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monia-nitrogen

검색결과 1,145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Fermented Potato Pulp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Carcass Traits and Plasma Parameters of Growing-finishing Pigs

  • Li, P.F.;Xue, L.F.;Zhang, R.F.;Piao, Xiangshu;Zeng, Z.K.;Zhan, J.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0호
    • /
    • pp.1456-1463
    • /
    • 2011
  • A total of 629 Duroc${\times}$Landrace${\times}$Large White crossbred pigs were utilized in three experiments (Exp. 1, 222 pigs weighing $25.6{\pm}2.0\;kg$ BW; Exp. 2, 216 pigs weighing 5$6.2{\pm}4.3\;kg$ BW; Exp. 3, 191 pigs weighing $86.4{\pm}4.6\;kg$ BW)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rmented potato pulp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carcass traits and plasma parameters in growingfinishing pigs. Each experiment lasted 28 d. The pigs were assigned to one of two corn-soybean meal-based diets containing 0 or 5% fermented potato pulp. The inclusion of fermented potato pulp increased weight gain (p<0.05) in experiments 1 and 2 and increased feed intake (p<0.05) in experiment 2. Feed conversion was improved (p<0.05) in experiment 2 and showed a tendency to improve (p<0.10) in experiments 1 and 3 when pigs were fed fermented potato pulp. Fermented potato pulp increased (p<0.05) dry matter digestibility in experiments 1 and 3 and energy digestibility in experiment 2. Feeding fermented potato pulp decreased plasma urea nitrogen (p<0.05)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p<0.05) in experiments 1 and 2, while plasma aspartate aminotransferase was decreased (p<0.05) in experiment 3. Dietary fermented potato pulp did not affect the carcass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pigs. Feeding fermented potato pulp reduced (p<0.05) fecal ammonia concentration in all three experiments. In conclusion, feeding growing-finishing pigs diets containing 5% fermented potato pulp improved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s on carcass traits. The improvements in pig performance appeared to be mediated by improvements in nutrient digestibility.

Replacement of corn with rice grains did not alter growth performance and rumen fermentation in growing Hanwoo steers

  • Yang, Sungjae;Kim, Byeongwoo;Kim, Hanbeen;Moon, Joonbeom;Yoo, Daekyum;Baek, Youl-Chang;Lee, Seyoung;Seo, Jakyeo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2호
    • /
    • pp.230-235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realiz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 of rice grains as a replacement for corn grains in the diet of growing Hanwoo steers. Methods: Two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i) Corn total mixed ration (TMR) consisting of 20% corn grains and ii) Rice TMR consisting of 20% rice grains, in a dry matter (DM) basis. These treatments were used for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nd in vivo growth trials. In the rumen fermentation experiment, the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in vitro crude protein digestibility (IVCPD), in vitro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pH, ammonia nitrogen, and volatile fatty acids (VFA) were estimated at 48 h, and the gas production was measured at 3, 6, 12, 24, and 48 h. Twenty four growing Hanwoo steers (9 months old; body weight [BW]: 259±13 kg)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treatment groups and the BW, dry matter intake (DMI),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measured. Results: The in vitro experiment showed that the IVDMD, IVCPD, and VFA production of the Rice TMR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rn TMR (p<0.05). The growth trial showed no differences (p>0.05) in the final BW, ADG, DMI, and FCR between the two TMRs. Conclusion: The use of rice grains instead of corn grains did not exhibit any negative effects on the rumen fermentation or growth performance, thereby rice grains with a DM of less than 20% could be used as a starch source in the diet of growing steers.

유동상 반응기를 이용한 반도체 폐수 내 불소 처리 시 $CaF_2$ 주입량, pH 및 처리수 재순환의 영향 (Effects of $CaF_2$ dosage, pH and Treated Water Recirculation on Fluoride Removal in Treating Semiconductor Wastewater with Fluidized bed Reactor (FBR))

  • 안명기;김진식;김금용;류홍덕;이상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93-5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유동상 반응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질소, 인 및 불소가 동시에 존재하는 반도체 폐수 내 불소 처리시 불소 제거효율 향상, 함수율 저감 및 생성 슬러지($CaF_2$)의 순도 향상을 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H 및 seed 주입량, 유출수의 순환여부에 따른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출수 재순환 시 불소제거효율, 슬러지 순도 및 함수율을 모두 고려할 경우 최적의 pH는 5, seed 주입량은 150 g으로 관찰되었다. 이때의 불소 및 인 제거효율은 94.24 및 8.97%로 나타났고, 함수율은 12.94%로 확인되었다. Seed 주입량의 증가는 불소제거효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유출수 재순환 및 pH 변동에 따른 불소제거효율 감소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환여과식 양식 시스템에서 나일 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의 사육 (Cultur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서근학;김병진;조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7-34
    • /
    • 2002
  • Package 형태로 설계하고 제작된 pilot scale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의 실제 어류 사육 성능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틸라피아를 설계 기준인 $5\%$ (A, B)의 사육 밀도에서 30일간 사육하였고 $7\%$ (C)의 과잉 사육밀도에서 33일간 사육하여 어류 성장과 사육조의 각종 수질을 측정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초기 사육 밀도 $5\%$인 실험 A와 B, $7\%$의 사육밀도인 실험 C에서 각각 1.62, 1.79, 1.80의 사료계수와 $0.452\%$, $0.445\%$, $0.423\%$의 일간 성장률을 보였다. 총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는 설계 기준 사육밀도인 $5\%$로 수용한 실험 A와 B의 경우, $1g/m^3$ 이하로 유지하여 어류 사육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7\%$로 수용한 실험 C에서는 $2{\~}4g/m^{3}$의 농도를 나타내어 최대 $40\%$ 정도는 초과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칼리도의 부족은 질산화 반응을 저해하여 높은 암모니아 및 아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유발하였으며 질산화 반응기의 숙성이 완전하지 않을 경우 아질산의 농도가 암모니아 농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질산화 반응기의 완전한 숙성은 70일 정도 소요되었다. 시스템 내부에서 자연적인 탈질반응이 일부 발생하였고 이와 더불어 보충수의 공급에 따른 희석효과로 설계 사육 밀도보다 높은 $7\%$의 사육 밀도에서도 $60g/m^3$ 이하의 질산성 질소 농도를 유지할 수 있어 별도의 탈질 장치는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처리 장치를 통과하지 않고 사육조 수면으로 공급되는 우회량이 많을 경우 용존산소는 증가하였으나 수처리 장치로 공급되는 유량이 작아 부유 고형물, 유기물 등의 수질 인자가 악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수류확산과 초음파와 오존을 이용한 현장 수질 개선 평가 (Field Study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Circulation, Sonication and Ozonation)

  • 테킬안디넷;김일호;이재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0-18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수원 여천천에서 원천저수지로의 유입부 정체수역에 수류확산장치, 초음파와 오존 처리를 구성한 시스템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항목 단위로 조사하였다. 샘플링은 기기 운전 전과 이후 1, 3, 6 시간에 여섯 지점에서 수집되었다. 수류확산장치만을 작동하였을 때, 용존산소는 80%까지 감소하였고, Chl-a는 하류 25m에서 3시간 후 90%까지 감소했다. 초음파를 병행한 경우에는 장치로부터 100 m 거리까지 Chl-a가 80% 이상 제거되었다. 한편 총 용존 인은 초음파 처리 전 $420({\pm}70){\mu}g/L$에서 처리 후 $160({\pm}40){\mu}g/L$까지 감소되었다. 수류확산장치와 초음파에 오존을 처리한 결과, Chl-a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60{\mu}g/L$에서 $20{\mu}g/L$으로 감소하였다. 오존의 경우 안전을 위해 $3{\times}10^{-3}mg/L$ 및 짧은 반응 시간으로 적용하였으나 시스템에 의한 장치 구성이 오존을 비롯한 처리를 통합하는 효과를 낼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수류확산장치와 초음파 가 보여준 Chl-a의 탁월한 처리 성능은 녹조 형성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인천항 하역장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연구 (An Study on Estimating Cargo Handling Equipment Emission in the Port of Incheon)

  • 조정정;범태황;이향숙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38
    • /
    • 2020
  • 최근들어 항만도시에서의 대기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항만의 하역기계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선박, 트럭 등 타 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항에서 디젤엔진으로 가동되는 하역기계로부터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각 항만하역사로부터 2017년 기준 하역장비의 대수, 제원, 가동시간 등 활동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CO 105.6톤, NOX 243.2톤, SOX 0.005톤, PM 22.8톤, VOC 26.0톤, NH3 0.2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CO와 NOX의 배출은 하역기계 전체 배출량의 87.71%를 차지하였으며, 크레인, 지게차, 트랙터, 로더의 배출량이 하역기계 전체 배출량의 84.79%를 차지하였다. 또한 노후화된 디젤엔진을 장착한 하역기계가 주 배출원임을 규명하였다. 분석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수치는 하역기계에 의한 항만 대기 오염의 심각성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친환경장비 도입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첫째, 오래된 디젤 장비의 LNG연료 또는 전기장비로의 교체가 필요하다. 둘째, NOX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선택적환원촉매(SCR)와 같은 후처리장비의 사용이 필요하다. 향후 체계적이고 공식적인 국가 대기오염배출 인벤토리 정립 방법을 설정하고, 매년 하역기계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모니터링 및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Postpartum Reproductive Management Based on the Routine Farm Records of a Dairy Herd: Relationship between the Metabolic Parameters and Postpartum Ovarian Activity

  • Takagi, Mitsuhiro;Hirai, Toshiya;Moriyama, Naoki;Ohtani, Masayuki;Miyamoto, Akio;Wijayagunawardane, Missaka P.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6호
    • /
    • pp.787-794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1) to confirm the practical efficiency of a routine milk P4 monitoring system for postpartum reproductive management of a dairy herd, and 2)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ood metabolic profiles, milk quality and body weight of individual cows in the farm records, which may reflect the postpartum nutritional condition, and the time of postpartum resumption of ovarian activity of dairy cows. A total of 116 Holstein cows was used in the present study. First, during the period of Experiment 1, postpartum reproductive management based on weekly measured milk P4 concentration from individual cows was conducted. Compared with the reproductive records of the past two years without P4 monitoring, although the day from calving to first AI did not change, both the number of AI until pregnant (with P4; 1.9 times vs. without P4; 2.9 times) and the days open (with P4; 95.1 days vs. without P4; 135.8 days and 133.8 day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Experiment 2, the measurement of blood constituents such as albumin, blood urea nitrogen, packed cell volume, ammonia, glucose, total cholesterol, non-esterified, AST and $\gamma$-GTP was performed on the blood samples taken once approximately 14 days postpartum, to monitor both health and nutritional conditions. The milk constituent parameters, such as milk protein (MP), milk fat (MF), SNF and lactose, collected from the monthly progeny test of individual cows, were used to monitor the postpartum nutritional status. Furthermore, the data obtained from the routine measurements of body weight were used to calculate the rate of peripartum body weight loss. The resumption day of the postpartum estrous cycle was assumed from the milk P4 profiles of individual cows.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between each parameter from blood examination and those from resumption time. However, the cows had low values of MP, and SNF, which significantly affected the resumption of the postpartum estrous cycle. Similarly, a higher rate of body weight loss indicated a significant delay (more than 1 month) in the resumption of the postpartum estrous cycle, compared with the groups that had a medium or lower rate of body weight los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routine milk P4 monitoring-based postpartum reproductive management, together with milk quality parameters and routine BW data available in field conditions may be utilized as a practical approach for increasing the postpartum reproductive efficiency of a high yielding dairy herd.

Leucaena leucocephala and Gliricidia sepium Supplementation in Sheep Fed With Ammonia Treated Rice Straw: Effects on Intake, Digestibility, Microbial Protein Yield and Live-Weight Changes

  • Orden, E.A.;Abdulrazak, S.A.;Cruz, E.M.;Orden, M.E.M.;Ichinohe, T.;Fujihar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2호
    • /
    • pp.1659-1666
    • /
    • 2000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eucaena leucocephala (leucaena) and Gliricidia sepium (gliricidia) supplementation on intake, digestion, outflow rates, microbial protein yield and live-weight changes in sheep fed with ammoniated rice straw (ARS). In experiment 1, three rumen cannulated Japanese Corriedale wether (mean body weight of 35.6 kg) in $3{\times}3$ Latin Square Design were used. Animals were fed ad libitum ARS alone, or supplemented with 200 g of either leucaena or gliricidia. In experiment 2, twenty-four growing native Philippine sheep with average body weight of $13.5{\pm}0.25kg$ were us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and offered similar diets to those of experiment 1. Supplementation increased total dry matter intake and nutrient digestibility except for fiber (p<0.05) without affecting ARS consumption. Nitrogen balance revealed that absorbed and retained 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eucaena and gliricidia.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N utilization and more digestible OM intake brought about by the inclusion of leucaena and gliricidia to ARS resulted in increased (p<0.05) microbial N yield. Efficiency of microbial N supply in supplemented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higher (p<0.05) than the 24.92 g N/kg DOMR for ARS group. Liquid outflow rate was 7.8 and 6.8 %/h, while the solid phase of rumen digesta was 4.4 and 3.8 %/h for the leucaena and gliricidia group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5.30 and 2.50 %/h in the control diet. The increase in total DMI resulted to higher (p<0.01) growth performance and efficient feed utilization. Average daily gain (ADG) was 19.3, 34.6 and 33.9 g/d for the ARS, leucaena and gliricidia respectively.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addition of leucaena and gliricidia to ARS in could increase nutrient intake and digestibility, subsequently improving N utilization and livestock performance.

바이오플락 기술을 활용한 순환침전시스템에 따른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양성 (Bio-floc technology application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quacultur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closed recirculating systems)

  • 조영록;김현수;김수경;김수경;김석렬;허영백;김준환
    • 환경생물
    • /
    • 제37권2호
    • /
    • pp.129-135
    • /
    • 2019
  • 이 연구는 초기 넙치종묘(2.69±0.35 g)를 바이오플락으로 6개월간 1차 양성한 넙치를 이용하여, 침전조 매질(대조구, 바이어볼, 파판)별 7개월간 사육양성을 수행하였다. 7개월간 모니터링 결과 수질은 초기 이후, 주요 독성물질인 암모니아 및 아질산 1 mg L-1 이하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사료계수(FCR)는 사육 5~6개월에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 사육 7개월에는 높은 성장을 나타내며 다른 구간과 비슷한 사료계수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모든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성장과 수질환경이 유지되었으며, 본 실험 모니터링 결과는 최근 환경오염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유수식 넙치양식에서 친환경 미래양식인 바이오플락으로의 전환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illus subtilis KC-3 발효두유의 특성과 항산화 및 AGS 인체위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 (Characteristics,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in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of Soymilk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KC-3 during Fermentation)

  • 정은정;김지영;문숙희;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13-1118
    • /
    • 2010
  • 청국장에서 분리한 B. subtilis KC-3(KCCM 42923)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두유의 발효정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효과 및 AGS 인체위암세포 억제효과 차이를 살펴보았다. 발효진행 된 pH 5.5, pH 5.25, pH 5.0 발효두유의 이화학적 특성을 pH, 균수, 산도, 점도, 아미노태 및 암모니아태 질소를 통해 살펴본 결과, 발효가 진행됨(pH 6.8에서 5.0)에 따라 균수는 $8.5{\times}10^4\;cfu/mL$에서 $7.5{\times}10^7\;cfu/mL$까지 증가하고, 산생성과 점도는 높아졌다. 두유는 발효에 의해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아미노태 질소 및 암모니아태 질소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효두유의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DPPH, ${\cdot}OH$, SOD 유사활성능을 측정해 본 결과, 두유에 비해 발효두유의 항산화 활성이 높아졌고, 발효진행에 따라 그 활성이 더 증가하여 발효두유는 두유에 비해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GS 인체위암세포에서 성장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두유는 두유에 비해 항산화 및 AGS 인체위암세포 성장 억제능을 가지며 이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pH 감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