스탠트를 삽입한 34명(평균연령 $64.6{\pm}13.7$세, 여자 25(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술은 흡인성 혈전제거와 혈전용해 후 분지성 협착이 있는 곳에 Wall stent를 삽입하고 풍선 확장을 하였다. Multi side hole 카테타를 혈전이 있는 부위에 위치시키고 Urokinase를 시간당 8만에서 12만 International Unit을 1일 또는 2일 동안 주입하였다. 시술 중 폐동맥혈전색전증을 방지 하기 위하여 대부분 환자에서 시술 전 일시적 하대정맥 여과기(IVC Filter)를 삽입하였다. 퇴원 후 3개월간 경구용 와파린을 투여 하였으며 퇴원 전과 퇴원 후 6개월에 Multi Detector Computerized Tomography (MDCT) 혈관촬영을 이용하여 혈전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결과: 시술 48시간 이내 부종과 동통이 완전하게 소실된 환자가 2 (6%)명이었으며 증상의 완화가 있는 환자가 28 (82%)명, 증상의 호전이 없는 환자가 4 (12%)명이었다. 퇴원 시 MDCT혈관촬영에서 9 (26%)명에서 혈전없음, 21 (62%)명에서 부분 혈전, 그리고 4명(12%)에서 폐쇄소견을 보였다. 퇴원 6개월 후에 2명을 제외한 32명이 추적 MDCT혈관촬영을 하였는데 23 (72%)명에서 혈전없음을 9 (26%)명에서는 부분혈전이 관찰 되었다. 평균 5.6개월 관찰기간 동안 2 (6%)명에서 심부정맥혈전이 재발되어 재입원하였으며 하지 부종과 통증을 동반한 혈전 후 증후군은 9예(26%)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May-Thurner 증후군과 동반된 하지 심부정맥혈전환자에서 심부정맥혈전의 제거와 혈전용해술과 함께 시술된 스탠트 삽입은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경동맥 폐관류 신티그라피를 이용한 상하지 동정맥 혈관기형의 진단과 치료 평가 (Diagnosis and Post-Therapeutic Evaluation of Arteriovenous Malformations in Extremities Using Transarterial Lung Perfusion Scintigraphy)

  • 정현우;최준영;김영욱;김동익;도영수;이은정;이수진;조영석;현승협;이경한;김병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6호
    • /
    • pp.316-321
    • /
    • 2006
  • 목적: 동정맥 혈관기형은 혈역학적 변화를 일으켜 생명에 위험을 줄 수 있으므로, 사지의 선천성 혈관기형 환자에서 동정맥 혈관기형과 비동정맥 혈관기형을 정확히 감별진단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혈관조영술과 비교하여 경동맥 폐관류 신티그라피(transarterial lung perfusion scintigraphy, TLPS)가 선천성 혈관기형 중 상하지에 위치하는 동정맥 혈관기형의 진단과 치료 효과 평가에 유용한 지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색전술/경화요법 전에 처음 TLPS를 시행 받은 57명(나이: $21{\pm}13$세, 남:여 = 26:31)이 연구대상이 되었다. 병변의 위치는 상지가 9명이었고 하지가 48명이었다. TLPS에서 폐의 시간 방사능 곡선을 이용하여 혈액 단락량을 구하였다. 모든 환자들에서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혈관기형의 해부학적 및 혈역학적 평가를 하였다. 혈관조영술로 동전맥 혈관기형이 진단된 환자들은 치료 후 TLPS를 추적 시행하였다. 결과: 혈관조영술상 16명은 동정맥 혈관기형(상지 8명, 하지 8명), 나머지 41명은 비동정맥 혈관기형(상지 1명, 하지 40명)으로 진단되었다. 동정맥 혈관기형 환자들의 치료 전 평균 혈액 단락량은 비동정맥혈관기형 환자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66.4{\pm}25.8%\;vs.\;2.8{\pm}4.3%$, p<0.0001). TLPS의 치료 전 상하지 동정맥 혈관기형을 진단하는 예민도와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93.8% (15/16), 100% (41/41), 98.2% (56/57)이었다(혈액 단락량 기준 역치 = 20%). 동정맥 혈관기형 환자 16명은 추적 TLPS를 시행하였고 이 중 13명은 치료 평가에서 혈관조영술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81.3%). 색전술/경화요법 시행 후 TLPS 혈액 단락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69.5{\pm}24.0%\;vs.\;41.0{\pm}34.7%$, p = 0.01). 결론: TLPS는 상하지동정맥 혈관기형에서 혈액 단락량의 반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며 혈관 조영술과 높은 검사결과 일치도를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TLPS는 상하지 동정맥 혈관기형의 진단과 치료 평가에 유용하다.

안면부에 발생한 동정맥루의 치험례 (Clinical Experiences of Arteriovenous Fistula on The Face)

  • 최수종;오흥찬;배용찬;남수봉;문재술;오창근;김창원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3호
    • /
    • pp.399-402
    • /
    • 2007
  • Purpose: Arteriovenous fistula is one of high flow vascular malformations. Recently, arteriovenous fistula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type of arteriovenous malformations. The patients were diagnosed as arteriovenous malformation Schobinger clinical stage II. Even though arteriovenous fistula rarely occurs on head and neck, treatment of that is difficult due to frequent recurrence. In treating the arteriovenous fistula, chemical embolization, surgical excision and other treatment modalities were used, but the results were not satisfactory. The authors experienced three cases of arteriovenous fistula and treated them with surgical excision. Methods: In cases, warmth, enlargement, pulsation, thrill, and bruit were found. For the accurate evaluation before the operation, angiography and MRI were checked in advance. Incision was made on the site of pulsation. The artery and vein connected to the arteriovenous fistula were dissected widely, individually ligated, and divided. And then the entire mass was totally removed. Results: All surgical sites were healed well without complications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recurrence in all cases up to for 2 years of follow-up examination. Conclusion: The arteriovenous fistula on face is a very rare disease and has difficulties in treatment. The authors experienced three cases of arteriovenous fistula with complete surgical removal and no recurrence was found in all cases.

The Role of Extra-Anatomic Bypass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Acute Abdominal Aortic Occlusion

  • Ilhan, Gokhan;Bozok, Sahin;Ergene, Saban;Karakisi, Sedat Ozan;Tufekci, Nebiye;Kazdal, Hizir;Ogullar, Sabri;Kucuker, Seref Alp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3호
    • /
    • pp.187-192
    • /
    • 2015
  • Background: Aortic occlusion is rare catastophic pathology with high rates of mortality and severe morbidity. In this study, we aimed to share our experience in the management of aortic occlusion and to assess the outcomes of extra-anatomic bypass procedures. Methods: Eighteen patients who had undergone extra-anatomic bypass interventions in the cardiovascular surgery department of our tertiary care center between July 2009 and May 2013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All patients were preoperatively assessed with angiograms (conventional, computed tomography, or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and Doppler ultrasonography. Operations consisted of bilateral femoral thromboembolectomy, axillo-bifemoral extra-anatomic bypass and femoropopliteal bypass and were performed on an emergency basis. Results: In all patients during early postoperative period successful revascularization outcomes were obtained; however, one of these operated patients died on the 10th postoperative due to multiorgan failure.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 mean duration of $21.2{\pm}9.4$ months (range, 6 to 36 months). Amputation was not warranted for any patient during postoperative follow-up.. Conclusion: To conclude, acute aortic occlusion is a rare but devastating event and is linked with substantial morbidity and mortality in spite of the recent advances in critical care and vascular surgery. Our results have shown that these hazardous outcomes may be minimized and better rates of graft patency may be achieved with extra-anatomic bypass techniques tailored according to the patient.

Safety and Efficacy of Flow Diverter Therapy for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Compared to Traditional Endovascular Strategy : A Multi-Center, Randomized, Open-Label Trial

  • Kim, Junhyung;Hwang, Gyojun;Kim, Bum-Tae;Park, Sukh Que;Oh, Jae Sang;Ban, Seung Pil;Kwon, O-Ki;Chung, Joonho;Committee of Multicenter Research, Korean Neuroendovascular Society,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5권6호
    • /
    • pp.772-778
    • /
    • 2022
  • Objective : Endovascular treatment of large, wide-necked intracranial aneurysms by coil embolization is often complicated by low rates of complete occlusion and high rates of recurrence. A flow diverter device has been shown to be safe and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not only large and giant unruptured aneurysms, but small and medium aneurysms. However, in Korea, its use has only recently been approved for aneurysms <10 mm.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safety and efficacy of flow diversion and coil embolization for the treatment of unruptured aneurysms ≥7 mm. Methods : The participants will include patients aged between 19 and 75 years to be treated for unruptured cerebral aneurysms ≥7 mm for the first time or for recurrent aneurysms after initial endovascular coil embolization. Participants assigned to a flow diversion cohort will be treated using any of the following devices : Pipeline Flex Embolization Device with Shield Technology (Medtronic, Minneapolis, MN, USA), Surpass Evolve (Stryker Neurovascular, Fremont, CA, USA), and FRED or FRED Jr. (MicroVention, Tustin, CA, USA). Participants assigned to a coil embolization cohort will undergo traditional endovascular coiling. The primary endpoint will be complete occlusion confirmed by cerebral angiography at 12 months after treatment. Secondary safety outcomes will evaluate periprocedural and post-procedural complications for up to 12 months. Results : The trial will begin enrollment in 2022, and clinical data will be available after enrollment and follow-up. Conclusion : This article describes the aim and design of a multi-center, randomized, open-label trial to compare the safety and efficacy of flow diversion versus traditional endovascular treatment for unruptured cerebral aneurysms ≥7 mm.

Graft Patency of No-Touch Saphenous Veins Used as Aortocoronary Bypass Grafts

  • Jeongwon Kim;Suk Ho Sohn;Jae-Sung Choi;Se Jin Oh;Ho Young Hwa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5호
    • /
    • pp.313-321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d the early, 1-year, and 3-year graft patency rates and mid-term clinical outcomes after no-touch saphenous veins (NT-SVs) were used as aortocoronary grafts i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Methods: In total, 101 patients who underwent CABG using NT-SVs as aortocoronary grafts were included. The 2 most common indications for performing aortocoronary grafting with NT-SVs were unavailability of the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n=36) and moderate lesions where flow competition was expected (n=27). Early (median, 1 day; interquartile range [IQR], 1-2 days), 1-year (median, 13 months; IQR, 11-16 months), and 3-year (median, 34 months; IQR, 27-41 months) graft angiography was performed in 98 (97.0%), 84 (83.2%), and 40 patients (39.6%), respectively.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43 months (IQR, 13-76 months). Overall survival rates and the cumulative incidence of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were evaluated. Results: The operative mortality rate was 2% (2 of 101 patients). Early postoperative patency rates for overall and aortocoronary NT-SV grafts were 98.2% (223 of 227 distal anastomoses) and 98.2% (164 of 167), respectively. The 1- and 3-year patency rates for aortocoronary SV grafts were 94.9% (131 of 138) and 90.6% (58 of 64), respectively. The overall survival rates at 5 and 10 years were 81.7% and 59%, respectively. The cumulative incidence of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at 5 and 10 postoperative years was 20.7% and 39%, respectively. Conclusion: The feasibility of using NT-SVs as aortocoronary grafts in CABG was shown in this study, based on the graft patency rates up to 3 years and the mid-term clinical outcomes.

심장 점액종의 외과적 치료: 20년 임상경험 (Surgical Treatment of Cardiac Myxoma: A 20 Years of Experiences)

  • 서홍주;오삼세;김재현;이길수;백만종;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4호
    • /
    • pp.288-291
    • /
    • 2007
  • 배경: 심장 내의 점액종은 심장 내 모든 종양의 약 반수를 차지하며 그 중 75%는 좌심방 내에 발생하나 우심방, 드물게는 심실 내 점액종도 보고되고 있다. 대개의 증상은 혈행장애나 색전에 의한다. 진단은 다른 심질환을 합병하지 않는 한 심초음파만으로 가능하며 치료는 조기에 수술적인 제거로 거의 완치가 가능하다. 대상 및 방법: 1984년 7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심장 점액종을 수술한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 검토를 통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걸과: 환자의 연령은 12세에서 76세 사이로 평균 $53.5{\pm}14.0$세였고 여자가 38명(67%), 남자가 19명(33%)이었다. 술 전 증상으로는 운동 시 호흡곤란이 27예에서 있었고, 심계항진이 4예, 흉통이 9예, 실신을 경험한 경우가 4예 있었다. 진단방법으로 6예에서 심장초음파와 CT 및 혈관 조영술이 진단에 이용되었으며 나머지 51예에서는 심장초음파검사만으로 충분하였다. 수술 소견상 점액종의 부착 부위는 심방중격이 50예, 승모판막윤이 3예, 좌심방벽이 4예였으며 점액종의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였다. 점액종을 제거하기 위한 접근방법으로 3예에서는 우심방 절개를 통한 중격절제를, 33예(58%)에서는 양심방 절개를 시행하였으며, 좌심방을 통해 15예(26%), inverted T incision을 통해 3예, 확장된 중격절제를 통해 3예를 수술하였다. 총 추적기간은 1개월부터 229개월까지로 평균 $84.0{\pm}71.3$개월이었고, 추적 관찰 도중 손실된 5명을 제외하고 수술로 인한 조기 및 만기 사망 예는 없었으며 외래 추적 중 재발도 없었다. 결론: 심장점액종은 판막질환이나 관상동맥질환 등 다른 질환 등과 구별하기 어려운 임상적 증상을 보이면서 색전에 의한 사망률 및 이환율이 높고 재발하는 경우도 있으며 진단과 동시에 특별한 부적응증이 없는 한 수술로써 근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함께 보다 완벽한 절제가 요구된다.

관상동맥우회 재수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xperiences of redo-CABG)

  • 임상현;곽영태;이삭;장병철;강면식;조범구;유경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1호
    • /
    • pp.779-784
    • /
    • 2002
  • 최근 들어 관상동맥 질환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관상동맥 우회술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관상동맥 우회술은 영구적인 완전 교정술이 아니기 때문에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저자들은 관상 동맥우회 재수술의 임상결과를 후향적 방법으로 고찰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연세 심장혈관 병원에서 관상동맥우회 재수술을 시행 받은 1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12명, 여자:2명), 평균 연령은 61.7$\pm$7.1(47~72세) 세였다. 처음 수술 받은 날부터 재수술시까지의 평균 기간은 121.9$\pm$50.5(6.1~179.6 개월) 개월이었다. 재수술시 13명의 환자들은 일반적인 심폐체외순환하에 수술을 하였고 1명의 환자는 심폐체외순환 없이 수술을 시행하였다. 동반 수술로는 1명의 환자에서 승모판막 재치환술을 시행하였고, 1명의 환자에서는 승모판막륜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재수술은 모두 정중 흉골절개하에 시행하였다. 재수술시 사용한 이식 혈관은 좌측 내흉동맥과 대 복재정맥을 사용한 경우가 6례, 좌측 내흉동맥과 좌측 요골 동맥을 사용한 경우가 2례, 좌측 내흉 동맥과 위장관 동맥을 사용한 경우가 1례, 대 복재정맥만을 사용한 경우가 5례(1례는 cephalic vein도 같이 사용) 있었으며, 평균 이식 편수는 2.1$\pm$0.9(1~4개) 개였다. 결과: 14명의 환자들 중에서 수술과 관련한 사망이나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은 신부전증, 호흡부전 및 경막하 출혈이 각각 1례 있었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40.1$\pm$38.6(1.1~l18.5) 개월 이었다. 추적기간 중 1명의 환자가 재수술 후 13개월에 협심증이 재발했고, 2명의 환자가 재수술 후 14.8개월 및 116.3개월에 만성 신부전증으로 사망하였다. 추적 기간 중에 3명의 환자에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는데 이식 혈관들은 모두 개존성을 보였다. 마지막 외래 내원시 생존 환자들의 평균 Canadian class는 1.3이었고, 재수술 후 9년까지 사건(event)이 없을 확률은 71.4$\pm$6.9%였으며, 생존률은 90.0$\pm$9.5%였다. 결론: 관상동맥우회 재수술은 수술 후에 환자 상태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고, 장기간의 생존률도 우수하기에, 수술적응이 된다면 수술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