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iographic featur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The Angiographic Feature and Clinical Implication of Accessory Middle Cerebral Artery

  • Kim, Myoung-Soo;Lee, Hyun-Ko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5권5호
    • /
    • pp.289-292
    • /
    • 2009
  • Objective : Although there are several descriptions of this vessel, there is no detailed angiographic study of the accessory middle cerebral artery (AMCA) in Korea. We describe the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ortical territory and origin of AMCA and discus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is anomaly. Methods : We searched for patients with AMCAs from a retrospective review of 1,250 conventional cerebral angiograms. We determined the origins, diameters and cortical territories of these AMCAs. Results : Fifteen patients (15 of 1250 = 1.2%) had 16 AMCAs (one patient had bilateral AMCAs). AMCAs originated from the distal A1 in eleven cases, middle A1 in two, proximal A1 in two, and proximal A2 in one case. All AMCAs followed a course parallel to the main middle cerebral artery (MCA). All but three of these arteries were smaller than the main MCA. Thirteen of the smaller diameter AMCAs had cortical distribution to the orbito-frontal and prefrontal, and precentral areas. Three AMCAs had diameter as large as the main MCA. These three supplied the orbito-frontal, prefrontal, precentral, central and anterior-parietal arteries. Conclusion : The AMCAs originated from A1 or A2. Most had smaller diameter than the main MCA. The AMCAs coursed along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MCA, but supplied the orbital surface, the anterior frontal lobe and sometimes wider cortical territory, including the precentral, central, anterior-parietal areas.

Giant Serpentine Aneurysm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 Lee, Seung-Joo;Ahn, Jae-Sung;Kwun, Byung-Duk;Kim, Chang-Ji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8권2호
    • /
    • pp.177-180
    • /
    • 2010
  • Giant serpentine aneurysms are rare and have distinct angiographic findings. The rarity, large size, complex anatomy and hemodynamic characteristics of giant serpentine aneurysms make treatment difficult. We report a case of a giant serpentine aneurysm of the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MCA) that presented as headache. Treatment involved a superficial temporal artery (STA)-MCA bypass followed by aneurysm resection. The patient was discharged without neurological deficits, and early and late follow-up angiography disclosed successful removal of the aneurysm and a patent bypass graft. We conclude that STA-MCA bypass and aneurysm excision is a successful treatment method for a giant serpentine aneurysm.

Alagille 증후군 환아에서 발생한 Moyamoya병 1례 (A Case of Moyamoya Disease in a Child with Alagille Syndrome)

  • 임미랑;이소연;김덕수;김경모;고태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86-90
    • /
    • 2003
  • Alagille 증후군은 간내 담도 형성 부전으로 인한 만성 담즙 정체, 말초 폐동맥 협착, 골격 이상, 눈의 이상, 특징적인 얼굴 모양 등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말초 폐동맥 협착 이외에도 여러 말초 혈관 병변들이 동반된다. 관련된 유전자로 20번 염색체 위에 존재하는 JAG1이 발견되었고, 이 유전자의 결손으로 인한 Notch 신호전달체계의 결함이 혈관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고 있다. Alagille 증후군에서 만성 뇌동맥 폐색질환인 moyamoya병이 발생한 예들이 보고된 바 있는데, Alagille 증후군의 혈관병증의 또 다른 한 발현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들은 생후 2개월에 Alagille 증후군을 진단받고 추적 관찰 중에 갑자기 편측 마비가 발생하여 뇌혈관 조영술을 통해 moyamoya병을 진단받은 25개월 여아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Post MI Cardiogenic Shock 환자에서 조기 IABP 및 Reperfusion Therapy의 효과 (The Effect of Early IASP and Reperfusion Therapy in Patient of Post MI Cardiogenic Shock)

  • 이종석;김민경;김웅;김형준;배준호;박종선;신동구;김영조;심봉섭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31-38
    • /
    • 2000
  • 저자들은 심인성 쇽을 동반한 급성 심근 경색 환자에서 조기 IABP와 재관류 치료가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심인성 쇽 환자에서 IABP는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심인성 쇽 환자에서 재관류 치료와 병용하여 IABP를 사용한 경우에 대한 국내의 정보는 부족하다. 심인성 쇽을 동반한 심근 경색 환자 28명을 조기 IABP군(심근 경색 시작부터 12시간이내에 IABP를 시술)과 만기 IABP군(심근 경색 시작부터 12시간 이후 IABP시술)으로 구분하여 임상 양상, 관상 동맥조영 소견, 병원 내 사망률을 비교, 조사하였다. 양군 사이에 임상 양상 및 관상 동맥 조영 소견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28명의 환자 중 7명은 혈전 용해제를 시행하였고, 21명은 관상 동맥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조기 IABP군의 사망률은 4명(25%)이었고, 만기 IABP군의 사망률은 8명(66%)이었다(p<0.05). 또한 양 군간에 심근 경색 발생후 관상 동맥 성형술 시술까지의 시간은 전자는 평균 6시간, 후자는 평균 13시간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는 심인성 쇽을 동반한 심근 경색환자에서 조기에 재관류 치료와 IABP를 시행하는 것이 병원내 생존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