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baena cylindrica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8초

Anabaena cylindrica 분해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Lysing Anabaena cylindrica)

  • 최영길;홍엽;신규철;김민성;한명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7-112
    • /
    • 2002
  • 남조류 분해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도창, 팔당 저수지와 석촌 호수로부터 저층시료를 채취하였다. Anabaena cylindrica lawn에 각각의 시료를 도말한 후 11 일간 배양하였고 석촌 시료를 접중한 Anabaena cylindrica lawn에서 Anabaena cylindrica에 분해능을 가지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해능 화인은 남조류와 분해세균을 혼합한 후 chlorophyll a간의 측정과 분리세균의 cell counting방법으로 확인하였고, 세포외 물질이 Anabaena cylindrica를 분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리균주는 16S rDNA 염기서열 분석과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동정하였다. 분리균주의 165 rDNA염기서열을 기초로한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통하여 Bacillus속에 포함하는 계통학적 그룹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Bacillus sp. CHSl으로 명하였다.

수화와 시안세균(Anabaena cylindrica) 생장 억제 미생물 분포도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Bloom and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That Inhibit the Growth of Cyanobacterium (Anabaena cylindrica))

  • 김철호;이정호;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88-193
    • /
    • 1998
  • 대청호의 주요 정점에서 수화의 발생 및 소멸에 따른 환경요인의 변화와 시안세균, 종속영양세균, 그리고 Anabaena cylindrica 생장억제미생물 분포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수온은 온대지역 수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전형적인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pH와 용존산소량, 클로로필 a는 수화 발생기에 높고, 수화의 소멸과 함께 그 농도가 낮아졌다. 조사정점에서는 인이 1차 생산력의 제한요인으로 작용하며, 수화발생기에는 수중생물에 의해 질소고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총질소의 농도가 상승하였다. 조사정점에서 시안세균은 6월 17일부터 분포하기 시작하여 11월 10일까지 Anabaena sp., Aphanizomenon spp., Microcystis spp., Oscillatoria spp., Phormidium spp. 등이 관찰되었다. Anabaena spp.는 7월 23일부터 9월 22일까지 비교적 높은 분포도를 보였고, 9월 29일 이후에는 완전히 소멸하였다. 수화발생기에 종속영양세균과 시안세균 군집은 서로 반비례적으로 변화하였다. Anabaena spp.의 개체군이 증가 또는 사멸하는 시기에 A. cylindrica 생장억제미생물의 분포도가 높았고, A. cylindrica 생장억제미생물 개체수가 감소하면서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가 증가함으로써 세가지 생물군의 군집 사이에는 일정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자연수계 분포하는 미생물은 시안세균의 생장 조절자 역할을 하며, 특히 수화의 소멸 과정에는 이들 미생물이 지대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 PDF

남조류 분해세균 HY0210-AK1의 분리와 특성 및 Anabaena cylindrica 분해 활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ga-Lytic Bacterium HY0210-AK1 and Its Degradability of Anabaena cylindrica)

  • 장은희;김정동;한명수
    • 환경생물
    • /
    • 제21권2호
    • /
    • pp.194-202
    • /
    • 2003
  • 남조류의 대발생이 자주 발생하는 석촌호수와 팔당호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남조류 분해세균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MDM배지 상에서 Anabaena cylindrica를 숙주로 하는 over-layer method를 이용하여 Anabaena cylindrica lawn에서 남조류 분해 세균을 분리하여 HY0210-AK1으로 명명하였다. HY0210-AK1의 형태적, 생화학적 특성은 Rhizobium속과 유사하였으며,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Sphingobium herbicido vorans IFO 16415$^{T}$ 와 99.1%의 높은 유연관계를 보여 Sphingobium herbicidovorans HY0210-AK1로 동정하였다. 잠복기, 대수성장기, 정체기에 있는 Sphingobium herbicidovorans HY0210-AK1를 Anabaena cylindrica NIES-19와 혼합 배양하였을 때, 접종 초기에는 정체기의 Sphingobium herbicidovorans HY0210-AK1를 접종한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살조 효과를 나타냈으나, 접종 7일 이후에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Sphingobium herbicidovorans HY0210-AK1는 $1\times 10^{8}$ CFU $ml^{-1}$ 이상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Anabaena cylindrica NIES-19가 완전히 분해되었다. Sphingo bium herbicidovorans HY0210-AK1와 Anabaena cylin dricaNIES-19를 혼합 배양한 상등액을 여과하여 접종 하였을때는 납조류 성장 저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Sphingobium herbicidovorans HY0210-AK1는 Anabaena cylindrica NIES-19를 직접 공격하여 분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Sphingobium herbicidovorans HY0210-AK1는 Microcystis aeruginosa 분해하였다..

세균에 의한 남조 Anabaena cylindrica의 분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ysis of a Bluegreen Alga Anabaena cylindrica by a Bacterium)

  • 김철호;권오섭;이진애
    • ALGAE
    • /
    • 제18권4호
    • /
    • pp.355-360
    • /
    • 2003
  • A Gram (-), rod-shaped bacterium in size of 1.6-2.8 $\times$ 0.4 μm was isolated from a eutrophic reservoir, which exhibited growth-inhibiting effect against a bluegreen alga (Anabaena cylindrica). This isolate showed positive reactions for catalase and oxidase, and optimal conditions of 35-40°C and pH 9.0. This isolate was designated AC-1 in this manuscript. In a mixed-culture of A. cylindrica and AC-1, their growth patterns were inversely correlated and the bluegreen algal vegetative cells completely disappeared within 24-36 hours. AC-1 showed similar lytic activity in natural water as in an artificial medium. The lytic activity of AC-1 was dependent on the photosynthetic activity of A. cylindrica. When observed under phase contrast microscope, the isolate lysed vegetative cells of A. cylindrica in scattered state in a liquid medium, whereas heterocysts have not been lysed.

Enzyme Profiles of Alga-Lytic Bacterial Strain AK-13 Related with Elimination of Cyanobacterium Anabaena cylindrica

  • Kim, Jeong-Dong;Han, Myung-Soo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184-191
    • /
    • 2004
  • To investigate bacteria with algalytic activities against Anabaena cylindrica when water blooming occurs and to study enzyme profiles associated with alga-lytic activity, various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surface waters and sediments in eutrophic lakes or reservoirs in Korea. Among 178 isolates, only nine isolates exhibited lytic abilities against A cylindrica on the agar plates, and then the isolate AK-13 was selected as the strongest in lysing the cyanobacterium A. cytindrica. The strain AK-13 was characterized and identified as Sinorhizobium sp. based on fatty acid methyl ether profiles and 16S rDNA sequ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nzyme assays, in the strain An-13 of Sinorhizobium sp., alginase, amylase, proteinase (caseinase and gelatinase), carboxymethyl-cellulase (CMCase), laminarinase, and lipase was produced, namely CMCase, laminarinase and protease were highly active. None of glycosidase was produced. Therefore, enzyme systems of Sinorhizobium sp. AK-13 were very complex to degrade cell walls of A. cylindrica. The peptidoglycans of A. cylindrica mat be hydrolyzed and metabolized to a range of easily utilizable monosaccharides or other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substances by Sinorhizobium sp. AK-13.

Anabaena cylindrica 분해세균 AK-07의 동정과 분해 관련 효소활성 조사 (Identification of Alga-lytic Bacterium AK-07 and Its Enzyme Activities Associated with Degradability of Cyanobacterium Anabaena cylindrica)

  • 김정동;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36권2호통권103호
    • /
    • pp.108-116
    • /
    • 2003
  • 부영양화 현상을 나타내는 석촌호수와 팔당호의 표층수와 저니로부터 178개의 균주를 분리한 후, Anabaena cylindrica lawn 상에서 plaque를 형성하는 9개의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남조류 생장 억제 능력이 가장 우수한 AK-07를 선발하였다. AK-07의 특성과 16S rDNA의 염기 서열 분석을 기초로 하여 유연관계를 조사한 결과, 형태적, 생리적 생화학적 특징들은 Acinetobacter속의 특성들과 유사하였으며, 165 rDNA의 염기 서열 분석한 결과는 Acinetobacter johnsonii와 99.5%의 유사성을 나타내어, Acinetobacter johnsonii AK-07로 명명하였다. 남조류 분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AK-07를 A. cylindrica와 혼합 배양시 접종 2일 후에 남조류의 분해가 관찰되었고, 접종 10일 후에는 남조류가 완전히 사멸하였으며, AK-07의 세포 수는 $8\;{\times}\;10^8\;cfu\;ml^{-1}$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배양 상등액을 A. cylindrica와 혼합 배양 하였을 때에는 남조류의 분해는 관찰 되지 않았다. 따라서 AK-07는 남조류를 직접 접촉하여 분해하는 것으로 사료되어, AK-07에 세포에 존재하는 효소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Pretense와 glycanases중에서 ${\beta}$-Xylosidase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Alginase, Laminarinase, Lipase, ${\beta}$-Galactosidase 및 ${\beta}$-Glucosidase의 활성도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A. johnsonii AK-07은 A. cylindrica의 polysaccharides나 peptidoglycans를 monosaccharides이나 저분자 유기물로 분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수화발생 저수지로부터 남조류 분해능을 가지는 미생물의 분리 (Isolation of the Microbes Having Cyanobacteria Lytic Activity from Blooming Reservoirs)

  • 신규철;한명수;최영길
    • 환경생물
    • /
    • 제20권1호
    • /
    • pp.20-24
    • /
    • 2002
  • 남조류에 의한 수화가 발생한 과림, 도창, 물왕 저수지로부터 시료를 채수 하여 남조류 분해 균주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BG-11배지에 Anabaena cylindrica를 double layer method를 이용하여 남조류 lawn을 만들어 각각의 시료를 $100\mu{l}$씩 smearing하였다. $28^\circ{C}$ 3,000 Lux light chamber에서 13일간 배양하여 도창 저수지 시료를 접종한 Anabaena cylindrica lawn에서 남조류 분해능을 가지는 곰팡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곰팡이의 동정은 Vitek system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Cryptococcous laurentii로 동정되었다. SDS-PAGE 결과 Cryptococcus laurentii는 4개(29, 35.2, 40.9, 51.1 kDa)의 세포외 분비 단백질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Anabaena cylindrica와 혼합 배양시에는 특히 29 kDa의 단백질이 많이 분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Penicillium oxalicum(HCLF-34)으로부터 분비되는 Anabaena cylindrica 세포벽 분해효소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Cell Wall Lytic Enzyme of Anabaena cylindrica from Penicillium oxalicum(HCLF-34))

  • 현성희;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1-236
    • /
    • 1999
  • Penicillium oxalicum 으로부터 세포외로 분비되는 Anabaena cylindrica 분해효소의 분자량은 renaturation SDS-PAGE에서 약 22kDa 으로 확인되었으며, 분해 효소의 농축은 ultrafiltration cut off fraction 중 30-10 kDa 구간에서 수획하였다. 최적 활성조건의 측정 결과 적정 pH는 3.5-4.0, 적정반응 온도는 $20^{\circ}C$, 그리고 온도 안정성은 $4^{\circ}C$ 이하에서 100% 이상, 20-$90^{\circ}C$ 범위에서는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금속이온 및 효소안정제의 영향에서는 $Na^+$,$K^+$, $Ba^(2+)$, $Mg^(2+)$, $Mn^(2+)$의 양이온과 BSA는 효소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반면, $Ca^(2+)$, $Cu^(2+)$의 양이온과 EDTA, PMSF 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였다. 이러한 금속이온과 안정제의 영향에서 1가, 2가 양이온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고, $Fe^(3+)$, $Ca^(2+)$, $Cu^(2+)$의 양이온에 의해서는 활성이 감소하는 결과는 대부분의 세포벽 분해효소가 갖는 특성과 유사한 결과였다. 분해효소는 A. cylindrica 과 Micrococcus. luteus 의 세포벽을 기질로 사용한 효소의 활성 반응에서 반응 시작 후 1시간에서 5시간 사이에 반응 산물로 환원당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 PDF

Isolation of a Bacterium That Inhibits the Growth of Anabaena cylindrica

  • Kim, Chul-Ho;Leem, Mi-Hyea;Choi, Yong-Keel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5권4호
    • /
    • pp.284-289
    • /
    • 1997
  • A Gram (-), rod-shaped bacterium $2.3{\sim}2.8{\times}0.45{\mu}m$ in size which exhibited growth-inhibiting effects against a cyanobacterium (Anabaena cylindrica) was isolated from Daechung Dam Reservoir. This isolate was identified as Moraxella sp. and designated Moracella sp. CK-1. Hollow zones formed around bacterial colonies on the cyanobacterial lawn. In a mixed-culture of A. cylindrica and the isolate, each microorganism grew inverse-proportionally, and the cyanobacterial vegetative cells completely disappeared within 24 hours. On treatment with Moraxella sp. CK-1, cell walls of A. cylindrica disappeared, but sheathes remained in a more electron dense form. The unit membrane such as thylakoidal membrane was stable to bacterial lysing activity. This bacterium showed a broad action spectrum against cyanobacteria. The growth-inhibiting activity of Moracella sp. CK-1 against A. cylindrica is believed to be performed through the excretion of active substances.

  • PDF

Moraxella sp. CK-1의 세포외 Autolysin의 분리 정제 및 활성도 측정 (Purification and Assay of Extracellular Autolysin from Moraxella sp. CK-l)

  • 오영상;이장현;한명수;윤문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8-154
    • /
    • 2003
  • Moraxella sp. CK-1는 남조류 Anabaena cylindrica의 생장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Moraxella sp. CK-1의 세포외 autolysin의 분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리를 시도하였다. 흡광도 660 nm에서 0.7~0.8이 되도록 BGC-11세포배양액에서 키우고, 원심분리로 균주인 Moraxella sp. CK-1를 제거한 뒤 세포배양액을 Amicon ultrafiltration으로 농축을 하였다. 농축한 세포배양액을 $(NH_{4})_{2}SO_{4}$ 로 0~20%, 20~40%, 40~60%, 60~80%로 분획하여 단백질을 14,000${\times}$g로 침전 시켰다. 침전된 단백질을 20 mM Tris-HC1, pH 8.0완충용액으로 현탁시킨 뒤, 동일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투석을 하였다. $(NH_{4})_{2}SO_{4}$로 분획한 뒤 활성확인을 위해 Anabaena Cylindrica가 도포된 평판배지에서 활성을 확인한 결과, 40~60%, 60~80%에서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을 각각 Mono-$Q^{TM}$ HR 5/5 (column volume 1 ml) column을 이용하여 FPLC에서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NH_{4})_{2}SO_{4}$ 로 분획한 40~60%에서는 major peak 3개, 60~80% 분획에서는 2개의 major peak가 분리되었다. Mono-$Q^{TM}$ HR 5/5 column에서 분리되어 나온 major peak 5개를 투석한 뒤 Anabaena cylindrica lawn에서 활성을 확인하였으나 확인이 되지 않았다. PVDF membrane을 이용하여 transfer하여 40~60% 침전에서 17 kDa의 단백질을 얻어냈다. 이를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를 하여 serine pretense의 계열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