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aranthus mangostanu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참비름 (Amaranthus mangostanus)에서 항바이러스성 단백질 (AAP29)의 분리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viral Protein (AAP29) from the Leaves of Amaranthus mangostanus)

  • 이승인;김영태;황영수;조강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28-533
    • /
    • 1995
  • 참비름 (Amaranthus mangostanus) 잎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여 S-Sepharose, Sephacryl S-200 HR, CM-Sepharose, Blue 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단백질 합성 저해능이 있는 항바이러스성 단백질 (Amarnanthus antiviral protein, AAP29)을 분리하였다. 정제된 단백질의 분자량은 SDS-PAGE에서 약 29,200이었으며, 등전점은 9.0$50^{\circ}C$에서 20분간 처리한 경우에도 활성의 변화는 없었으며, 이 단백질의 단백질합성 저해능 활성을 in vitro translation system에서 측정한 결과 50% 저해농도 ($IC_{50}$)는 0.18 nM이었다. 담배잎 표면에 AAP29와 cucumber mosaic virus (CMV)를 함께 접종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생물검정한 결과 AAP29는 virus 감염를 현저히 저하시켰다. AAP29의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은 ADLTFTVTKDGTSQSYXTLXNXWRXW이었으며 기존에 알려진 다른 RIP과의 동질성은 없었다.

  • PDF

씀바귀와 비름의 휘발성 풍미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Ixeris dentata and Amaranthus mangostanus)

  • 김미경;이미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4호
    • /
    • pp.394-399
    • /
    • 1988
  • 야생 식용 산채류중 씀바귀와 비름의 휘발성 풍미성분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해서 GC와 GC-MS 조합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씀바귀에서는 alcohols류 13종, esters류 9종, aldehydes류 12종, ketones류 6종, hydrocarbons류 9종, acids류 6종, phenols류 3종 그리고 기타 3종의 총 61 성분이 확인 되었다. 비름에서는 alcohols류 15종, esters류 5종, aldehydes류 13종, ketones류 8종, hydrocarbons류 3종, acids류 7종, 기타 5종의 총 56 성분이 확인되었다.

  • PDF

Glomerella cingulata에 의한 비름 탄저병 (Anthracnose of Amaranthus mangostanus Caused by Glomerella cingulata in Korea)

  • 권진혁;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0-43
    • /
    • 2003
  • 2002년 9월 경상남도 산청군 비름 군락지에서 줄기에 탄저병이 발생하였다. 분리된 병원균의 PDA 배지에서 균총은 회색이고 배지상에서 자낭을 형성하였다. 분생포자 모양은 단세포로 원통형이며 크기는 $10.5{\sim}21.7{\times}3.8{\sim}6.0{\mu}m$였다. 부착기 모양은 원통형 또는 난형으로 암갈색을 띠고 크기는 $5.6{\sim}13.7{\times}4.6{\sim}11.4{\mu}m$였다. 자낭각의 색깔은 검은색으로 구형이며 크기는 $79.7{\sim}286.7{\mu}m$였다. 자낭은 8개이며 모양은 곤봉 또는 원통형이며 크기는 $47.7{\sim}89.7{\times}8.1{\sim}13.3{\mu}m$였다. 자낭포자는 방추형 또는 원통형으로 약간 굽었으며 크기는 9.3{\sim}20.3{\times}4.6{\sim}6.3{\mu}m$였다. 분리된 병원균을 건전한 비름에 접종한 결과 감염을 일으켰으며 병징은 같았다. 이 병원균을 Glomerella cingulata에 의한 비름 탄저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비름과식물즙액에 의한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감염억제효과 (Inhibition of Tobacco Mosaic Virus Infection by the Crude Sap Extracted from Amaranthaceae Plants)

  • 최장경;정옥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37-141
    • /
    • 1984
  • 비름과 식물즙액에 의한 TMV 감염억제효과는 공시한 6종의 비름식물중 비름이 $94.6\%$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비름즙액의 물리화학적성질중, 내열성은 $60^{\circ}C$, 내보존성은 1일, 내희석성은 1/4 희석농도까지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수소이온 농도의 변화에는 매우 안정된 성질을 보였으며, 특히 산성영역에서는 모두 $90\%$ 이상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비름즙액을 활성탄으로 처리하였을 경우는 TMV에 대한 억제효과는 거의 소실되었다. 비름즙액에서 추출한 단백질은 전기영동결과, 3종의 주성분으로 분리되었고 이들 중 top 성분에서 TMV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비름즙액의 실용화를 위한 도말액 효과특속성은 2회 관수에서 $80\%$ 정도의 억제능을 보였다.

  • PDF

Damping-off of Edible Amaranth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4

  • Kim, Wan-Gyu;Shim, Hong-Sik;Lee, Gyo-Bin;Cho, Weon-Dae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25-328
    • /
    • 2020
  • Damping-off symptoms were frequently observed on young plants of edible amaranth (Amaranthus mangostanus) grown in vinyl greenhouses by farmers located in Goyang and Yangpyeong in Korea during disease surveys carried out in 2019 and 2020. The incidence of the disease was 1-20%. A total of eight isolates of Rhizoctonia sp. were obtained from the stems of the diseased plants. All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Rhizoctonia solani AG-4,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astomosis test. Three isolates of R. solani AG-4 were tested for pathogenicity on edible amaranth by artificial inoculation. All the tested isolates of R. solani AG-4 induced damping-off symptoms on the inoculated plants; these symptom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on the vinyl greenhouse plants survey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R. solani AG-4 causing damping-off in edible amaranth.

Screening of Sterol Biosynthesis Inhibitors from Natural Products Using Recombinant Yeast Carrying Human Lanosterol Synthase

  • Sung, Chung-Ki;Kim, Eun-A;Chu, Yun-Ho;Shibuya, Masaaki;Ebizuka, Yutak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299-303
    • /
    • 2003
  • For the screening of inhibitors of sterol biosynthesis from natural products, a simple and rapid assay method was developed using recombinant yeast carrying human lanosterol synthase, main target of this assay method. Sterol biosynthesis inhibition activity was monitored only by the inhibition of growth of the recombinant yeast. By changing the substrate, this assay method can figure out which step is inhibited in the sterol biosynthesis by the test material. With this assay method total 102 plant samples were screen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y of sterol biosynthesis. Among plant water extracts screened, 11 plant samples showed inhibitory activity on sterol biosynthesis in ergosterol (-) medium. For selection of the specific inhibitory materials, 11 plant samples were reassayed in ergosterol (+) medium. After all 5 plant samples, Abutilon avicennae Gaertn. (stem), Alnus japonica Steud. (stem), Amaranthus mangostanus L. (aerial part), Philadelphus schrenckii Pupr. (leaf) and Pimpinelia brachycarpa Nakai (aerial part), showed specific inhibitory activity.

농업생태계에서 농경지유형에 따른 C4식물의 출현과 분포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C4 Plants under Diverse Agricultural Field Types in Korea)

  • 조광진;오영주;강기경;한민수;나영은;김미란;최락중;김명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5-101
    • /
    • 2013
  • 본 연구는 논, 밭, 과수원, 도로변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상을 조사하여 $C_4$식물의 분포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간 수행되었다. 그 결과, 총 74과 231속 352종이 확인되었으며, 쌍자엽식물 255종, 단자엽식물 89종, 양치식물 8종으로 분류되었다. 농경지유형별로는 논에서 55과 203종, 밭에서 49과 218종, 과수원에서 44과 115종, 도로변에서 48과 202종이 출현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논은 쑥과 고마리, 밭과 도로변은 쑥과 개망초, 과수원은 닭의장풀과 바랭이로 대표되며 농업생태계에서 출현율이 가장 높은 식물은 쑥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출현식물 중 $C_4$식물은 8과 25속 38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논, 과수원, 도로변에서는 $C_4$ 단자엽식물의 출현율이 높았으며 밭에서는 다른 농경지유형에 비해 쌍자엽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C_4$식물의 출현율 차이는 고온 건조한 우리나라 밭 주변 식물서식환경을 반영하고 있으며, 논과 과수원은 상대적으로 습윤한 미기후조건에서 건조조건이 아니라 온도조건에 의해 $C_4$ 단자엽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농업생태계를 대표하는 $C_4$식물 중 단자엽식물은 바랭이와 닭의장풀이며 쌍자엽식물은 개비름과 명아주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에서 총 47종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으며 토양의 수분환경조건이 상대적으로 건조한 밭과 도로변에서 많은 귀화식물이 출현하였다. 귀화식물 가운데 $C_4$ 식물은 비름속의 개비름과 털비름 2종으로 나타났으며, 단자엽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유형에 따른 대표적인 $C_4$식물의 분포특성이 확인되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의 상승으로 고온에 적응성이 높은 $C_4$식물의 새로운 유입과 이미 유입된 종 가운데 농업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래식물의 확산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무기태 질소와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이 Orchargrass 초지의 건물수량과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ication Rates of Mineral N and Cattle Slurry on the Dry Matter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s of Orchargrass Sward)

  • 이주삼;김성준;권진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3-51
    • /
    • 1995
  • Tlis experiment was to study the effects of application rates of mineral N and cattle slurry on the dry matter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s of Orchardgrass sward grown in 4 cuttings in a year. Annual rates of mineral N of O($N_0$), 120kg(($N_1$), 240kg(($N_2$) and 360kg/ha(($N_3$) were applied as urea, and cattle slurry applied at rates of O(($N_0=N_0$), $40m^3$($S_1$), $80m^3$(($S_2$) and $120m^3$($S_3$), suppling 120kg, 240kg and 360kgl ha,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imiting annual application rates of mineral N and cattle slurry was estimated about 120kg/ ha. 2. The growth of Orchardgrass after the 3rd cut was decreased by summer depression. Consequently, the botanical compositions of Orchardgrass showed only 7.7% and 4.0% in 3rd and 4th cut, respectively. However, the 15 and 17 species of weeds originated in 3rd and 4th cut. 3. The botanical compositions of Amaranthus mangostanus in 3rd cut and Portulacea aleracea in 4th cut were greatly increased with application rates of cattle sluny. 4. Relative efficiency of cattle sluny for the dry matter production of Orchardgrass as compared to mineral N were 93.396, 99.5% and 113.6% in 120kg, 240kg and 360kglha at rates of cattle slurry, respectively.

  • PDF

울릉도(鬱陵島)에 발생(發生)하는 잡초종(雜草種) (Weed Flora of Ulreung Island in Korea)

  • 김길웅;권순태;이인중;김상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65-279
    • /
    • 1987
  • 울릉도(鬱陵島)의 농경지(農耕地)와 농촌지주변(農村地周邊)에 발생(發生)하는 하계잡초(夏季雜草)를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잡초(雜草) 42과(科) 140종(種)이 조사(調査)되었다. 2. 농경지(農耕地) 및 비농경지(非農耕地)에 우점(優占)하는 잡초종(雜草種)은 바랭이, 쇠비름, 여뀌, 씌뜨기, 쑥, 닭의장풀, 강아지풀 순(順)이며 특(特)히 농경지(農耕地)에 쇠뜨기가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3. 농경지(農耕地)에서는 26과(科) 60종(種)의 잡초(雜草)가 조사(調査)되었고 여뀌와 방동사니군락(群落)로 형성(形成)되어 있었다. 4. 악초재배지(樂草載培地)는 26과(科) 60종(種)의 잡초(雜草)가 조사(調査)되었고 여뀌, 비름, 큰방가지똥군락(群落)으로 구성(構成)되었고 여뀌와 비름군락(群落)사이에 비름과 별꽃이 추이대(推移帶)로서 군락변천과정(群落變遷過程)에 있었다. 5. 농경지주변(農耕地周邊)에서는 40과(科) 116종(種)의 잡초(雜草)가 조사(調査)되었고 개망초, 쇠비름 및 괭이밥군락(群落)이 형성(形成)되어 있었다. 6. 계곡(溪谷)에서는 34과(科) 94종(種)의 잡초(雜草)가 조사(調査)되었고 큰 방가지똥과 질경이군락(群落)으로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