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content of textbooks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31초

3차 교육과정 시기와 7차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ird and Seventh Curriculum Period)

  • 김미순;조완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79-9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사회의 패러다임이 지속되었던 제3차 수학과 교육과정부터 제6차 수학과 교육과정까지를 3차 수학과 교육과정시기로,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라는 패러다임이 지속되고 있는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부터 현재의 2009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를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로 구분하여 두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두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 비교분석을 위하여 3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에는 제3차와 제6차 교육과정 교과서를,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에는 제7차와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를 중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의 '도형의 성질 단원'의 단원 구성 체제, 목표 수준, 과제 유형, 내용 전개 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두시기의 교과서는 단원구성체제는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목표수준 및 과제유형, 내용전개 방식은 개념적 절차적 지식을 요구하는 낮은 수준의 목표 및 과제 유형, 내용전개 방식에 머물러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미 초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내러티브 분석 (Analysis of Narratives of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 of Korea and US)

  • 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489-50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narratives of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s of Korea and US.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ly, what are the form and content of narratives of Korea's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 of Korea and US. Secondly,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s of American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 of Korea and US.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tilized for analyzing narratives of textbooks.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features of Korea's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 are described. Secondly, the features of American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 are described. Thirdly,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both countries' textbook narratives are analyzed. Lastly, the implications for diversifying the narratives of Korea's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 are recommended.

초등 수학교과서의 삼각형의 개념에 대한 예 공간의 분석 (An Analysis on the Example Spaces of the Concepts of Triangles in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박만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43-16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2학년에서 삼각형의 개념을 지도하기 위하여 제시하고 있는 예를 분석하고, 학생들에게 도형의 개념 지도에 있어서의 예 공간의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한국에서 수학교과서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주요한 자료의 하나로 교실에서의 교수-학습 방법과 질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런데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삼각형 개념의 제시는 제한된 예 공간에서의 예들을 제시하고 있다. 학생들로 하여금 삼각형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서 교과서에서 보다 풍부한 예들의 제공할 필요가 있고 학습자로 하여금 보다 풍부한 예 공간의 생성 및 교실에서의 교수-학습과의 연계성의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부모됨의 준비에 관한 내용분석: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함의 (Content Analysis of 'Preparing for Parenthood' Chapter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Implications for Pre-Parent Education Aimed at Adolescents)

  • 김소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73-90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ays to implement pre-parent education for adolescents in regular classes at school. This was achieved by investigating whether the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reflected the goals of pre-parent education. The main texts and activities of chapters with 'preparing for parenthood' in the title from 12 high-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textbook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three pre-parent education goals of develop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parenthood, learning parenting knowledge and skills, and reinforcing parental capa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xtbook contents and activities reflected the three goals of pre-parent education in a balanced manner. Second, both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extbooks tried to motivate students to perceive parenthood and parenting through reflection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own parents. Third, because the textbooks encouraged students to consider parenthood and parenting, they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undertaking pre-parent education to reinforce their parental capacities. Using such textbooks in regular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lasses is expected to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consider parenthood and shape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accordingly, thereby allowing adolescents to prepare themselves for parenthood and become good parents.

《原本老乞大》和《ok!비즈니스중국어》(第三版)的 对比研究 - 以国别化商务汉语教材的编写为中心

  • 유철
    • 중국학논총
    • /
    • 제70호
    • /
    • pp.87-108
    • /
    • 2021
  •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and (Third Edition) textbook. In the introduction part, it puts forward the purpose, significance and research object of the text, combs the general situation of the research on the arrangement of business Chinese textbook, discuss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business Chinese, and then makes a detailed comparative analysis of and Two Business Textbooks for Korean and Chinese. Firstly, the paper compares the compiling principles, compiling purposes and applicable objects. Then, it compares the text content, vocabulary selection, grammar teaching, culture and other aspects. Business Chinese has more international teaching ideas and diversified teaching methods in textbook editing, while the former is more targeted in different countries, reflecting more contents of cultural comparison between China and Korea in textbook content. we hope to find a reasonable plan for the compilation of Korean business Chinese textbooks.

고등학교 기하 교과서 이차곡선 내용 요소 편차에 대한 소고(小考) (A View on the Deviation of Content Elements of Quadratic Curve in High School Geometry Textbooks)

  • 양성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61-77
    • /
    • 2022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기하 교과서에 수록된 이차곡선 성질 관련 세부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교과서별 편차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고등학교 기하 교과서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 요소의 다양성에 대하여 비판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보다 내용 요소의 다양성의 실태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교육과정에서는 이차곡선의 실생활 활용적 측면을 강조하여 그 유용성과 가치를 인식하게 하도록 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분석 결과 교육과정의 취지와 교과서의 구성이 다소 부합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교과서별 내용 요소의 편차가 상당히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수·학습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측면에서 이차곡선의 도입 방식과 성질의 교과서별 다양성은 충분히 인정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같은 전국단위 평가를 통한 대학입시 체제를 지향하고 있는 우리의 교육 현실에서 그 결과는 사회 전반적으로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수학 교과서의 내용적 다양성은 평가적 측면에서 유불리로 해석되기도 한다. 교과서 교수 학습·내용 요소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동시에 평가의 평등성 측면을 반영할 수 있는 교과서 구성에 대하여 재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중학교 '정보' 교과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Analysis of Inquisitive Tendencies in the Units 'Information Society and IT' in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 김자미;장윤재;이원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022-3029
    • /
    • 2011
  •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정보' 교과의 성격 중 하나는 정보사회의 일원으로서 실천적 태도를 고취시킨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교과의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에 대한 구성이 학습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실천에 기여할 수 있을 정도로 탐구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과서의 탐구적 경향 분석을 위해 Romey 분석법을 활용하여, 검정 교과서 중 채택율이 높은 4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6개의 내용 요소에 대한 분석결과 3개 이상의 요소에서 탐구적 경향을 보인 교과서는, 본문지수 에서는 1개, 활동지수에서는 2개 교과서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나 그림 지수, 평가 지수, 장 끝 지수에서는 탐구적 경향을 보인 교과서가 없었다. 본 연구는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대한 의미 분석을 토대로 탐구적 경향에 대한 정량화를 시도하였고, 특정 페이지에 한정하지 않고 해당 영역 전체를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KSL 학습자의 학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과 언어 교육 내용 연구 -역사 교과 텍스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anguage of Content Area for Improving Academic Literacy of KSL Learners: Focusing on History Texts)

  • 신범숙
    • 한국어교육
    • /
    • 제29권3호
    • /
    • pp.117-14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nguistic elements that can promote academic literacy in terms of content-based instructions for KSL learners.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languages for subjects, focus was given to the framework of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that has been extensively used in ELL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History, which is taught in all classes and classified as a required course, was the subject of analysis. From the history curriculum,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exts "Social Studies 5-2" and "Social Studies 6-1"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we can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history textbooks are divided into narrative and analytical explanatory sub-genres based on their content,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need to be focused on to find the main information. Second, the vocabulary of history textbooks should focus on the use of verbs which comprehend material processes. Particularly, learn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in meaning between low-frequency expression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history subject learning for learners in the "Adaptive Korean Course" and will help establish direction in terms of building curriculum contents for KSL learners.

한.일 중학교 가정교과서의 녹색생활교육 내용분석 (Content Analyses of Green Life-Educational Materials in Korean and Japanese Middle School Horne Economics Textbooks)

  • 박미정;조재순;장상옥;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7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가정 교과서에 실린 녹색생활교육 학습자료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l학년과 2학년의 한국 교과서 8권과 일본의 중학교 교과서 2권을 포함하여 총 10권을 분석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가정교과서 분석 결과, 한국 교과서는 모든 영역의 학습자료 유형 중 표/그림/사진 자료가 가장 많고 용어/용어 설명이 많았던 반면, 일본은 구체적인 활동자료가 모든 영역에서 가장 많았다. 학습자료 유형이나 분량은 교과서별 영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과정에 명시된 것은 모든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었다. 자기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과 교과서를 개발할 때에는 구체적인 녹색생활교육 내용을 명시하교 학습자료를 단순 지식보다는 태도와 행동의 변화나 실천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PDF

한국과 베트남 초등 수학교과서의 비교 분석 -평면도형과 넓이 측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Geometry and Area Measurement between the Korean and Vietnames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정유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7-53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학생들의 수학적 문화 배경에 대한 이해를 높여 그들의 수학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과 베트남의 초등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평면도형과 넓이 측정의 지도 내용, 전개 순서, 교수-학습 방안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베트남 교과서는 한국 교과서에 비해 수학적 엄밀성과 논리를 강조하며, 수학적 관련성에 따라 여러 영역의 학습 내용을 통합적으로 다루지만 도형의 합동, 대칭, 포함 관계 등 수학적 연결성에 관한 내용은 다루지 않는다. 한국 교과서는 학생이 도형의 개념을 스스로 찾고 정의하는 활동을 바탕으로 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수학적 생각을 경험도록 하는 반면 베트남 교과서는 도형에 관한 개념을 직접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학생이 익히도록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 다문화 학생의 수학 학습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