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roid Repackaging Attack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A Strengthened Android Signature Management Method

  • Cho, Taenam;Seo, Seung-Hy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3호
    • /
    • pp.1210-1230
    • /
    • 2015
  • Android is the world's most utilized smartphone OS which consequently, also makes it an attractive target for attackers. The most representative method of hacking used against Android apps is known as repackaging. This attack method requires extensive knowledge about reverse engineering in order to modify and insert malicious codes into the original app. However, there exists an easier way which circumvents the limiting obstacle of the reverse engineering. We have discovered a method of exploiting the Android code-signing process in order to mount a malware as an example. We also propose a countermeasure to prevent this attack. In addition, as a proof-of-concept, we tested a malicious code based on our attack technique on a sample app and improved the java libraries related to code-signing/verification reflecting our countermeasure.

Hyperledger Composer 기반 컨소시움 블록체인을 이용한 위조 모바일 APK 검출 DApp (Consortium Blockchain based Forgery Android APK Discrimination DApp using Hyperledger Composer)

  • 이형우;이한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9-18
    • /
    • 2019
  • APK (Android Application Package)는 리패키징 공격에 취약하므로 APK 파일 내부에 난독화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하지만 리버스 엔지니어링 기술 역시 더욱 고도화 됨에 따라 또다른 위조 모바일 APK 파일이 개발 및 배포되고 있어 새로운 대응 방식이 필요하다. 블록체인은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연결 및 보호되는 레코드 블록이 지속적으로 추가되는 방식으로, 각 블록에는 일반적으로 이전 블록의 암호화 해시값, 타임스탬프 및 트랜잭션 데이터 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일단 블록체인에 기록되면 해당 블록의 데이터는 이후에 생성된 모든 블록을 변경하지 않고서는 소급해서 변경/수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면 모바일 APK 파일에 대한 정상 및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yperledger Composer를 이용한 컨소시움 블록체인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합법적인 APK를 블록체인 내에 기록하고 유지함으로써 위조 APK에 대한 검출 기능을 제공하는 DApp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DApp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위조된 앱이 설치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 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정상적이고 합법적인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 사용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E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보호하기 위한 견고한 역공학 방지기법 (Robust Anti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 for Protecting Android Applications using the AES Algorithm)

  • 김정현;이강승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9호
    • /
    • pp.1100-1108
    • /
    • 2015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실행파일인 classes.dex파일은 Java 바이트코드 형식이므로 누구나 쉽게 역공학으로 소스코드를 분석하고 수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이 불법 복제되어 유통됨에 따라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classes.dex파일을 AES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배포하고, 암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복호화하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불법복제를 방지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암호화 및 복호화에 사용되는 Key는 랜덤한 값인 Salt값를 기반으로 조합하여 Hash함수에 대입하여 얻어진 Hash값을 Key로 사용하여 역공학 공격으로부터 견고함을 더했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이 어플리케이션의 불법복제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고, 역공학 공격을 불가능하게 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원천기술 보호와 리패키징으로 인한 악성코드의 전파도 방지할 수 있음을 보였다.

API 특성 정보기반 악성 애플리케이션 식별 기법 (A Scheme for Identifying Malicious Applications Based on API Characteristics)

  • 조태주;김현기;이정환;정문규;이정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187-196
    • /
    • 2016
  •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악성코드를 삽입한 후 재서명하여 배포하는 리패키징 공격에 취약하다. 이러한 공격을 통해 사용자의 사생활 정보나 개인정보 유출 등의 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모든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메소드와 API로 구성된다. 이중 플랫폼의 리소스에 접근하며 실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것은 API이고, 사용자가 작성한 메소드 역시 API를 이용하며 기능적 특징을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주로 활용하는 민감한 API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악성애플리케이션이 어떤 행위를 하고, 어떤 API 를 사용하는지 사전에 식별할 수 있는 분석 기법을 제안한다. 사용하는 API를 토대로 API의 특성정보를 기반으로 나이브 베이즈 분류 기법을 적용하여 비슷한 기능을 하는 API에 대해 기계 학습하도록 한다. 이렇게 학습된 결과를 토대로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주로 사용하는 API를 분류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악성 위험 정도에 대한 정량적 판단 기준을 제시한다. 따라서, 제안 기법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 정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해 줌으로써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앱 보안성을 사전에 파악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커넥티드 카 환경에서 안드로이드 앱 리패키징을 이용한 자동차 강제 제어 공격 (A Practical Attack on In-Vehicle Network Using Repacked Android Applications)

  • 이정호;우사무엘;이세영;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679-691
    • /
    • 2016
  • 자동차에 여러 종류의 통신기기가 장착되고 운전자는 통신기기를 이용해 다양한 정보를 자동차에서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운전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원격으로 자동차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안드로이드 기반 앱은 변조와 재배포가 쉽다. 운전자는 임의의 공격자가 변조하여 배포한 악성 앱을 사용하게 되면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의 유출위협과 운전자의 의도와 다른 제어로 사고를 유발하는 위협에 노출될 수 있다. 더욱이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에는 보안기법이 적용되어 있지 않아 보안 위협으로부터 쉽게 노출되어 사고발생 시 인명과 재산상의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공식 앱 마켓인 구글 플레이에 배포된 다양한 자동차 진단용 앱의 취약점을 분석한다. 분석된 취약점을 통해 배포된 자동차 진단용 앱에서 발생 가능한 공격모델을 알아본다. 그리고 실제 자동차에서 실험으로 공격모델에 대한 위험성을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자동차 진단용 앱 리패키징을 사용한 공격자의 악성행위로부터 안전한 보호기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