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eurysm, thoracic aortic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6초

감염성 복부 대동맥류 -수술치험 1례 보고- (Infected Abdominal Aortic Aneurysm)

  • 김경렬;최세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342-345
    • /
    • 1996
  • 세균성 동맥류는 드물지만 전격성 진행으로 말미암아 적절한 치료가 동반되지 않으면 파열이 흔하며 심한경우 사망으로 이어진다. 세균성 동맥류중 비심인성 균형증에 의한 것을 흔히 감염성 동맥류라 한다. 본 교실에서는 후복막강으로 파열된 감염성 복부대동맥류를 1례 치험하였다. 환자는 57세 남자로 배부요통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발열이 있었고 하복부에서 종물이 촉지되었다. 술전검사상 포도상구균에 의한 균형증을 동반한 감염성 복부 대동맥류로 진단되어 동맥류 절제술 및 인조혈관 대치술을 시행하였으면 술후 장기간 항생제를 사용하였다. 환자는 술후 합병증 없이 회복하여 퇴원하였다.

  • PDF

복부 대동맥류 수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xperience of Abdominal Aortic Aneurysm)

  • 곽영태;임상현;이삭;유경종;장병철;강면식;홍유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261-266
    • /
    • 2003
  • 배경: 복부 대동맥류 수술은 높은 사망률을 나타낸다. 저자들은 지난 11년간의 복부대동맥류 수술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치료에 도움을 받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흉부외과에서 복부 대동맥류로 수술 받은 환자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평균 나이는 $62.8{\pm}12.7$ (27~85)세였고 남자가 40명, 여자가 8명이었다. 48명의 환자들 중 9명은 대동맥류가 파열되었고, 파열되지 않았던 환자들의 대동맥류 평균 직경은 $8.8{\pm}2.4$ (5.0~15) cm였다. 결과: 48명의 환자들 중 6명이 조기에 사망하여 조기 사망률은 12.5%였다. 수술 전 동맥류의 파열이 있었던 9명의 환자 중 3명이 사망했고(33.3%), 동맥류의 파열이 없었던 환자들은 39명 중 3명이 사망하였다(7.7%). 수술 전에 확인한 여러 변수들 중 나이(p=0.00690), 수술 전 BUN 수치(p=0.0278), 당뇨(p=0.038) 등이 수술 사망의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퇴원한 42명의 환자들 중 40명에서 추적이 되어 추적률은 95.2%였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 $3.6{\pm}0.2$(0.3~10.7)년이었다. 추적 기간 동안 5명의 환자가 사망하였으며(만기 사망률=11.9%), Kaplan-Meier 생존 분석에 의한 5년과 10년 생존률은 각각 $81.7{\pm}7.6$%, $81.7{\pm}7.6$%였고, 인조혈관과 관련된 사건이 일어날 확률은 3.53%/환자-년이었다. 결론: 파열된 복부 대동맥류의 수술 사망률은 파열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높기에 조기에 복부 대동맥류를 제거하는 것이 수술 사망률을 낮출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교육, 추적 관찰이 이루어진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막은 판막과 관련된 합병증 및 사망률이 낮았다.고 Rastelli술식을 시행하였고, 7례에서 중복치환술(Senning+Rastelli)을 시행하였으며, 1례는 심실중격결손증을 폐쇄하고 REV형 술식을 시행하였다. 술후 추적 기간동안 우심실을 체순환으로 사용한 환 자들에서의 삼첨판막폐쇄부전은 술전 평균 1.3$\pm$1.4도에서 2.2$\pm$1.0도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p<0.05). 그러나 중복치환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은 술후 삼첨판막의 폐쇄부전의 증가가 없었다. 술전 완전 방 실차단을 보인 환자는 2례(3.1%)있었으며 술후 새롭게 발생한 완전방실차단은 7례(10.8%)있었다. 술후 기타 장,단기 합병증으로는 폐동맥심실유출로도관(conduit) 재협착이 10례, 혈전증(판막: 2례, 인조혈관: 1례, 폐동 맥: 1례)이 4례, 2주 이상의 지속적 흉관배액이 4례, 유미흉이 3례, 출혈에 의한 재수술이 3례, 기타 급성 신 부전, 종격동염, 횡경막신경 마비가 각각 2례씩 있었으며, 중복치환술을 받은 환자들과 전통적 술식으로 수 술받은 환자에서 술후 합병증의 차이는 없었다. 65명의 환자를 평균 54$\pm$49개월(0~177개월)간 추적관찰하였 으며, 수술 초기에 사망한 환자는 13명으로 20.0%(13/65)의 수술사망율을 보였으며 3명의 환자가 추적기간중 사망하여 24.6%(16/65)의 전체사망율을 보였다. 중복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사망율은 33.3%(4/12)였다. 술 후 1년, 5년, 10년 누적생존율은 각각 75.0$\pm$5.6%, 75.0$\pm$5.6%, 69.2$\pm$7.

선천성 Valsalva 동 동맥류의 수술요법 (Surgical Treatment of Congenital Aneurysms of Sinus of Valsalva A report of 10 years` experience of 18 consecutive cases)

  • 김기봉;서경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2호
    • /
    • pp.265-272
    • /
    • 1985
  • Congenital aneurysm of sinus of Valsalva is one of the rare congenital heart disease, which is usually asymptomatic until rupture. The aneurysm usually ruptures into a cardiac chamber and produces an aorto-intracardiac fistula. Ruptured aneurysm is a grave lesion in that it causes heart failure and subsequent death. If, however, it is discovered in its early stages and operated on properly, it can be corrected with considerable success. Form January 1975 through December 1984, 18 consecutive patients with congenital aneurysm of sinus of Valsalva underwent corrective surgery using total cardiopulmonary bypass in our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1. The incidence was about 0.9% of surgical cases of congenital heart disease during that period. 2. 13 were males and 5 females, with ages ranging 12 years to 52 years. 3. Associated anomalies were VSD in 14, infundibular PS in 1, aberrant muscle band in RVOT in 1, and secondary aortic insufficiency in 9. 4. 17 were suggested to arise from right coronary sinus and 1 from noncoronary sinus; Among 17, 12 ruptured into right ventricle, and one from noncoronary sinus into right atrium. 5. Surgical correction was performed by means of direct suture closure with combined pledget or patch graft after aneurysm resection, and associated lesions were also corrected simultaneously. 6. There was only one case of operative mortality, and all the other patients were relatively uneventful in their follow-up studies.

  • PDF

Adventitial Fibroblast Abormality in Thoracic Aortic Aneurysms and Aortic Dissections

  • Suh, Jong-Hui;Yoon, Jeong-Seob;Kim, Hwan-Wook;Jo, Keon-Hy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6호
    • /
    • pp.406-412
    • /
    • 2011
  • Background: Development of thoracic aortic aneurysms and aortic dissections (TAAD) is attributed to unbearable wall tension superimposed on defective aortic wall integrity and impaired aortic repair mechanisms. Central to this repair mechanisms are well-balanced and adequately functional cellular components of the aortic wall, including endothelial cells, smooth muscle cells (SMCs), inflammatory cells, and adventitial fibroblasts. Adventitial fibroblasts naturally produce aortic extracellular matrix (ECM), and, when aortic wall is injured, they can be transformed into SMCs, which in turn are involved in aortic remodeling. We postulated the hypothesis that adventitial fibroblasts in patients with TAAD may have defects in ECM production and SMC transformation. Materials and Methods: Adventitial fibroblasts were procured from the adventitial layer of fresh aortic tissues of patients with TAAD (Group I) and of multi-organ donors (Group II), and 4-passage cell culture was performed prior to the experiment. To assess ECM production, cells were treated with TNF-${\alpha}$ (50 pM) and the expression of MMP-2/MMP-3 was analyzed using western blot technique. To assess SMC transformation capacity, cells were treated with TGF-${\beta}1$ and expression of SM ${\alpha}$-actin, SM-MHC, Ki-67 and SM calponin was evaluated using western blot technique. Fibroblasts were then treated with TGF-${\beta}1$ (10 pM) for up to 10 days with TGF-${\beta}1$ supplementation every 2 days, and the proportion of transformed SMC in the cell line was measured using immunofluorescence assay for fibroblast surface antigen every 2 days. Results: MMP-3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 than in group II. TGF-${\beta}1$-stimulated adventitial fibroblasts in group I expressed less SM ${\alpha}$-actin, SM-MHC, and Ki-67 than in group II. SM-calponin express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resence of fibroblast was observed on immunofluorescence assay after more than 6 days of TGF-${\beta}1$ treatment in group I, while most fibroblasts were transformed to SMC within 4 days in group II. Conclusion: ECM production and SMC transformation are compromised in adventitial fibroblasts from patients with TAAD. This result suggests that functional restoration of adventitial fibroblasts could well be a novel approach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AAD.

심외성 발살바동 동맥류-수술치험 1례- (Extracardiac Aneurysm of the Sinus of Valsalva - A case report -)

  • 신성현;장원채;나국주;안병희;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304-307
    • /
    • 1998
  • Valsalva동 동맥류는 발생빈도가 낮은 질환으로 대부분이 선천성이며 동양인에서 보다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Valsalva동 동맥류는 심장내로 진행되어 우심실이나 심방으로 파열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심외성 Valsalva동 동맥류는 발생빈도가 매우 낮다. 심외성 Valsalva동 동맥류는 대부분 대동맥판폐쇄부전을 야기하고 동맥류에 의한 압박으로 우심실 유출로 협착, 심근 허혈 및 심근 경색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심낭내로 파열된 경우 심인성 쇼크나 돌연사를 일으키므로 매우 주의를 요하며 확진되면 외과적으로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자들은 좌관상동맥동 및 무관상동맥동에 발생한 동맥류에 의해 심근허혈 및 대동맥판폐쇄부전이 발생하였던 예를 외과적으로 치료하여 양호한 성적을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더불어 보고하고저 한다.

  • PDF

Two-Stage Endovascular Repair for Concurrent Penetrating Atherosclerotic Ulcers of the Thoracic and Abdominal Aorta

  • Kong, Joon Hyuk;Baek, Kang Seok;Kwun, Woo Hyung;Kim, Young Hwan;Kim, Duk-Sil;Kim, Sung-W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5호
    • /
    • pp.365-368
    • /
    • 2013
  • We report a case of concurrent saccular aneurysms caused by a penetrating atherosclerotic ulcer of the thoracic and abdominal aorta that were successfully treated by staged endovascular repair. Even though surgical open repair or endovascular repair is the treatment option, use of endovascular repair is now accepte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to surgery in selected patients. To prevent contrast medium-induced nephropathy and spinal cord ischemia caused by a simultaneous endovascular procedure, a saccular aneurysm of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was excluded by stent graft, followed by the placement of a bifurcated stent graft in the infrarenal abdominal aorta one month later.

복부대동맥류 환자에서의 수술 후 사망의 위험인자 분석 (The Risk Factors Influencing the Postoperative Mortality of the Patients with an Abdominal Aortic Aneurysm)

  • 이성광;전희재;박경택;윤영철;한일용;이양행;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55-662
    • /
    • 2010
  • 배경: 최근에 경피적 대동맥 스텐트 삽입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외과적 수술이 감소하고는 있으나, 여전히 근치를 위한 치료로 인정되고 있다. 저자들은 지난 6년 8개월간 시행한 복부 대동맥류의 수술성적 및 그 예후에 미치는 영향인자에 대해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5월부터 2005년 6월까지, 2007년 4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복부 대동맥류로 수술 받은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의 적응은 파열, 60 mm 이상의 최대직경, 내과적으로 조절 안되는 고혈압이나 통증이 있는 경우 등이었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9.67{\pm}6.97$세 (57~84세)였고, 남자가 32명(89.2%), 여자가 4명 (10.8%)이었다 신동맥 하부부터 장골동맥 위까지 진행된 경우는 8명(22.2%), 장골동맥까지 진행된 경우는 28명(77.8%)이었다. 진단 당시 대동맥이 파열되어 있었던 환자들은 13명(36.l%)이었다. 대동맥의 평균 최대직경은 $73.7{\pm}13.3 mm$ (60~100 mm)였다. 수술은 대부분 정중 복부절개를 통한 복강 내 접근으로 시행하였고, 응급수술은 10명의 환자(27.8%)에서 시행하였다. 전체 환자 중 3명이 사망하여 전체 사망률은 8.3%였고, 파열된 환자의 사망률은 23.1%, 파열되지 않은 환자의 사망률은 0%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창상감염 3예, 패혈증 2예, 신부전 2예, 폐렴 1예씩 있었다. 사망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수술 전 불안정한 활력징후 수혈, 또는 실신이 있었던 경우, 과거력 상 당뇨병이 있는 경우, 동맥류가 파열된 경우와 응급수술 등이 있으며, 합병증 중 패혈증, 신부전이 발생한 경우와 술중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었다(p<0.05). 결론: 파열된 복부대동맥류에 대한 응급수술은 여전히 높은 사망률을 보이나, 파열되지 않은 복부대동맥류의 수술은 비교적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비록 경피적 대동맥 스탠트 삽입술이 최근의 치료 경향이나 파열되지 않은 동맥류의 계획된 수술은 시술과 관련된 부작용이나 반복된 검사의 불편함을 줄이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발살바동류 및 파열의 수술 후 장기 성적 (Long-term Result after Repair of Sinus Valsalva Aneurysm Rupture)

  • 임상현;장병철;주현철;강면식;홍유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0호
    • /
    • pp.693-698
    • /
    • 2005
  • 배경: 발살바동류(Sinus Valsalva Aneurysm, SVA)는 드문 질환으로, 심실중격결손증과 대동맥판막 궤쇄부전 등이 흔하게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치료로는 여러 가지 접근 방법을 통한 수술 기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국내에서의 수술 치료 후 장기적인 결과는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지난 30년간 발살바동류 및 발살바동 파열로 수술 받은 환자들의 임상 기록을 고찰하여, 발살바동류 및 발살바동 파열의 수술 후 장기 성적을 살펴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74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연세대학교 심장혈관병원에서 SVA 및 파열로 수술을 시행한 8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인 조사를 시행하였는데,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29.2\pm1l.5$세였고 남자가 49명이었다. SVA에 동반된 심장 기형으로는 VSD가 50예, 동맥관 개존증과 Bechet's병이 각각 2예, 활로 4증후군, 우심실유출로 협착 그리고 대동맥륜 확장이 각각 1예에서 있었다. 77명$(95\%)$의 환자들에서 SVA의 파열이 있었으며, 14명의 환자들에서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이 동반되어 있었다.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은 grade I: 8명, II: 10명, III: 9명, IV: 4명에서 발견되었다. 발살바동류는 우관상동 부위에서 66예$(81\%)$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며, 발살바동류의 파열은 우심실과의 교통이 가장 많았다(53/77). 수술은 첨포를 사용한 경우가 37예, 직접 봉합을 한 경우가 38예, 기타의 방법이 1예 있었다. 결과: 수술 사망이 1명 있었다(수술 사망률=$1.2\%$). 환자들의 추적관찰은 2명을 제외한 78명에서 가능하였는데(추적률=$97.5\%$), 평균 추적기간은 $123.3\pm80.9 (3\~330)$개월이었다. 추적 기간 중에 3명의 환자가 사망하였으며(사망률=$3.8\%$), 1명의 환자는 심부전으로, 1명의 환자는 부정맥으로 사망하였으며, 1명의 환자는 원인을 알 수 없이 사망하였다. SVA수술 후 2명의 환자에서 추적 기간 중에 완전 방실차단이 발생하였으며, SVA수술과 관련하여 재발한 경우는 없었다. Kaplan-Meier 방법에 의한 생존율은 15년과 27년에 각각 $92.5\pm3.5\%$로 매우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발상바동류 및 파열의 수술 결과는 매우 양호하였으며, 장기간의 생존율도 만족할 만하였다.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of Bicuspid Aortic Valve and Related Abnormalities of the Heart and Thoracic Aorta

  • You Jin You;Sung Min Ko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0호
    • /
    • pp.960-973
    • /
    • 2023
  • The bicuspid aortic valve (BAV) is the most common congenital cardiovascular malformation. Patients with BAV are at higher risk of other congenital cardiovascular malformations and valvular dysfunction, including aortic stenosis/regurgitation and infective endocarditis. BAV may also be related to aortic wall abnormalities such as aortic dilatation, aneurysm, and dissection. The morphology of the BAV varies with the presence and position of the raphe and is associated with the type of valvular dysfunction and aortopathy. Therefore, accurate diagnosis and effective treatment at an early stage are essential to prevent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BAV. This pictorial essay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s of BAV and its related congenital cardiovascular malformations, valvular dysfunction, aortopathy, and other rare cardiac complications using multimodal im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