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re Bazi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SF영화 속 가상공간의 특징에 대한 연구 - 앙드레 바쟁의 영화 존재론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Space in Science Fiction Movies - Based on André Bazin's Film Ontology -)

  • 겅허치;최동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356-1366
    • /
    • 2022
  • In the display of virtual space, the degree of space virtualization cannot be judged only by the degree of material technology. Based on the non-material relationship, the virtual space that this research focuses on is a conceptual and ontological point of view (based on the conceptual and ontological viewpoints of non-material relations), including practical technical issues.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space ontology not only has an impact on the space design of science fiction movies, but also becomes a powerful medium that brings changes to the world. In the future, there will be a large number of cases where fantasy things in science fiction movies are actualized. From this perspective, based on the study of several science fiction movies using virtual reality scenes, this paper puts forward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virtual space ontology. In addition, the study of the virtual reality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verifying the possibility of virtual reality in the application of deep space technology in the future.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reference value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ffects film field from montage theory-based to Bazin theory-based expression, and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system of film space.

A Study on the Value Change of Digital Image According to Digital Technology

  • Choi, Won-Ho;Kim, Chee-Yo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5호
    • /
    • pp.595-601
    • /
    • 2010
  • The strategy through visual sense is one of the ways that subject builds the outside world and communicates. The visual sense seems higher level of dependence than the other senses and contributes to intercommunication. For this reason, the desire of image dates back to primitive art and visual image(visual media and visual culture) has dialectically developed in the history of mankind. Visual subject, based on perspective of Renaissance, was moved from God to human beings. Andre Bazin's 'la genese automatique' through technical art has epochally changed the paradigm of visual art and visual culture. From primitive art to photo and film, the image, based on visual sense, has reflected human wish, appealed visual desire and led to evolution of image. In the late 20 century, without dialectical evolution of technology and culture, rapidly progressive digital image has changed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 over rational strategy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it strengthened authority of image through visual approach of endless desi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lue change of digital image developing a new Renaissance through production, reading, communication, and implication of evolution due to digitalized image, which has evolved as object and tool of desire.

KOFIC 3D 제작 프로젝트 연구 -'놀이동산에 또 놀러 와요, 엄마'를 중심으로- (Research for the Project of KOFIC 3D Production -centering on 'Let's go to the amusement park again, Mom'-)

  • 김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7-24
    • /
    • 2012
  • 앙드레 바쟁은 영화의 프레임을 두고 '세상을 향해 열린 창'이라고 표현하였는데 3D 입체 영화를 통해 이 말은 더 현실로 다가왔다. 2009년 아바타(Avatar) 의 개봉을 기점으로 입체 영화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제 입체 영화에 대한 이론과 정보는 넘쳐난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제작 현장에 맞는 작업 방식을 찾아내고, 필요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이다. 완성도 있는 영화를 위한 작업 방식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어떤 방식이든 안정감 있는 영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점검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이 논문은 '놀이동산에 또 놀러 와요, 엄마'를 중심으로 제작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고, 작품을 통해 취득한 기술적인 문제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입체 영화에 대한 노하우가 부족한 시점에서 본 연구의 기초 자료들이 제작기술을 축적하는데 좋은 참고가 되길 바란다.

영화의 시각효과와 정신분석의 관계성 연구 -장 뤽 고다르의 <경멸_Le Méris>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ilm's visual effects and psychoanalysis -Focusing on Jean-Luc Godard's Le Méris-)

  • 김석원;김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09-418
    • /
    • 2020
  • 본 연구는 영화의 시각효과와 정신분석의 관계성을 장뤽 고다르의 <경멸(Le Méris), 1963>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고다르는 <경멸>에서 영화 제작에 참여하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소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통역자를 설정했다. 하지만 통역자의 역할은 있지만 정확한 의사소통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다르의 의도는 관객이 단순히 영화를 바라보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영화의 내용에 적극적으로 참가라는 것을 바라고 있다. 이 연구의 의미는 프로이드와 라캉의 정신분석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장뤽 고다르의 영화 <경멸>에 참여했던 영화 제작자, 감독, 작가, 배우들과의 관계, 그리고 영화에서 보이지 않는 참여자들의 갈등 관계를 감독은 어떤 방식으로 시각적으로 재현했는지 분석한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1960년대 한국과 이집트 영화 정책 및 특성의 비교 연구 -문학을 원작으로 한 영화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Egyptian Films -Focusing on Adaptations of Novels in Films of the 1960s)

  • 알레 일레와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3호
    • /
    • pp.211-266
    • /
    • 2019
  • 이 글은 1960년대 한국과 이집트에서 유행한 문학을 원작으로 한 영화를 세계적인 현상으로 보고 있다. 이를 1930~50년대 유럽과 미국에서 널리 퍼진 각색 영화들을 주목하여 영화 비평가 앙드레 바쟁의 글을 이용하여 원인을 알아 봤다. 영화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생긴 형식과 내용의 변증법이 문학을 원작으로 한 영화라는 방향을 낳았다는 것이 바쟁의 주장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과 이집트가 문학을 원작으로 한 영화들, 이 세계적 현상을 따르기 시작한 첫 출발점을 알아보기 위해 양국에서 1960년 이전 시기에 영화에 대한 기사를 살펴보았다. 1950년대 한국에서 개봉한 문학을 원작으로 한 외국 영화들은 한국 감독들의 시선을 한국의 정통 문화와 문학에 눈뜨게 하였다. 이 시기에 많은 기사들이 보여 주는 것처럼 한국 영화가 양적·기술적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었지만 빈곤한 내용에 대한 불만의 소리가 계속 이어지자 문학 작품을 재생산하는 경향이 시작되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집트에서는 1950,60년대 영화와 문학의 관계에 관한 수많은 기사들이 지속적으로 실렸다. 이 중에서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외국 영화를 주목하는 글, 이집트 영화의 현황에 관한 글, 뿐만 아니라 유명한 작가가 영화에 대해서 쓴 글도 있었다. 내적 조건을 파악한 뒤 영화에 영향을 미친 두 국가의 정책을 살펴봤다. 한국의 경우에는 미군정기 정책과 국산영화장려정책을 주목하고 이집트의 경우에는 영화까지 확대된 국유화 산업을 살펴봤다. 두 국가에서 영화 정책의 실행이 앞서 살펴본 내적 조건 보다 뒤에 나온 것을 확인하고 이 정책들은 문학을 원작으로 한 영화의 시발점이 되지 않았으나 다른 나라에서 빨리 사그라진 이 영화 경향이 두 국가에서 오랫동안 수명을 유지할 수 있게 기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두 나라의 영화를 원작의 작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의 특징을 알아봤다. 이 글은 한국과 이집트의 문학을 원작으로 한 영화를 세계적 현상으로 위치 지으려는 시도이다. 두 나라의 영화들은 개별적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이 논문을 통해서 당시 영화들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지향하는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