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zheimer's Disease Classification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초

알츠하이머 병의 검출을 위한 ML-SVM, PCA, VBM, GMM을 결합한 융합적 성능 비교 (Convergence performance comparison using combination of ML-SVM, PCA, VBM and GMM for detection of AD)

  • 사우라르 알람;권구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7
    • /
    • 2016
  • 구조적 MRI 영상은 여러 단 변량과 다변량 방법을 위해 그레이 메터 (GM), 화이트 메터 (WM), 뇌척수액 (CSF) 세션화 과정을 하고 난후 형태계측학적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한다. 새로운 접근 방법은 매우 가벼운 알츠하이머 병에서 가벼운 알츠하이머병의 진단을 위해 적용된다. 간이정신상태검사에 따른 형태계측학적 특징과 가우시안 복합 모델 파라미터를 결합하여 정상인으로부터 알츠하이머 병 환자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결합한 특징은 주성분 분석 기법을 이용한 고차원의 저주를 제거한 후 다중 커널 SVM 분류기에 공급한다. 제안한 진단 방법의 실험적 결과는 90%이상의 특성도와 고민감도에 따라 다중 커널 SVM을 가진 층화 정확도가 96%까지 최대 산출한다.

A Mini Review on Aβ Oligomers and its Pathogencity

  • Tuyet, Pham Thi Dieu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79-86
    • /
    • 2014
  • Amyloid oligomers are believed to play important causal roles in many types of amyloid-related degenerative diseases. Many different laboratories have reported amyloid oligomers that differ in size, morphology, toxicity, and method 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raising the ques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se oligomer preparations. The structural plasticity tha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amyloid formed from the same protein sequence indicates that it is quite possible that different oligomer preparations may represent distinct structural variants. In view of the difficulty in determining the precise structure of amyloids, conformation- and epitope-specific antibodies may provide a facile means of classifying amyloid oligomer structures. Conformation-dependent antibodies that recognize generic epitopes that are specifically associated with distinct aggregation states of many different amyloid-forming sequences indicate that there are at least two fundamentally distinct types of amyloid oligomers: fibrillar and prefibrillar oligomers. Classification of amyloid oligomers according to their underlying structures may be a more useful and rational approach than relying on differences in size and morphology.

BERT 기반 2단계 분류 모델을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치매와 조현병 진단 (BERT-based Two-Stage Classification Models for Alzheimer's Disease and Schizophrenia Diagnosis)

  • 정민교;나승훈;김고운;신병수;정영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58-563
    • /
    • 2021
  • 알츠하이머병 치매와 조현병 진단을 위한 2단계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정상군과 환자군의 발화에 나타난 페어 언어 모델 간의 Perplexity 차이에 기반한 분류와 기존 단일 BERT 모델의 미세조정(fine-tuning)을 이용한 분류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Perplexity 기반의 분류 성능이 알츠하이머병, 조현병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 하였고, 조현병 분류 모델의 성능이 소폭 증가하였다. 향후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에 따른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었다.

  • PDF

혈소판 라만 스펙트럼의 효율적인 분석을 위한 기준선 보정 방법 (A Baseline Correction for Effective Analysis of Alzheimer’s Disease based on Raman Spectra from Platelet)

  • 박아론;백성준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9권1호
    • /
    • pp.16-2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알츠하이머병이 유도된 형질전환 마우스로부터 획득한 혈소판 라만 스펙트럼의 분석을 위해 가우시안 모델을 이용한 커브 피팅으로 기준선을 추정하고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측정된 라만 스펙트럼은 의미 있는 정보와 불필요한 노이즈 성분인 기준선과 가산 노이즈를 포함하고 있다. 스펙트럼의 효율적인 분석을 위해 노이즈를 포함하고 있는 스펙트럼을 몇 개의 피크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로컬 영역의 스펙트럼을 가우시안 모델을 이용한 커브 피팅으로 모델링한다. 가산 노이즈는 원 스펙트럼을 이 델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명백하게 제거된다. 피팅된 모델의 로컬 최저점을 linear, piecewise cubic Hermite, cubic spline 알고리즘으로 보간하고 기준선을 보정한다. 기준선을 보정한 피팅 모델은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특징을 추출하고 SVM(support vector machine)과 MAP(maximum $a$ posteriori probability) 분류 방법으로 성능 비교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linear 보간법이 모든 주성분 수에 대한 분류율의 평균에서 우세하였고 특히 piecewise cubic Hermite 보간법은 주성분의 수가 5개인 경우에서 SVM 분류율이 약 97.3%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이전의 연구 결과와 비교를 통해 제안한 기준선 보정 방법이 혈소판 라만 스펙트럼의 분석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치매, 경도인지장애의 한의진료 현황, 진단 및 치료에 대한 한의사의 인식도 조사 연구 -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와 일반의의 차이를 중심으로 - (A Survey of the Recognition on the Practice Pattern, Diagnosis, and Treatment of Korean Medicine of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Neuropsychiatrists of Korean Medicine and General Physicians -)

  • 서영경;유동근;김환;김시연;이고은;김상호;강형원;정인철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3-274
    • /
    • 2017
  • Objective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medical practice pattern,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mentia through recognition survey, and to use it as a preliminary data for various dementia research. Method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hrough expert meetings. The disease was defined as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reas were designated to practice pattern, diagnosis and treatment. From December 18, 2016-January 18, 2017, 221 respondents, including 36 neuropsychiatrists of Korean Medicine and 185 general physicians (including other medical specialists) were included. Results: 1. In both groups, the most commonly used KCD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 and cause of death) were in the order of Unspecified Alzheimer's Dementia (F00.9), Mild Cognitive Impairment (F06.7), and Unspecified Dementia (F03). 2. The most commonly used pattern identification were zang-fu and qi-blood-yin-yang in both groups. 3. Diagnostic evaluation tools were mainly conducted by MMSE, radiologic examination, K-DRS, GDS and CDR in both groups. 4. Both groups reported using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mainly. 5. In both groups, the acupuncture method was used extensively in the order of Body, Scalp, and Sa-Am. 6. Neuropsychiatrists used a variety of herbal medicines such as Wonjiseokchangpo-san (Yuanzhushichangpu-san), Yukmijihwang-tang (Liuweidihuang-tang), Palmijihwang-won (Baweidihuang-won), Sunghyangjungki-san (Xingxiang Zhengqi-san) and Ondam-tanggami (Wendan-tangjiawei). General physicians used a variety of herbal medicines such as Ondam-tanggami (Wendan-tangjiawei), Bojungikgi-tang (Buzhongyiqi-tang), Yukmijihwang-tang (Liuweidihuang-tang). 7. Neuropsychiatrists used a variety of Korean herbal preparation products (benefit and non-benefit) such as Ekgan-sangajinpibanha (Yigan-sanjiachenpibanxia), Yukmijihwang-tang (Liuweidihuang-tang), Jodeung-san (houteng-san), Palmijihwang-won (Baweidihuang-won). General physicians used a variety of Korean herbal preparation products such as Bojungikgi-tang (Buzhongyiqi-tang), Banhabaegchulcheonma-tang (banxiabaizhutianma-tang), Yukmijihwang-tang (Liuweidihuang-tang), Ekgan-sangajinpibanha (Yigan-sanjiachenpibanxia), Palmijihwang-won (Baweidihuang-won). Conclusions: By confirming awareness of Korean medical doctors treating dementia in clinical fields and understanding differences between neuropsychiatrists of Korean medicine and general physicians, it can be used to understand guideline users' needs and confirm clinical questions during development of futur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demen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