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elica SPP.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강원도 재배 참당귀 및 일당귀의 활성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ison of Activity of Angelica Gigas and Angelica Acutiloba from Kangwon)

  • 이선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158-1162
    • /
    • 2008
  • In genus Angelica, three species have been used and cultivated for medical material in orient, A. gigas in korea, acutiloba in Japan and sinensis in China. The plant material of Angelica spp.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women's disease as a hematic. The extracts from A. gigas and acutiloba were fractionated aqueous partitions. And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DPPH scavenging activities, BSA degradadion, anti-apoptosis and NO scavenging.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was measured by DPPH method, it was shown dose-dependently effect. and BSA degradadion was shown same result. Treatment of cells with hydrogen peroxide, a reactive oxygen species was to indiced cell death and pretreatment with Angelica gigas and angelica acutiloba extract attenuated the occurrence of $H_2O_2$-induced cell death. In vitro nitric oxide (NO) scavenging effect on Angelica gigas and angelica acutiloba extracts. All extracts effectively reduced the generation of NO radicals in a dose-dependant manner.

근적외선분광법, 전자코 및 엑스선형광법을 이용한 당귀의 기원판별법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scrimination of Angelicae Gigantis Radix by Near-infrared Spectroscopy, Electronic Nose and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 조창희;김수정;김효진
    • 약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61-167
    • /
    • 2002
  • Angelicae gigantis radix is the root of the perennial plant, which belongs to the family Umbelliferae. However, this herbal drug is represented quite different chemical components according to its different genus name, though other herbal drugs (i.e. Leonuri Herba, Xanthii Fructus and so on) show similar constituents on the same name. The root of Angelica gigas containing the coumarin compounds is commonly used in Korea, while Angelica sinensis and Angelica acutiloba including phthalide compounds are used in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as Angelicae gigantis radix. In this paper, a nearinfrared spectroscopic method was developed to determine genus name of Angelica spp., especially A. gigas and A. sinensis which are commonly misused in herbal markets.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and electronic nose have been also applied as nondestructive methods to discriminate A. gigas from A. sinensis according to their specific properties.

Didymella gigantis sp. nov. Causing Leaf Spot in Korean Angelica

  • Gyo-Bin Lee;Ki Deok Kim;Weon-Dae Cho;Wan-Gyu Kim
    • Mycobiology
    • /
    • 제51권6호
    • /
    • pp.393-400
    • /
    • 2023
  • During a disease survey in October 2019, leaf spot symptoms with a yellow halo were observed on Korean angelica (Anglica gigas) plants grown in fields in Pyeongchang, Gangwon Province, Korea. Incidence of diseased leaves of the plants in the investigated fields ranged from 10% to 60%.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wo single-spore isolates from the leaf lesions indicated that they belonged to the genus Didymell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using combined sequences of LSU, ITS, TUB2, and RPB2 regions showed distinct clustering of the isolates from other Didymella species. In addition,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s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closely related Didymella spp. Therefore, the novelty of the isolates was proved based on the investigations. Pathogenicity of the novel Didymella species isolates was confirmed on leaves of Korean angelica plants via artificial inoculation. This study reveals that Didymella gigantis sp. nov. causes leaf spot in Korean angelica.

당귀(Angelica spp.)의 기원분석에 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현황 및 향후과제 (Current status on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for differentiation of the origin of Angelica spp.)

  • 이신우;이수진;한은희;신의철;조계만;김윤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2-18
    • /
    • 2017
  • 당귀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국가에서 유용하게 이용되는 한약재이다. 그러나 국가마다 그 기원을 달리하기 때문에 혼 오용이 심하고 국제시장에서 혼란을 불러일으킬 소지가 다분하다. 따라서 오래전부터 형태학적, 세포유전학적 분석과 지표성분을 이용한 화학적 판별 마커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재배환경과 수확 후 가공 및 처리방법에도 비교적 안전한 유전자 단편의 염기서열 비교분석을 통한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적용한 판별기술의 개발에 관한 연구결과 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들 기술의 실용화를 통한 현장 적용에는 한계가 있으며 보다 많은 후속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문제점을 논하고 향후 필요한 추가 연구 과제들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Fungus gnats, Bradysia spp.의 기주 및 피해증상 (Host Plant and Damage Symptom of Fungus Gnats, Bradysia spp. (Diptera: Sciaridae) in Korea)

  • 이흥수;김태성;신현열;김형환;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9-153
    • /
    • 2001
  • Fungus gnats, Bradysia spp.의 기주를 조사한 결과 오이, 멜론, 수박, 애호박, 토마토, 고추, 파프리카, 백합, 카네이션, 장미, 거베라, 국화, 호접란, 글라디오러스, 생강, 천궁, 작두콩, 신선초, 등굴레, 소나무, 해송 등 21종이 조사되었고 이들 유충은 작물의 지제부나 뿌리근권을 가해하여 뿌리절단, 줄기내 침입 등으로 생육저해, 시들음 증상, 식물체 고사의 원인이 된다.

  • PDF

당귀의 재배 및 유통과정 중 생물적 위해요소 분석 (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Angelica gigas Nakai on Production and Marketing Steps)

  • 박경훈;김병석;이정주;윤혜정;김세리;김원일;윤종철;류경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216-1221
    • /
    • 2012
  • 재배과정, 수확, 가공 및 유통 단계에서 당귀의 미생물적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뿌리, 토양 및 관개수를 포함한 111개의 시료가 생산과정과 유통과정에서 호기성균, B. cereus, coliform, E. coli,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와 S. aureus를 조사하기 위해 수집하였다. 재배과정에서 당귀의 뿌리에서 일반세균수는 6.71 log CFU $g^{-1}$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4.13 log CFU $g^{-1}$, B. cereus는 3.54 log CFU $g^{-1}$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수확에서 가공 단계까지 모든 가공 과정에서 대장균군과 B. cereus의 오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절단 과정에서 미생물오염도가 높게 확인 되었다. 유통과정 중인 당귀에서 일반세균수는 5.6~6.0 log CFU $g^{-1}$, 대장균군은 2.4~2.6 log CFU $g^{-1}$, B. cereus는 5.4~6.0 log CFU $g^{-1}$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모든 시료에서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해미생물의 오염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위생적인 토양관리 및 수확 후 관리가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당귀의 종별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the Three Species of Genus Angelica)

  • 유홍섭;박충헌;박춘근;김영국;박희운;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3-46
    • /
    • 2004
  • 당귀는 우리 나라는 참당귀 (Angelica gigas), 중국은 중국당귀 (A. sinensis) , 일본은 일당귀 (A.acutiloba)를 각각 같은 용도의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일당귀는 과거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재배되고 있으며, 중국당귀는 ‘97년 이후 종자를 도입하여 재배하였으나 실패하여 농가의 피해가 발생한다. 이들 종의 생산성과 중국당귀의 국내 적응성을 수원 (해발 50 m), 진부 (해발 500 m), 태백 (해발 700 m) 3개지역에서 시험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당귀, 일당귀는 3개 지역 모두 정상적으로 생육되고 수확이 되었다. 2. 중국당귀의 생존율은 테백 70.3%, 진부 45.2%, 수원 4%로 수원에서는 7월 이후 고온기에 고사되었다. 3. 중국당귀의 10a당 수량은 태백 160 kg, 진부 127 kg, 수원 8 kg으로 태백, 진부에서는 수확이 가능하였으나 수량이 극히 낮았으며, 수원에서는 생산이 불가능하였다. 4. 중국당귀는 해발 500 m 이하에서는 생존율이 극히 낮으며, 해발 700 m 이상의 높은 지역에서는 생존은 가능하나 생산성이 낮아 국내생산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 생약의 항혈전활성 (Antithrombotic Effects of Some Traditional Plant Medicines)

  • 윤혜숙;정교순;김문희;오재희
    • 생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4-158
    • /
    • 1995
  • Twentyfive plant crude drugs with traditional reputation were selected for the antithrombotic screening. MeOH (80%) extract of each plant was given (500 mg/Kg, p.o.) to mice 1 hr prior to the thrombotic challenge (1.8 mg collagen plus 180 ug epinephrine/Kg, i.v.). Seven extracts (1, 2, 8, 10, 18, 22 and 23) showed either comparable or better recovery than aspirin (50 mg/Kg, p.o.) from paralysis caused by the pulmonary thrombosis. 1, 2, 8, 10, 18, 22 and 23 were fractionated to $CH_2Cl_2$ soluble (fr I) and $H_2O$ soluble (fr II) fractions and each fraction (100 mg/Kg, p.o.) was also tested. Mice treated with fr I of 2 (Angelica koreana), 10 (Corydalis spp.) or 23 (Schizonepeta tenuifolia) showed higher recovery and lower mortality rates than aspirin (50 mg/Kg, p.o.) treated mice.

  • PDF

유용 자원식물의 진균성 신병해(VI) (New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 (VI))

  • 신현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73-483
    • /
    • 1998
  • This paper is the sixth report about the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observed newly in Korea. It contains short descriptions on symptoms, occurrence conditions, pathogens, and some phytopathological notes for each of 10 fungal plant diseases. They are identified as circular leaf spot of Ligustrum ovalifolium by Cercospora adusta, leaf spot of Viola spp. by c. violae, leaf spot of Trifolium repens by C. zebrina, hypophyllous leaf sot of Angelica gigas by Passalora depressa, brown leaf spot of Euonymus japonicus by Pseudocercospora destructiva, brown leaf spot of Lonicera japonica by P. lonicericola, brown leaf spot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by P. vitis, black spot of Echinops latifolius by Ramularia cynarae, leaf spot of Petasites japonicus by R. major, and leaf spot of Plantagoasiactica by R. plantaginis,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