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nus glutinos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7초

글루티노사오리나무의 생장과 재질 - 해부학적 성질 - (Studies on Wood Quality and Growth of Alnus glutinosa in Korea - Anatomical Properties -)

  • 김민지;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295-301
    • /
    • 2016
  • 본 연구는 4개 종자산지(Yugoslovia, ltaly, United Kingdom, Bulgaria)의 글로티노사오리나무(Alnus glutinosa)를 대상으로 목섬유 길이, 도관 길이 및 직경인 해부학적 성질을 조사하여, 이들의 종자산지 간 및 생장속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글로티노사오리나무는 산공재, 계단상천공, 교호상벽공으로 나타났다. 접선단면에서 방사조직 높이는 9~11, 횡단면에서 방사조직 수는 16~26개로 나타났다. 산지 간의 목섬유 길이, 도관 길이 및 직경에서 만재부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조재부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 산지는 생장이 좋을수록 만재부의 목섬유 및 도관 길이가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고슬로비아산은 생장이 좋으면서 목섬유 및 도관길이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글루티노사오리나무의 생장과 재질 - 종압축 및 휨강도 - (Wood Quality and Growth of Alnus glutinosa (L.) Gaertn. in Korea - Compressive and Bending Strength Properties -)

  • 정재훈;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287-294
    • /
    • 2015
  • 본 연구는 4개 산지(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영국, 불가리아)의 24년생 글루티노사오리나무를 대상으로 종압축 및 휨강도 특성을 규명하고, 또한 이들을 생장속도(평균연륜폭)와의 관계도 규명하였다. 압축강도는 $231{\sim}326kgf/cm^2$의 범위였고, 산지 간 차이를 보였다. 세 개 산지는 생장이 좋을수록 압축강도 및 압축영계수는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Yugoslavia산지는 생장이 가장 좋으면서도 가장 높은 강도 값을 나타냈다. 휨강도는 $426{\sim}727kgf/cm^2$의 범위였고, 산지 간 차이가 있었다. 휨강도는 생장이 좋을수록 강도 및 영계수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자 산지가 다른 글루티노사오리나무 중 유고슬라비아산이 좋은 수고생장과, 다른 산지의 약 2배의 흉고직경을 나타내며, 압축, 휨강도에서도 가장 우수하여 생장과 재질면을 고려했을 때 현시점에서 가장 우수한 품종으로 판단된다.

글루티노사오리나무의 생장과 재질에 관한 연구 - 물리적 성질 - (Studies on Wood Quality and Growth of Alnus glutinosa (L.) Gaertn. in Korea - Physical Properties -)

  • 한주환;정재훈;이귀용;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1-8
    • /
    • 2015
  • 본 연구는 4개 종자산지(Yugoslavia, Italy, United Kingdom, Bulgary)의 글루티노사오리나무(24년생)를 대상으로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여 생장(평균연륜폭)과 목재의 재질관계를 규명하였다. 함수율, 밀도, 수축률 및 T/R비는 모두 산지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이런 성질들은 생장과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자산지가 다른 글루티노사오리나무의 중요한 재질지표인 밀도와 수축률의 경우, 생장의 차이에 따라 밀도와 수축률이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 생장이 우수한 것이 우수품종의 기준일 것으로 생각된다.

Introduction to Distribution and Ecology of Sterile Conks of Inonotus obliquus

  • Lee, Min-Woong;Hur, Hyeon;Chang, Kwang-Choon;Lee, Tae-Soo;Ka, Kang-Hyeon;Jankovsky, L.
    • Mycobiology
    • /
    • 제36권4호
    • /
    • pp.199-202
    • /
    • 2008
  • Inonotus obliquus is a fungus that causes white heart rot on several broad-leaved species. This fungus forms typical charcoal-black, sterile conks (chaga) or cinder conks on infected stems of the birche (Betula spp). The dark brown pulp of the sterile conk is formed by a pure mycelial mass of fungus. Chaga are a folk remedy in Russia, reflecting the circumboreal distribution of I. obliquus in boreal forest ecosystems on Betula spp. and in meridional mountain forests on beech (Fagus spp.) in Russia, Scandinavia, Central Europe, and Eastern Europe. Distribution at lower latitudes in Western and Southern Europe, Northern America, Asia, Japan, and Korea is rare. Infected trees grow for many years without several symptoms of decline. The infection can penetrate through stem injuries with exterior sterile conks developing later. In the Czech Republic, cinder conk is found on birches inhabiting peat bogs and in mountain areas with a colder and more humid climate, although it is widespread in other broad leaved species over the Czech Republic. The most common hosts are B. pendula, B. pubescens, B. carpatica, and F. sylvatica. Less frequent hosts include Acer campestre, Acer pseudoplatanus, Alnus glutinosa, Alnus incana, Fraxinus excelsior, Quercus cerris, Q. petraea, Q. robur, Q. delachampii, and Ulmus sp.

12수종(樹種)에 대(対)한 단벌기(短伐期) 맹아림(萌芽林)의 Biomass 생산(生産) (Wood Biomass Production of Twelve Tree Species in Coppice Plantations Managed Under 1-, 2- and 3- year Rotations)

  • 현영일;김재헌;한영창;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0-36
    • /
    • 1982
  • 다음의 12수종(樹種)을 ha당(當) 2,500본식(本式) 식재(植栽)한 조림지(造林地)에서 단벌기맹아림(短伐期萌芽林)(1년(年), 2년(年), 3년벌기(年伐期))을 이용(利用)하여 wood biomass생산량(生産量)(줄기, 가지, 잎)을 6년간(年間) 측정(測定)하였다. 참싸리, 쪽제비싸리, 아까시나무, 은단풍, 버즘나무, 은수원사시(현사시), 알바버드나무, 리기다소나무, 물갬나무, 좀잎산오리나무, 글루티노사 오리나무, 인카나 오리나무, 산록부(山麓部)의 1년(年) 벌기구(伐期区)에서 참싸리가 년간(年間) ha당(當) 2.6톤(생중량(生中量))으로서 가장 많은 biomass를, 현사시가 2번째로 22톤을 생산(生産)했다. 2년벌기구(年伐期区)에서는 현사시가 가장 많은 년간(年間) 4.8톤을, 물갬나무가 2.8톤을 생산(生産)했으며, 3년(年) 벌기구(伐期区)에서는 아까시나무가 년간(年間) ha당(當) 가장 많은 11.2톤을, 그 다음으로 물갬나무가 6.2톤을 생산(生産)했다. 족제비 싸리, 은단풍, 버즘나무, 알바버드나무는 생장(生長)이 아주 불량(不良)하여 biomass나 연료생산(燃料生産)으로 부적당(不適當)하였다. 산복부(山腹部)에서의 생장(生長)은 12수종(樹種) 모두 저조(低調)하였다. 그중(中) 질소(窒素)를 고정(固定)하는 수종(樹種)(아까시나무와 오리나무류(類) 4수종(樹種))만이 약간 우세(優勢)한 생장(生長)을 보여 주었으며, 산복부(山腹部)에는 이 수종(樹種)들 만이 식재(植栽)가 가능(可能)하다고 생각된다. 맹아력(萌芽力)이 강(强)한 수종(樹種)이 biomass생산량(生産量)도 많았다. 이들 수종(樹種)의 건조(乾燥)된 목편(木片)의 발열량(發熱量)은 4,485~5,125cal/g이었다. 최대(最大)의 biomass생산(生産)을 위(爲)하여 맹아림(萌芽林)에 의(依)한 삼년벌기(三年伐期)가 일년(一年) 혹(惑)은 이년(二年) 벌기(伐期)보다 더 우수(優秀)하며, 아까시나무와 물갬나무가 가장 유망(有望)하다고 인정(認定)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