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ient cultural heritage

검색결과 385건 처리시간 0.026초

종이 손상과 보존 기술에 대한 한·불 교류연구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Investigate the Degradation Mechanisms on paper and Conservation Techniques between Korea and France)

  • 정용재;최정은;이규식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8호
    • /
    • pp.149-168
    • /
    • 2007
  • This project aims to develop a partnership between France and Korea; the field of paper conservation with two mains objectives. The first object is to study the possibilities of implementing the use of traditional Korean paper in conservation workshops in France and Europe. The second one is to establish a long term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investigate the degradation mechanisms of ancient papers and particularly early waxed manuscripts founded in Korea and France which are now brittle and fallen into parts. This problem deserves an investigation using analytical tools such as SEC/MALS, GC/MS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wax and cellulose during the ageing process and to recommend proper conservation treatment. A research plan could be establish for both institution in order to facilities an exchange of visiting scholars (scientist, post-doc) to implement and share knowledge and for carrying out the research.

  • PDF

Suzhou Historical Gardens and City′s Sustainable Development

  • Huang, W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1호
    • /
    • pp.127-130
    • /
    • 2001
  • Suzhou historic gardens include classical gardens, places of interest and palaces built by hills and waters. They are geographically distributed in the ancient city and the suburbs. Considered as both chinese and world class historic cultural heritage, these precious tourist resources have been included in the systematic urban planning of Suzhou and they are an integral part of the urban green plan and symbol and characteristic of the urban view. These gardens are also important for tourist industry-one of the pillar industries Suzhou. Therefore, historic gardens play an especially important role in the city's continuous development and it becomes an important task to make good protection, plann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se historic gardens.

  • PDF

건조에 따른 고분벽화 토양 마감층의 물리적 변화 (Study on Physical Change in the Earthen Finish Layer of Tomb Murals Due to Drying)

  • 조하진;이태종;이화수;정용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4호
    • /
    • pp.148-165
    • /
    • 2017
  • 고분 내부에 그려진 벽화는 온 습도 등 환경변화에 매우 민감하며, 특히 고분벽화의 마감층은 사용된 재료 특성과 습도 조건에 따라 보존성에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을 사용하여 마감층을 제작한 송산리 6호분 벽화를 대상으로, 마감층의 재료 특성에 따라 건조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물리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입도분석 결과 송산리 6호분 벽화 마감층은 실트 이하가 약 85.0wt%, 그 안의 점토가 약 14.0wt%로 대부분이 실트와 점토이하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시료에 대한 물성평가 결과 표면 변화율은 벤토나이트 마감층 재현 시료가 15.5%로 가장 큰 변화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청자토 마감층 재현 시료 7.8%, 황토 마감층 재현 시료 6.3% 그리고 백토 마감층 재현 시료 6.2%의 순으로 확인되었고, 태토별 시료에서도 같은 순서의 변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수축률 및 팽창률 측정 결과에서도 유사한 경향의 표면 변화율을 나타냈으며, 벤토나이트 조건이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실험결과, 토양으로 구성된 마감층은 미분부 함량으로 인한 입자간의 응집도와 함께 점토광물의 종류에 따른 팽창성 등의 영향으로 인한 응력과의 관계 등이 물리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송산리 6호분 벽화 마감층에 발생된 물리적 손상은 토양이 갖는 재료적 특성과 고습한 고분 내부에서 발생되는 환경변화 등의 요인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에 따른 시왕의 디지털 콘텐츠 구현 (Implementation of Digital Contents of the Ten Kings of Hell according to Keyword)

  • 김경덕;김영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30-53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불교 신화에 등장하는 10명의 지옥 왕을 주제어에 따라 시각화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구현한다. 10명의 지옥 왕은 시왕으로 불리며, 탱화와 같은 유형문화재로서 일반 사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시왕은 저승 세계를 관장하는 대왕으로 무속 및 불교문화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전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문헌에 등장하는 시왕을 지옥별로 그 특징을 분석하여 주제어를 선별하고, 일반인이 특정 주제어를 선택하면 그에 따른 지옥과 왕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디지털 콘텐츠를 구현한다. 응용 분야로는 게임 및 문화 캐릭터의 개발, 전통문화를 활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불교문화와 교리 교육, 게임 등에 그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전통 호분 제조기술 연구 - 풍화방법을 중심으로 - (Investig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Hobun Manufacturing Technique - Centering on Weathering Method -)

  • 김순관;이한형;김호정;정혜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9호
    • /
    • pp.199-220
    • /
    • 2008
  • Hobun(Oyster shell White) is a traditional material used as extender and white pigment from ancient times. The production method of it, however, has been discontinued. We have studied the traditional production method of Hobun by weathering oyster shell, which is one of the traditional ways for preparing Hobun. Reproduction study of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continued traditional material is an important accomplishment of our research. Also this study provides solid background knowledge to stabilize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Hobun for the cultural asset repairing materials.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oduction process of Hobun by weathering method takes 5 steps - (1) weathering shells ${\rightarrow}$ (2) washing ${\rightarrow}$ (3) pulverization ${\rightarrow}$ (4) separating fine powder by submerging in water ${\rightarrow}$ (5) drying. The major aim in step (1) is to eliminate organic impurities. In the step (4), the fine particles smaller than $25{\mu}m$ are separated by extracting the supernatant from stirred suspension after heavy particles are submerged. Also, the soluble inorganic impurities can be eliminated through the powder submerge in 15 times water and stirring the suspension 6 hours and changing the water 3~4 times. The final products have high quality with 94.03, 0.52, 2.05 for L, a, b, less than $25{\mu}m$ particle size, fine resistance for discoloration by ligh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good workability.

  • PDF

종가 제례음식의 적(炙)에 관한 연구 (Study on Jeok of Jong-ga Ancestral Ritual Food)

  • 이창현;김영;박영희;김양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2
    • /
    • 2016
  • This research intended to conduct literary research on 'Jeok' of 25 jong-ga through Jong-ga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and Food, published by the Cul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during 2003~2008, and compared and analyzed an arranging method and recipe transmission process by directly visiting four Jong-ga. Religious ceremony foods of Jong-ga could be divid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hakpa attribute (large), regional attribute (midium), and family attribute (small), which forms a complex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attributes. 'Jeok' arranging form is divided into '3-Jeok building method (vertical structure)', '3-Jeok arrangement method (horizontal structure)', '3-Jeok replacement method', '2-Jeok arrangement method', 'Jeon-Jeok arrangement method', and 'Others-Jeok arrangement method'. Generally, 'jeok' arrangement order per hakpa is in the order of 'meat jeok - chicken jeok - fish jeok' in case of Gihohakpa, whereas Yeongnamhakpa is in the order of 'fish jeok - meat jeok - chicken jeok'. Umoringye (羽毛鱗介), the method of laying 'dojeok' of the Gyeongbuk region, could be found in the 2nd century B.C. Chinese ancient book Hoenamja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Yin and yang philosophy (陰陽論).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securing advanced results compared to advanced research that has so far concentrated on some regions and hakpas.

양수리 주거지출토 철제유물의 금속조직과 분석-BC1-AD1 세기 추정 철제유물을 중심으로 (The structure analysis of iron relics excavated at dwelling site of Yangsoo-ri)

  • 김수기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7호
    • /
    • pp.165-180
    • /
    • 2006
  •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ype of iron used by those who lived at dwelling site of Yangsoo-ri in between the first century B.C. and the first century A.D. to make steel products and their technique such as steel making process and heat treatment, based on micro structur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microscopic metallographic structure analysis with SEM-EDS of six steel productsexhumed at the site. Key findings are summarized as below. In the sense that Si-Ca-Al style and less than 0.5% of Ti were found in the non-metallic inclusion, the material used for forged iron ware was magnetite resolved in that. It is, however, unclear whether magnetite was resolved at high temperature or at low temperature. Microscopic structure analysis revealed that forged steel products were made through repeated hot working, the technique of molding by hitting after heating in the process of resolving and molding iron. As a result, the iron used here for the products was not the iron ore which was produced through resolution from discarded cast iron axe, ingot iron. It is probable that to make those steel products, disposed-of cast iron was reused after being molded by decarburizing. Although a few of relics were analyzed for the research, they were of critical importance in defining the process of ironware production from the first century B.C. and the first century A.D. at the Yangsoo-ri region. Judging from the iron from A-19 dwellingsite,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iron was manufactured from cast iron decarburized and yet more research has to be done into relics yetto be exhumed in order to ascertain the finding. All of these findings are believed to play a critical role in further studies to define the steel-manufacturing technique used on the central Korean peninsular in the ancient times.

  • PDF

백제 와전재료로서 정동리 고토양의 광물 및 지구화학적 특성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ncient Field Soil in Jeongdongri as Ceramic Raw Materials of the Baekje Kingdom)

  • 장성윤;이찬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43권6호
    • /
    • pp.543-553
    • /
    • 2010
  • 이 연구는 부여 정동리 꿩바윗골 유적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경작토양의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정을 조사하고, 이를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무령왕릉 및 송산리 전(벽돌)과 토양을 비교하여 태토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대상 토양시료들은 모두 미사질 양토로 가장 하부층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사한 토양입도를 가지고 있다. 토양은 산성으로 일부 시료에서 유기물, P, S 등의 집적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지구화학적 원소 분포경향이 유사하며 석영, 사장석, 정장석, 질석, 운모, 고령석 등으로 구성되어 동일한 광물조성을 보인다. 부분적으로 붉은 철산화물의 농집이 관찰되는데, 강의 범람과 배수에 따른 산화와 환원환경이 반복되었던 환경이 토양 내 철산화물의 농집을 일으킨것으로 보인다. 이는 자연현상과 인간의 경작활동에 의한 풍화양상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무령왕릉과 송산리고분군 출토 전에서 발견되는 철산화물의 농집현상은 연구지역 토양이 전의 태도로 추정될 수 있는 추가적인 증거로 판단된다.

훼손된 금석문 판독시스템 개발 - 해서체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the Recovery System of the Destroyed Epigraph - Focused on the Chinese standard script -)

  • 장선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2호
    • /
    • pp.80-93
    • /
    • 2017
  • 본 연구는 훼손된 금석문의 과학적 판독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자를 좌표화하였다. 좌표화한 글자의 부분에서 온전히 남은 부분과 훼손된 부분이 존재하는 다른 글자를 찾아 부분적인 훼손글자를 판독하는 방법이다. 부수의 위치에 따라 한자를 9칸으로 나누었으며 9칸에 해당하는 글자의 형태를 검색하여 해당글자를 찾아가는 방식이다. 이는 기존의 문맥을 통한 판독보다 과학적이며 판독글자 외에도 후보글자를 파악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판독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를 만든다면 현재 사용되지 않는 고한자(古漢字; 과거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한자)를 판독하는 고문서나 금석문 판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행서나 초서 역시 같은 방법으로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면 금석문 판독 및 훼손글자 판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남원지역 고분군의 성격과 보존 및 활용 방안 (The Characteristics,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 of Namwon Area Tombs)

  • 김낙중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2호
    • /
    • pp.58-77
    • /
    • 2018
  • 남원지역은 대가야와 백제라는 커다란 세력이 부딪치기도 하고 교류하기도 하면서 형성된 문화가 복합적인 양상을 드러내는 곳이다. 즉, 남강의 상류에 해당하는 운봉 아영고원 일대에는 대가야계 고총이 집중적으로 조영되지만 소가야의 흔적이 보이고 백제의 위세품이 부장되며, 섬진강유역의 남원시 서부 일대에는 5세기 후반 이후 일부 가야계 문물이 보이고 분구묘 계통의 고분이 축조되면서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지만 6세기 이후 백제화 과정이 뚜렷해진다. 그런데 이 지역의 성장 과정을 대가야와 백제만의 시각으로 보아서는 실체에 접근하기 어렵다. 최근 토착세력의 분구묘도 조사되고 있으므로 앞으로는 토착 세력의 성장 기반, 백제 왕권과 대가야세력과의 관계를 이용한 현지 세력의 성장 과정에 초점을 맞춰 조사하고 분석할 필요도 있다. 이처럼 고분은 고대사회의 남원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이다. 고분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적절히 보존 및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상 파악을 위한 기초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고분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민에게 고분군의 중요성을 알려 보존 및 활용 활동에 함께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보존 및 활용은 가장 상위의 복합형을 지향해야 하겠지만 제대로 기초조사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현상에 기초하여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남원시에 이와 관련된 조직과 예산이 항시적으로 배분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