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eurysm, thoracic aortic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36초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of Bicuspid Aortic Valve and Related Abnormalities of the Heart and Thoracic Aorta

  • You Jin You;Sung Min Ko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0호
    • /
    • pp.960-973
    • /
    • 2023
  • The bicuspid aortic valve (BAV) is the most common congenital cardiovascular malformation. Patients with BAV are at higher risk of other congenital cardiovascular malformations and valvular dysfunction, including aortic stenosis/regurgitation and infective endocarditis. BAV may also be related to aortic wall abnormalities such as aortic dilatation, aneurysm, and dissection. The morphology of the BAV varies with the presence and position of the raphe and is associated with the type of valvular dysfunction and aortopathy. Therefore, accurate diagnosis and effective treatment at an early stage are essential to prevent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BAV. This pictorial essay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s of BAV and its related congenital cardiovascular malformations, valvular dysfunction, aortopathy, and other rare cardiac complications using multimodal imaging.

Bentall씨 수술후 발생한 상행대동맥 가성동맥류 치험 1례 (Surgical Treatment of the Pseudoaneurysm of the Ascending Aorta after Bentall Operation)

  • 홍종면;안혁;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9호
    • /
    • pp.926-929
    • /
    • 1991
  • A 31 year-old male patient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of the pseudoaneurysm of the ascending aorta complicating after the Bentall operation, He had undergone the replacement of the ascending aorta using the composite valved graft with direct coronary reimplantation under the diagnosis of the annuloaortic ectasia of ascending aorta associated with Marfan syndrome. Eleven months after the operation, he started to feel dyspnea and anterior chest pain, and was diagnosed as pseudoaneurysm around the ascending aortic graft. The second operation consisted of the dacron patch closure of the defect of the aortic graft which was the hole for previous coronary reimplantation, and the anastomosis between the coronary orifice and the aortic graft with the intermediate graft of a 10mm woven dacron tube, and suture closure of the fistula opening from the aneurysm. His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discharged without complication. He is doing well 10 months postoperatively.

  • PDF

급성 하행대동맥 박리증에서 스텐트-그라프트 삽입 후 새로이 발생한 원위부 대동맥류에 대한 인조혈관 대치술 치험 1예 (Management for the Newly-Onset Aneurysmal Dilation of the Distal Aorta after an Endovascular Stent Graft Procedure for the Patient with Acute Aortic Dissection Type IIIb)

  • 이길수;방정희;조광조;성시찬;우종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427-430
    • /
    • 2003
  • 합병증이 있거나 수술의 적응증이 되는 대동맥 질환 사망률과 이환율이 높지만 수술기법이 난해하고 적지 않은 수술부작용이 발생하는 바, 최근 들어 이들 질환을 혈관내 스텐트 삽입술로 치료하려는 시도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인 반면에 적합한 적응증 및 시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에 대한 논의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저자들은 하행 대동맥 박리증으로 혈관내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한 후, 원위부 흉복부 대동맥류가 커져 관류부전의 징후를 보인 환자를 수술적인 방법으로 교정하여 성공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관상동맥 우회술;심마비액을 사용하지 않은 수술방법 (Aortocoronary Bypass Surgery; with Noncardioplegic Myocardial Protection)

  • 서동만;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4호
    • /
    • pp.276-281
    • /
    • 1993
  • During the 3 years through December 1992, 118 cases of coronary bypass graft were performed at Department of Cardiothoracic Surgery, Asan Medical Center. They consisted of 80 males and 38 females with the mean age of 59. History of myocardial infarction was noted in 23 cases[20%], congestive heart failure in 11[10%], left ventricular aneurysm in 6, postinfarct VSD in 2, and mitral regurgitation in 1. The angina was stable in 13 cases, and unstable in 104 cases[89%]. Left main stem disease were 41 cases[35%], triple vessel 36[31%], double vessel 30[26%] and single vessel involvement[LAD] in 10. We performed 335 distal bypasses out of 117 cases, with single bypass in 9, double 29, triple 52, quadruple 23, and quintuple 4. Myocardial protections were cardioplegia in 29 and intermittent aortic occlusion 79 and continuous aortic perfusion 7. The ischemic time per graft was 13 minutes[intermittent aortic occlusion group] and 20 minutes [cardioplegia group] respectively, and the mean number of graft per patient is 2.85. Early mortality was 6.8% [8/117]. If we exclude the patients with LV aneurysm, the surgical mortality could be downed to 4.5% [5/111]. The causes of deaths were cardiogenic shock[6], aortic dissection[1], and neurologic complication[1]. We conclude that noncardioplegic myocardial protection may be equally beneficial or sometimes advantageous to cardioplegic technique in aortocoronary bypass graft surgery.

  • PDF

좌관상동맥동과 비관상동맥동이 좌심실로 파열된 발살바동 동맥류 (Ruptured Sinus of a Valsalva Aneurysm into the Left Ventricle with the Rupture Site Communicating with the Left Coronary Sinus and the Left Noncoronary Sinus)

  • 이홍규;김근직;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96-99
    • /
    • 2009
  • 좌관상동맥동과 비관상동맥동에서 발생하여 좌심실로 파열된 발살바동 동맥류에 기인한 울혈성 심부전을 주소로 내원한 37세 남자 환자의 수술적 체험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술전 심초음파에서 발살바동 주위의 낭성 구조물이 관찰되었고 좌심실 비대와 심한 대동맥판폐쇄부전이 관찰되었고 발살바동맥류와 대동맥-좌심실터널을 감별진단의 범주에 두었다. 수술 소견에서 좌관상동맥동과 비관상동맥동 모두 좌심실로 통하는 누공을 가지고 있었다. 좌심실로 파열된 누공은 bovine pericardium으로 봉합하였으며 대동맥근부는 21 mm St. Jude Epic Supra tissue valve와 24 mm Hemashild의 복합도관을 사용하여 교정된 Bentall 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15일째 퇴원하였으며, 2개월간 정기적으로 외래추적 관찰중이다. 이에 저자들은 본 질환의 희귀성과 함께 수술적 방법을 알리고자 증례보고 하는 바이다.

원위부에 스텐트가 포함된 인조혈관 (Frozen Elephant Trunk)을 이용한 대동맥궁 동맥류 수술 (Aortic Arch Aneurysm Repair using a Prosthetic Graft with a Pre-mounted Distal Stent (Frozen Elephant Trunk))

  • 장형우;정의석;최진호;임청;박계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75-379
    • /
    • 2009
  • 원위부 대동맥궁에 발생한 대동맥류에 대한 수술을 위해서는 정중흉골 절개술 또는 측방개흉을 통한 수술방법이 있으나 문합 부위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자주 있다. 수술 대신 중재시술로 스텐트 그라프트를 삽입하는 방법 또한 가능하지만 동맥류보다 근위부에 충분한 고정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대동맥궁 분지 일부를 결찰하고 우회로를 조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제한이 있다. 저자들은 이들 방법의 장점을 취하고자 정중흉골절개술 후 완전 순환 정지 상태에서 대동맥궁을 치환하는 수술 중 외과적 문합 대신 스텐트 그라프트를 이용하여 인조혈관 원위부를 고정하는 방법을 취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은 경험을 보고한다.

흉부대동맥 질환에서 시행된 하이브리드 혈관내 성형술의 중단기 성적 (Early and Midterm Results of Hybrid Endovascular Repair for Thoracic Aortic Disease)

  • 윤영남;김관욱;홍순창;이삭;장병철;송승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490-498
    • /
    • 2010
  • 배경: 대동맥궁 분지 혈관의 해부학적 외 우회로술(extra-anatomic bypass)과 흉부 혈관내 대동맥 스텐트 도관 삽입술을 같이 시행하는 하이브리드 술식은 고식적인 완전 개방 수술에 비해 덜 침습적이며, 스텐트 도관 삽입술 시 안정된 안착지점(landing zone)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본원에서 시행된 하이브리드 술식의 중단기 성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8월부터 2010년 1월까지 흉부대동맥 질환의 치료를 위해 하이브리드 술식을 시행한 일련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수술 전 후 데이터는 전향적으로 수집하였으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0.8{\pm}5.5$개월(3~20개월)이었다. 결과: 9명의 환자(남:여=7:2)에서 하이브리드 술식이 시행되었으며, 평균 나이는 $63.8{\pm}15.8$세 (38~84세)였다. 5명에서 대동맥궁 혹은 근위 하행대동맥류가 있었으며, 2명의 환자에서 하행대동맥에 박리성 동맥류가, 2명에서 상행 대동맥, 대동맥궁, 및 하행대동맥에 광범위한 동맥류가 관찰되었다. 수술 전, logistic EuroSCORE로 계산한 평균 예측사망률은 21%였다. 6명에서 상행 대동맥으로부터 대동맥궁 분지혈관으로 탈분지화 및 재혈관화를 시행하였으며, 2명에서 경동맥-경동맥 우회로술, 1명에서 경동맥-액와동맥 우회로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수술 시간은 $221.4{\pm}84.0$분(94~364분)이었다. 수술 후 100%의 환자에서 전산화 단층 혈관촬영을 통하여 스텐트 도관의 성공적인 안착을 확인하였으며, 총 평균재원일수는 $15.2{\pm}4.6$일이었다. 수술 후 사망은 없었다. 1명에서 우측 안동맥 분지에 색전증이 발생하였고 이외 합병증은 없었다. 추적관찰 기간 중 1명에서 스텐트 근위부의 endoleak으로 재시술을 시행하였으며, 20개월 생존율은 100%이었다. 결론: 흉부대동맥 질환의 치료에 있어 하이브리드 술식은 덜 침습적이고 효과적인 치료이다. 본 연구의 중단기 성적을 토대로 보아 하이브리드 술식은 고무적인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식도파열 후 발생한 식도 흉막루와 대동맥루의 수술적 치료: 식도 및 대동맥 이중 우회술 (Double Bypass of Esophagus and Descending Thoracic Aorta for the Treatment of Esophagapleural and Aortopleural Fistula)

  • 박성준;강창현;김경환;유병수;김영태;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753-757
    • /
    • 2010
  • 식도 파열 후 발생한 식도 흉막루 및 대동맥 흉막루를 식도와 대동맥 이중 우회술로 치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48세 남자가 폭발 사고로 인한 손상으로 하부 식도 파열을 진단받았다. 외부 병원에서 1차례 식도 봉합술을 시행받았으나 식도 누출이 지속되었고, 이로 인해 좌측 흉강의 농흉이 동반되어 있었고, 이차적인 대동맥 손상으로 흉부 하행 대동맥에 스텐트를 삽입한 상태로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반복적인 수술 및 농흉으로 인한 유착 및 대동맥 손상을 고려하여 흉골 하행 경로를 통해 식도-위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남아있는 농흉은 감염 징후 없이 만성화 단계를 거치던 중 흉관 삽입 부위로 출혈이 관찰되었다. 검사 결과 흉부 하행 대동맥의 감염성 동맥류로 대동맥 벽이 약해진 상태가 확인되어 대동맥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우측 흉강을 통해 상행 대동맥과 복부 대동맥에 인조혈관으로 우회술을 시행하였고, 흉부 대동액 부위는 결찰하였다. 이후 원위부 결찰 부위에 남아 있는 개통 부위에 대해 혈관 플러그(vascular plug)를 이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더 이상 출혈 없이 4개월째 외래 관찰 중이다.

Cervical Necrotizing Fasciitis Caused by Dental Infection

  • Song, Chi-Woong;Yoon, Hyun-Joong;Jung, Da-Woon;Lee, Sang-Hwa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6권2호
    • /
    • pp.67-72
    • /
    • 2014
  • Necrotizing fasciitis (NF) is defined as rapidly progressive necrosis of subcutaneous fat and fascia. Although NF of the face is rare, its mortality rate is nearly 30%. It usually originates from dental infection and can lead to involvement of the neck, mediastinum, and chest wall. Complications resulting from pre-existing systemic diseases can increase the mortality rate. Known complication factors for NF include diabetes, malnutrition, advanced age, peripheral vascular disease, renal failure, and obesity. Here, we report a case of NF originating from dental infection in an 88-year-old woman already diagnosed with hypertension, thoracic aortic aneurysm, and renal diseases. Such conditions limited adequate surgical and antibiotic treatment. However, interdisciplinary treatment involving multiple departments was implemented with good results.

복부 대동맥류에 대한 수술 (Surgic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Abdominal Aortic Aneurysm)

  • 류경민;서필원;박성식;류재욱;김석곤;이욱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31-336
    • /
    • 2009
  • 배경: Dubost 등이 1952년에 실시한 신동맥 하부 대동맥류 수술을 시작으로 복부 대동맥류의 근치적인 수술적 치료가 시작되었다. 최근에 경피적 대동맥 스텐트 삽입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외과적 수술이 감소하고는 있으나, 여전히 근치를 위한 치료로 인정되고 있다. 저자들은 지난 6년간 시행한 복부 대동맥류의 수술성적 및 그 예후에 미치는 영향인자에 대해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복부 대동맥류로 수술 받은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의 적응은 파열, 60 mm 이상의 최대직경, 크기의 증가, 내과적으로 조절 안되는 고혈압이나 통증이 있는 경우 등이었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6.6{\pm}9.3$$(49\sim81)$였고, 남자가 12명(66.7%), 여자가 6명이었다. 신동맥 상부까지 진행된 경우는 6명(33.3%), 장골동맥까지 진행된 경우는 13명(72.2%)이었다. 진단 당시 대동맥이 파열되어 있었던 환자들은 5명(27.8%)이었다. 대동맥의 평균 최대직경은 $72.2{\pm}12.9$ mm ($58\sim109$ mm)였다. 수술은 모두 정중 복부절개를 통한 복강 내 접근으로 시행하였고, 응급수술은 6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다. 대동맥 겸자 후 양쪽 하지로 혈류개통이 될 때까지의 허혈시간은 평균 $82{\pm}42$분($35\sim180$분)이었다. 전체 환자 중 3명이 사망하여 전체 사망률은 16.7%였고, 파열된 환자의 사망률은 60%, 파열되지 않은 환자의 사망률은 0%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신부전, 대퇴등 정맥 폐쇄, 창상감염이 각 1예씩 있었다. 생존 환자들은 $34{\pm}26$개월($4\sim90$개월)간의 추적관찰 기간동안 대동맥 내 문제는 없이 장기생존 중이다. 사망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파열, 응급수술이 의미 있었다(p<0.05). 결론: 파열된 복부대동맥류에 대한 응급수술은 여전히 높은 사망률을 보이나, 파열되지 않은 복부대동맥류의 수술은 비교적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수술 후 생존한 환자는 장기생존을 보인다. 비록 경피적 대동맥 스탠트 삽입술이 최근의 치료 경향이나 종래의 수술방법도 만족할 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