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mmonia

검색결과 3,482건 처리시간 0.137초

각종 처리에 의한 Aflatoxin의 분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limination of Aflatoxin by Various Treatment)

  • 이정희;정영채;정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01-205
    • /
    • 1973
  • Aflatoxin의 각종 액성에 대한 변화와 위액, 담즙산, 각종 산과 알칼리 및 식염 농도에 따른 열처리시의 그 안정성 및 변화 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Aflatoxin은 액성의 pH가 산성에서보다 알칼리성에서 더욱 감소하였다. 한편 $100^{\circ}C$에서 30분 열처리한 것은 $37^{\circ}C$에서 30분 처리한 것보다 더욱 aflatoxin이 감소하였다. 2) Aflatoxin에 대한 초산(醋酸), 염산, 황산을 각기 1%, 5% 및 10% 액으로 $20^{\circ}C$ 30분 처리할 때에, 초산은 $40{\sim}50%$, 염산은 $48{\sim}73%$ 및 황산은 $68{\sim}84%$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수산화나트륨 및 암모니아의 1%, 5% 및 10%액으로 처리하면 완전히 aflatoxin이 파괴되었다. 3) 인공위액에 대한 aflatoxin은 $37^{\circ}C$ 60분에 약 75%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담즙산에 대하여는 대부분 파괴되었다. 이때 파괴된 물질은 TLC 상에서 Rf치가 0.96이었으며 $220{\sim}420m{\mu}$ 까지의 UV spectrum에서 최대 흡수 파장대는 관찰할 수 없었다. 4) Aflatoxin에 식염을 가하여 $100^{\circ}C$ 30분 열처리하면 그 $39{\sim}55%$의 aflatoxin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식염의 농도에 따라 그 변성도의 차는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납두제조중(納豆製造中)의 단백질(蛋白質), Peptide 및 AminoAcid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nges of Protein, Peptide and Amino Acid During Natto Preparation)

  • 김수영;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8권
    • /
    • pp.11-20
    • /
    • 1967
  • 증자대두(蒸煮大豆)에 납두균(納豆菌)(Bacillus subtilis Natto 492-2)을 접종(接種)하고 $38^{\circ}C$에서 발효(醱酵)시키면서 매(每) 10 시간(時間)마다 시료(試料)를 채취(採取) 처리(處理)하여 납두(納豆) 제조과정중(製造過程中)에 일어나는 단백질(蛋白質)의 변화(變化)와 peptide 및 amino acid의 생성양상(生成樣相)에 관(關)하여 다음과 같이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증자대두(蒸煮大豆)의 불용성(不溶性) 단백태(蛋白態) 질소(窒素)가 84%에서 발효(醱酵) 50 시간(時間)에 44%로 감소(減少)하였고, 수용성(水溶性) 단백태(蛋白態) 질소(窒素)는 약간(若干)의 증가(增加)를 했지만, peptide, amino acid 및 ammonia 태(態) 질소(窒素)가 8%에서 45%로 증가(增加)하여 단백질(蛋白質)의 가수분해(加水分解)가 현저(顯著)하였다. 2. 납두균(納豆菌)에서 분비(分泌)된 효소(酵素)에 의(依)해 분해(分解)된 peptide 및 amino acid으로 분자사별(分子篩別)한 결과(結果), 대체(大體)로 A.P.L.이 작은 저급(低級) peptide가 많이 생성(生成)됨을 알 수 있으며 발효(醱酵) 30 시간(時間) 이후(以後)에는 이전(以前)보다 단백질(蛋白質) 분해(分解)가 미약(微弱)하게 일어나면서 비교적(比較的) 큰 분자(分子)의 peptide 분해(分解)가 주(主)로 일어나 저급(低級) peptide 및 amino acid 생성(生成)이 많았다. 3. 분자사별(分子篩別)한 X-16 fraction을 시료(試料)로하며 paper chromatography에 의(依)한 amino acid 및 peptide를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16종(種)의 amino acid와 그종(種)의 unknown amino acid가 동정(同定)되었는데, 이들 중(中) phenylalanine은 발효(醱酵) 10 시간(時間) 이후(以後), methionine은 20 시간(時間), proline은 30 시간(時間) 이후(以後)부터 각각(各各) 출현(出現)하였고, 또 Rf치(値)가 다른 3점(點)의 peptide 중(中) 1개(個)는 처음부터 나타나서 발효(醱酵) 20시간이후(時間以後) 소실(消失)하였고, 다른 그점(點)은 20 시간(時間), 40 시간이후(時間以後)부터 각각(各各) 계속(繼續)하여 출현(出現)하였다.

  • PDF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Bio-com 시용(施用)이 토양(土壤)의 미생물상(微生物相) 및 화학성(化學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s Bio-com Application on the Changes of Soil Microorganisms, Gas Evolution, and Mineral-N Transformation in Submerged Condition)

  • 김정제;이상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1-357
    • /
    • 1987
  • 상품화(商品化) 되어있는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Bio-com$^{(R)}$을 토양(土壤)에 시용시(施用時) 토양(土壤)의 pH, Eh, gas 생성(生成), Ammonia 화성율(化成率) 질산화성율(窒酸化成率) 및 미생물(微生物)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기 위하여 일반농가퇴비(一般農家堆肥) 및 양송이 폐상퇴비등(等)을 비교(比較)하여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실내시험(室內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삼요소구(三要素區)에 비(比)하여 각종(各種) 퇴비시용(堆肥施用)은 토양(土壤) pH를 상승시키는 경향(傾向)이 있었으며 Bio-com$^{(R)}$ 시용(施用)은 타공시유기물(他供試有機物)과 상이(相異)하지 않했다. 2. 시험후(試驗後) 토양(土壤)의 미생물수(微生物數) 변화(變化)는 삼요소(三要素) 혹은 각종(各種) 퇴비(堆肥)를 삼요소(三要素)와 병용(倂用)하므로서 현저(顯著)한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농가퇴비시용구(農家堆肥施用區)에서 세균수(細菌數)의 증가(增加)가 현저(顯著)하였다. 3. Bio-com$^{(R)}$ 시용(施用)은 항온기간중(恒溫期間中) 질산화성율(窒酸化成率)을 증가(增加)시켰으며 그율(率)은 타처리(他處理)에 비(比)하여 수배정도(數培程度)높아서 밭작물재배지(作物栽培地)에 시용(施用)이 합리적(合理的)이었다. 4. Bio-com$^{(R)}$ 시용(施用)에 의한 gas의 생성(生成)은 일반퇴비(一般堆肥)나 양송이 폐상퇴비(堆肥) 시용(施用)과 비슷한 경향(傾向)을 보였고 $N_2O$의 생성(生成)은 삼요소시용(三要素施用)보다 낮은양(量)을 보였다.

  • PDF

유기물원이 다른 퇴비연용이 밭토양의 물리성 및 미생물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ng-term Application of different Organic Material Sources on Soil Physical Property and Microflora of Upland Soil)

  • 김종구;이상복;김성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65-372
    • /
    • 2001
  • 본 연구는 밭 토양에서 종류가 상이한 퇴비 연용이 토양 중 물리적 특성과 토양 미생물상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밭 토양 토성은 양토와 사양토를 공시하여 계분퇴비, 우분퇴비, 분뇨잔사 및 식품오니퇴비등 4종을 사용하였다. 퇴비 시용량은 0, 40, $80Mg\;ha^{-1}$ 수준으로 처리하여 1994년 1997년도까지 4년간 시험한 주요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토의 용적밀도는 퇴비 무시용구가 $1.49Mg\;m^{-3}$인 반면에 퇴비시용구는 $1.07{\sim}1.32Mg\;m^{-3}$, 사양토는 무시용구 $1.25Mg\;m^{-3}$에서 시용구는 $1.00{\sim}1.20Mg\;m^{-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재배작물별 용적밀도변화는 옥수수재배는 나지와 비슷하였다. 퇴비시용시 유기물 분해미생물은 $5^{\circ}C$보다 $25^{\circ}C$ 조건에서 배양초기에 균수가 급속히 증가되었고, 토성별로는 양토에서 사양토보다 민감하게 증가되었다. 질소순환에 관련된 미생물의 변화는 암모니아 산화균은 배양초기에 많았고, 탈질균은 1~4주까지 증가되다가 다시 감소되었다. 토성별로는 암모니아 산화균은 양토에서, 탈질균은 사양토에서 $25^{\circ}C$ 조건에서 균수가 증가되었다.

  • PDF

간수를 이용한 축산폐수의 struvite 결정화 (Struvite Crystallization of Swine Wastewater using Bittern)

  • 류홍덕;김태수;박형순;이상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8-143
    • /
    • 2007
  • This study goes in for the observ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removal from swine wastewater by struvite crystallization. In addition, the struvite formation potential in supernatants after struvite crystallization was investigated. In the study for nitrogen removal by struvite crystallization, the effects of pH and molar ratio of magnesium (Mg) injected using bittern as Mg source were investigated. Also, the potential of struvite formation in the supernatant with amount of Mg added was carefully observed. As the results, the optimum pH in the removal of nitrogen was 8.8 and sludge volume was increased as pH was raised from 7 to 12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molar ratio of $Mg^{2+}$ to ${NH_4}^+$-N to ${PO_4}^{3-}$-P was 1:1:1. An optimum removal efficiency of ammonia-N was observed at 1 molar ratio of Mg to ${NH_4}^+$-N, showing no further increase at over 1 molar ratio and dramatical deterioration at under 1 molar ratio. However, the sludge volume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molar ratio of Mg. In the experiments for the potential of struvite formation in the supernatants, initial -log([$Mg^{2+}$][${NH_4}^+$][${PO_4}^{3-}$]) value was much lower than $pK_{sp}$ and gradually reached $pK_{sp}$ at 2 days, as the molar ratio of Mg increased over 1.2. At 31 days, -log([$Mg^{2+}$][${NH_4}^+$][${PO_4}^{3-}$]) value was returned to the initial value. In addition, the supernatants had a potential precipitation of hydroxylapatite due to calcium contained in bittern, $K_2Mg(SO_4)_3$ and $K_3Na(SO_4)_2$ resulting from the decrease of sodium and potassium in supernatants formed after struvite crystallization as times go by. Based on the results, it appears that some retention time and proper dosage of Mg may be needed for the prevention of scale in pipe line.

왕겨의 효소 당화 증진을 위한 전처리 방법 연구 (Study on the pretreatment of rice hull to enhance enzymatic saccharification)

  • 박선태;구본철;최용환;문윤호;차영록;김중곤;안기홍;박광근;박돈희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2.1-112.1
    • /
    • 2011
  •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여건상 연간 추정치로 싸라기 약 12만톤, 미강 약 49만톤, 왕겨 약 79만톤의 벼 도정 부산물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벼 도정 부산물 중 비식량 자원인 왕겨를 대상으로 고효율 효소 당화를 위한 바이오매스 전처리 방법을 탐색하였다. 왕겨 원시료의 초기 조성은 셀룰로스 34.5%, 헤미셀룰로스 20.5%, 리그닌 25.3%, 회분 14.6%로 나타났는데, 억새 등 초본계 바이오매스와 비교하여 특이하게 높은 성분은 회분으로 이는 벼에 대한 규산질 비료의 시용에서 기인한 것이다. 바이오매스 전처리에 많이 사용되는 암모니아, 희황산 용매와 규산염에 침식성을 가지는 가성소다 용매를 이용하여 각 용매별 단독 및 알칼리-산 복합 처리 하였을 때 효소 가수분해 효율, 고상시료 성분변화 등을 상호 비교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하여 암모니아 처리조건은 15%(w/w) $150^{\circ}C$ 20분, 가성소다 처리조건은 1.5%(w/w) $150^{\circ}C$ 20분, 희황산 처리조건은 1.0%(w/w) $150^{\circ}C$ 10분으로 설정하였다. 암모니아 단독, 희황산 단독, 암모니아-희황산 복합 처리 시료의 효소 가수분해 효율은 각각 37.8%, 39.1%, 42.8%로 약 40%선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가성소다 단독, 가성소다-희황산 복합 처리시료의 효소 가수분해 효율은 각각 62.7%, 82.8%로 나타나 앞선 3가지 처리방법 대비 50%, 100%에 가까운 효소 가수분해 효율 향상을 보였다. 이 때 전처리 고상시료의 성분 변화를 살펴보면 회분 함량에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암모니아 단독, 가성소다 단독, 희황산 단독, 암모니아-희황산 복합, 가성소다-희황산 복합 처리에서 각각 47.8%, 77.1%, 43.5%, 55.8%, 94.7%의 회분 성분 기각률(rejection rate)을 나타냈다. 이는 왕겨 효소 가수분해 효율의 최대 저해요인이 회분임을 추정할 수 있다. 왕겨 전처리 알칼리 용매는 암모니아보다 가성소다가 더 효과적이었고 희황산 복합 처리시 그 효과가 크게 상승하였다. 따라서 규산염(회분) 함량이 높은 바이오매스는 고온 고압 조건에서 가성소다 용액으로 처리한 후 그 고상분을 희황산 용액으로 복합 처리하는 시스템이 효소 당화 증진에 매우 유리함을 확인하였다.

  • PDF

반추가축전용 기후변화대응 비식량자원 거대억새의 생육부위 및 시기에 따른 체내 이용가치 비교 연구 (Effect of Different Parts and Growing Stages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as a non-Food Resource that does not Contribute towards Climate Change on Metabolic Availability in Ruminants)

  • 오성진;송완선;김미소;최솔잎;이수록;김은성;김용수;최낙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37-450
    • /
    • 2013
  • 거대억새 1호는 한국에서 새로이 개발된 품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거대억새 1호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in vitro 반추위 발효 시험 및 in situ 건물소화율을 조사하였다. in vitro 발효에 따른 pH는 전반적으로 거대억새 1호 시험구들이 RS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다. 1y4m에서 다른 시험구에 비해 가장 높은 acetate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propionate 및 전체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에서 시험구들간 유의성이 배양 9, 24 및 48시간에서 나타났다. in situ 건물소실율 시험 결과 RS(60.51%) > 1y4m(57.65%) > 2y4m(57.63%) > 2y8m(46.28%)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른 예취시기가 거대억새 1호의 영양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을 반영한다. 그러나 거대억새 1호가 반추가축을 위한 양질의 조사료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실제 사양시험이 우선되어야 한다.

반도체 웨이퍼 제조공정 클린룸 구조, 공기조화 및 오염제어시스템 (Clean Room Structure, Air Conditioning and Contamination Control Systems in the Semiconductor Fabrication Process)

  • 최광민;이지은;조귀영;김관식;조수헌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2-210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lean room(C/R) structure, air conditioning and contamination control system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semiconductor work environment and workers' diseas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200 mm and 300 mm semiconductor wafer fabrication facilities. The C/R structure and air conditioning method were investigated using basic engineering data from documentation for C/R construction. Furthermore, contamination parameters such as airborne particles, temperature, humidity, acids, ammonia, organic compounds, and vibration in the C/R were based on the International Technology Roadmap for Semiconductors(ITRS). The properties of contamination control systems and the current status of monitoring of various contaminants in the C/R were investigated. Results: 200 mm and 300 mm wafer fabrication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fab(C/R) and sub fab(Plenum), and fab, clean sub fab and facility sub fab, respectively. Fresh air(FA) is supplied in the plenum or clean sub fab by the outdoor air handling unit system which purifies outdoor air. FA supply or contaminated indoor air ventilation rates in the 200 mm and 300 mm wafer fabrication facilities are approximately 10-25%. Furthermore, semiconductor clean rooms strictly controlled airborne particles(${\leq}1,000{\sharp}/ft^3$), temperature($23{\pm}0.5^{\circ}C$), humidity($45{\pm}5%$), air velocity(0.4 m/s), air change(60-80 cycles/hr), vibration(${\leq}1cm/s^2$), and differential pressure(atmospheric pressure$+1.0-2.5mmH_2O$) through air handling and contamination control systems. In addition, acids, alkali and ozone are managed at less than internal criteria by chemical filters. Conclusions: Semiconductor clean rooms can be a pleasant environment for workers as well as semiconductor devices. However, based on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t may be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semiconductor processes and the work environment.

A Case of Neonatal Intrahepatic Cholestasis Caused by Citrin Deficiency (NICCD) Confirmed by SLC25A13 Mutation

  • 손영배;장주영;박형두;이수연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6-190
    • /
    • 2014
  • 시트룰린혈증 2형은 SLC25A13 유전자 결함으로 인한 시트린 결핍에 의한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이다. 시트룰린혈증 2형은 임상적으로 '시트린 결핍증에 의한 신생아 간내 담즙정체(NICCD)'와 '성인기 발병형 시트룰린혈증 2형'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NICCD는 영아기 간내 담즙정체, 지방간, 간기능 장애, 저단백혈증과, 혈액 응고장애, 저혈당증, 성장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임상증상과 생화학적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질환을 의심하에 SLC25A13 유전자 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무증상 상태에서 신생아 대사이상 선별검사를 통해 진단되기도 한다. 저자들은 신생아 대사이상 선별검사는 정상이었으나 지속되는 황달로 입원한 3개월 남아에서 SLC25A13 유전자 검사로 확진된 NICCD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지속적 황달과 경도의 고암모니아 혈증과 간효소 수치의 상승, 직접 빌리루빈의 상승을 보이고, 혈장 아미노산 분석 결과 시트룰린과 메티오닌, 트레오닌 상승을 보였다. 시트룰린 혈증 2형 의심 하에 시행한 SLC25A13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c.[852_855delTATG](p.Met285Profs*2)과 c. [1180+1G>A] 이형접합 변이가 발견되었다. 신생아 대사이상 선별검사 결과가 정상이었다고 하더라고 간내 담즙정체가 있는 영아는 NICCD를 감별진단 중 하나로 고려하여 암모니아 및 혈장 아미노산 분석을 포함하여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신생아 후기에 증상을 발현하여 비교적 양호한 예후를 보이는 Carbamoyl Phosphate Synthetase 1 Deficiency 1례 (A Case of Carbamoyl Phosphate Synthetase 1 Deficiency with a Relatively Good Prognosis Presented in the Late Neonatal Period)

  • 박에스더;김민선;송아리;임민지;장자현;김지혜;조성윤;진동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29
    • /
    • 2018
  • Carbamoyl phosphate synthetase 1 (CPS1) 결핍은 고암모니아혈증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 회로 이상 질환 중 하나로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2q35 염색체에 존재하는 CPS1 유전자 변이로 인해 발생된다. CPS1 결핍은 발병 연령에 따라 신생아형과 신생아기 이후에 발생하는 지연형으로 나뉜다. CPS1 결핍의 임상 양상의 중증도는 주로 효소 활성 결핍의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고암모니아혈증으로 신경 기능 이상 및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본 증례는 생후 25일 즈음 구토, 의식 저하, 고암모니아혈증을 보여 시행한 생화학적, 분자유전학적 검사(targeted gene panel sequencing)를 통해 CPS1 결핍을 진단하였다. 수액 치료, 관장, 소듐 벤조에이트 치료로 고암모니아혈증 및 임상 양상 호전 보여 응급 투석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생후 17개월까지 관찰한 결과 고암모니아혈증의 재발없이 성장과 발달 및 신경학적 예후가 좋음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