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zing Emotion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4초

자동차 인테리어 배색 디자인을 위한 색상배색 지원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Color Coordinate Support System for Car Interior Color Design)

  • 박정순;정지원
    • 감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57-62
    • /
    • 2001
  •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에 있어서 색상은 외형 디자인과 함께 사용자의 감성적 평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그 주된 이유로 자동차 프로토타입 모델의 완성 전에 가상적인 색상배색 시뮬레이션을 해 볼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의 미약을 들 수 있다. 다행히 최근의 컴퓨터 하드웨어 발달로 자동차 색상계획 단계에서 실시간으로 색채배색 효과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환경의 구축이 가능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색상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감성척도를 기반으로 색상배색 디자인을 지원할 수 있는 자동자 인테리어 색상배색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원 시스템은 색상감성 요소의 수집을 위한 정보수집 모듈, 색채감성과 색상속성의 상관관계를 추출하기 위한 컬러 감성해석 모듈, 디자이너의 색상 배색을 지원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모듈, 도출된 배색의 평가 테스트를 위한 평가지원 모듈로 구성된다.

  • PDF

자연어처리와 기계학습을 통한 우울 감정 분석과 인식 (Analysis and Recognition of Depressive Emotion through NLP and Machine Learning)

  • 김규리;문지현;오유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49-45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SNS에 게시된 글의 내용을 통해 사용자의 우울함을 검출하는 기계학습 기반 감성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게시한 글의 작성자가 기분을 파악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먼저 감정 사전에서 우울한 감정의 단어와 그렇지 않은 감정과 관련된 단어를 목록화하였다. 그 후, SNS를 대표하는 서비스 중 하나인 트위터의 텍스트 자료에서 검색 키워드를 선정하고 크롤링을 시행하여 우울한 감정을 띤 문장 1297개와 그렇지 않은 문장 1032개로 이뤄진 학습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텍스트 기반 우울감 검출 목적에 가정 적합한 기계학습 모델을 찾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셋을 바탕으로 순환신경망, 장단기메모리, 그리고 게이트 순환 유닛을 비교 평가하였고, 그 결과 GRU 모델이 다른 모델들보다 2~4%가량의 높은 92.2%의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SNS상의 게시글을 토대로 사용자의 우울증을 예방하거나 치료를 유도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내러티브 전개에서의 클로즈업 쇼트의 연출 효과 -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Directional effects of close-up shot in Development of Narrative - Focusing on Animation -)

  • 이태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3-60
    • /
    • 2014
  • 영화든 애니메이션이든 영상의 프레임에 담긴 쇼트들은 상당히 가변적이지만 클로즈업은 피사체에서 보여 지는 의미들을 부각시킨다. 영화에서의 클로즈업은 배우의 연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애니메이션은 감독 및 애니메이터가 창조한 캐릭터의 연기를 대신하고 있어 클로즈업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 내러티브에서 특별한 의미로 기능하는 클로즈업의 연출적 효과들을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클로즈업의 다양한 연출 효과들 중에서도 내러티브의 자연스러운 흐름과 관객의 감정이입으로 몰입을 유도하는 연출 효과를 중심으로 하였다. 내러티브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도하는 연출 효과로 서술적 클로즈업을 분석하였으며, 캐릭터의 내면적 심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관객의 감정이입을 유도하는 연출 효과로 심리적 클로즈업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극적인 효과를 창출하여 극의 몰입을 유도하는 상징적 클로즈업을 분석하여 애니메이션에서의 클로즈업 연출이 내러티브 전개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원상태로의 복구 불가능한 서비스 실패와 복구유형 (Irrecoverable Service Failure and Typology of Service Recovery)

  • 윤성욱;서미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076-6083
    • /
    • 2014
  • 서비스 복구에 관한 선행연구는 원상태로의 서비스 복구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이루어졌다. 하지만 본 연구는 국내외 최초로 원상태로 복구 불가능한 서비스 문제에 초점을 두고, 다양한 문제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하위 유형을 살펴보았다. 또한 복구 불가능한 서비스 문제를 겪은 고객의 감정, 행동유형, 그리고 기업의 대응유형 등을 분석하여 좀 더 고객의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 세 개의 주 문제유형과 문제 유형 내 하위범주는 그룹1에 대해 2개, 그룹2에 대해 6개, 그룹3에 대해 2개로 구분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물품파손과 신체 관련 피해의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이며, 하위범주 중 가장 심각한 복구 불가능한 서비스는 신체 피해로 나타났다. 고객의 감정측면에서는 적반하장의 태도에서 고객은 가장 분노하며, 원상태로의 복구가 불가능한 서비스 실패를 야기하였음에도 기업의 대응은 다양한 문제점을 보여주었다. 서비스 문제에 대한 고객행동과 기업평가에 관해서도 유형화하여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그리고 향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말초성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핵심칠정척도를 활용한 정서적 특성 연구 (A Study on Emotional Characteristics with the CoreSeven-Emotions Inventory (CSEI), Based on the Seven Emotions (七情) in Bell's Palsy Patients)

  • 손성은;강형원;유영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3-94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haracteristic study on Bell's palsy patients using the Core Seven Emotion Inventory (CSEI) followed by correlation analysis with BAI and BDI.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medical records of 30 patients that had visited ${\bigcirc}{\bigcirc}$ University Oriental hospital and completed the Core Seven Emotions Inventory (CSEI), BAI and BDI. A total of 30 patients diagnosed with Bell's palsy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IBM, United States of America, Version 22.0).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repeated measure,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1. Kyeong (驚), Bi (悲) and Gong (恐) emotion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U (憂), Hui (喜). 2. According to sex, female patients exhibited higher Kyeong (驚) and Gong (恐) emotions than male patients. 3. According to age, patients older than 60 exhibited higher Hui (喜) emotion than patients younger than 59. 4.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prognosis and age in patients older than 60 revealed negative correlation in Kyeong (驚) and Gong (恐) emotions. Conclusions: Using the Core Assessment Instrument based on Chiljeong for Bell's palsy patients is effective relative to diagnostic and clinical aspects of Bell's palsy.

Arousal and Valence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Long Short-Term Memory and DEAP Data for Mental Healthcare Management

  • Choi, Eun Jeong;Kim, Dong Keun
    •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09-316
    • /
    • 2018
  • Objectives: Both the valence and arousal components of affect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managing mental healthcare because they are associated with affectiv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Research on arousal and valence analysis, which uses images, texts, and physiological signals that employ deep learning, is actively underway; research investigating how to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is needed.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design a deep learning framework and model to classify arousal and valence, indicating positive and negative degrees of emotion as high or low. Methods: The proposed arousal and valence classification model to analyze the affective state was tested using data from 40 channels provided by a dataset for emotion analysis using electrocardiography (EEG), physiological, and video signals (the DEAP dataset). Experiments were based on 10 selected featured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 data points, using long short-term memory (LSTM) as a deep learning method. Results: The arousal and valence were classified and visualized on a two-dimensional coordinate plane. Profiles were design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hidden layers, nodes, and hyperparameters according to the error rat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an arousal and valence classification model accuracy of 74.65 and 78%, respectively. The proposed model performed better than previous other models. Conclusions: The proposed model appears to be effective in analyzing arousal and valence; specifically, it is expected that affective analysis using physiological signals based on LSTM will be possible without manual feature extraction. In a future study, the classification model will be adopted in mental healthcare management systems.

그림책에 나타난 상상친구의 기능 (The Function of the Imaginary Companion in the Picturebooks)

  • 박현경;봉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80-390
    • /
    • 2022
  • 본 연구는 상상 친구가 등장하는 그림책에서 주인공에게 상상 친구가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출판된 상상 친구가 등장하는 총 26권의 그림책을 대상으로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주인공과 상상 친구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상상 친구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상 친구는 그림책 속에서 주인공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놀이동반자(77%), 돌봄 조언자(42%), 동행자(42%), 다른 자아(38%), 소망 실현자(23%), 정서 공유자(23%), 정서 조절자(19%)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그림책에서 대부분 2-3개의 기능이 수행되고 있었으며 연구결과 나타난 7가지 기능을 주인공과의 관계적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수평적 관계, 수직적 관계, 다른 자아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림책에서 묘사되고 있는 상상 친구는 주인공의 소망을 실현시키고, 돌봐주고 정서조절을 하도록 도움을 주는 존재이기도 하지만, 함께 놀고, 마음을 나누는 동등한 관계와 다른 나를 투영하며 함께 하는 좋은 친구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감성을 기반으로 하는 AI 패션 특성 연구 -사용자 중심(UX) 관점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I Fashion based on Emotions -Focus on the User Experience-)

  • 김민선;김진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1호
    • /
    • pp.1-15
    • /
    • 2022
  • Digital transformation has induced changes in human life patterns; consumption patterns are also changing to digitalization. Entering the era of industry 4.0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a new paradigm in the fashion industry, the shift from developer-centered to user-centered in the era of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The meaning of storing users' changing life and consumption patterns and analyzing stored big data are linked to consumer sentiment. It is more valuable to read emotions, then develop and distribute products based on them, rather than developer-centered processes that previously started in the fashion market. An AI(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algorithm that analyzes user emotion big data from user experience(UX) to emotion and uses the analyzed data as a source has become possible. By combining AI technology, the fashion industry can develop various new products and technologies that meet the functional and emotional aspects required by consumers and expect a sustainable user experience structure. This study analyzes clear and useful user experience in the fashion industry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AI algorithms that combine emotions and technologies reflecting users' needs and proposes methods that can be used in the fash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tilize information analysis using big data and AI algorithms so that structures that can interact with users and developers can lead to a sustainable ecosystem. Ultimately,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the optimized fashion industry through user experienced emotional fashion technology algorithms.

하나에 모리(Hanae Mori) 의상에 나타난 미적 특성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anae Mori's Apparel)

  • 최영옥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613-625
    • /
    • 2007
  • Globalizing the Japanese fashion successfully, Hanae Mori's work awoke the western fashion world's nostalgia towards the East. Analyz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anae Mori's clothes what kinds of aesthetic characteristic that her work had and what kinds of influences that she made in the modern fashion would provide substantial contribution of the world's modern fashion. This study provided forms and remarkable features of Japanese traditional custom, revealed Hanae Mori's life and her philosophies of fashion, and defined Hanae Mori's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her work from 1970's until the retirement, July 2004. Methods of this study are completed by documentary records of Hanae Mori, research papers and fashion magazines that are publish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collected materials from internet. The results of analysis are epitomized as below. Hanae Mori was the first Japanese fashion designer who expresse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Japanese custom with modernity sprit. In the 60's and 70's, especially in the U.S. and European fashion market, she inspired western fashion designers by her original sprit of art: combining Japanese tradition which showed distinctive color and spirit of nature and the western beauty. Hanae Mori created new dress molding from the Kimono's unstructured feature. Her layered look dressing, oblique adjustment and Obi, and others all enabled Mori to express Japanese image into modern fashion. Additionally, in terms of traditional Japanese image being acknowledged world-widely, she played a major contribution in world fashion by suggesting a new vision and raised several sensations in fashion artistry and modeling. Amongst her various patterns, Hanae Mori had butterfly patterns in most of her works, which was her representative symbol. This spoke for her strong will and senses of duty that wanting to inform beauty of Japanese women who were reflected in modern and graceful butterfly patterns. Flowers were another element that symbolized Mori. Using various flower motifs that bloomed in every different four seasons, she connected two images into her fashion; beauty of the nature and enlightening image of vibrating lif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anae Mori's clothes were defined as five: Japonism, naturalism, feminism, eroticism, and modernism. Japonism which is the spirit of Japanese, Mori used the concept to connect the East and the West. Naturalism represented harmony of the nature and the human. Feminism highlighted Eastern women's beauty. Eroticism emitted feminine attraction. Modernism represented simplicity and sophistication. Such aesthetic character illustrated Mori's original emotion that was based on Japanese spirit and she combined it with values of the East and the West. From the analysis of Mori's aesthetic characteristics, it is clearly recognizable her feministic beauty is emanated by her original emotion and sensibility.

초등학생들의 감정인식과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맞춤형 모바일 앱 개발 (Development of a Tailored Mobile Application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etencies of Emotional Awareness and Empathy)

  • 김은정;이유나;이상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85-99
    • /
    • 2014
  • 최근 학교폭력, 집단 따돌림과 같은 청소년 문제가 점차 저 연령화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감정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 기존의 모바일 앱을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 재미위주와 정보제시 접근에서만 이루어져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정교육의 기초적 역량인 감정인식 역량에 초점을 두고 학습자들의 진단과 훈련, 적용이 함께 가능한 교육용 모바일 앱을 프로토타입 수준에서 개발하였다. 모바일 앱을 개발하기 위해서 첫째, 감정인식 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감정인식 역량인 자기감정파악, 자기감정표현, 타인감정파악, 타인감정 공감하기 등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존의 감정인식 앱을 분석하여 감정인식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거시적 설계원리와 미시적 설계전략을 도출하였다. 셋째, 설계원리와 전략에 따른 앱 구조도와 앱 프로토타입에 대해서 전문가 검토 및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완성된 모바일 앱 프로토타입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앱은 재미와 학습, 수행이 함께 이루어지며, 학습자들의 수준에 따른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뿐만아니라, 효율적이고 매력적인 학습공간으로서 체계적인 진단과 훈련을 통해서 초등학생들의 감정인식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