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uvial groundwater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5초

시설농업지역 지하수 인공함양 실증시험 연구 (A Feasibility Test on an Artificial Recharge System for one Representative Greenhouse Complex Zone, Korea)

  • 이병선;명우호;오세봉;전성천;박길택;송성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5권1호
    • /
    • pp.12-24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n artificial recharge system, which was considered to be an alternative for securing additional groundwater resources in a high-density greenhouse region. An injection well with a depth of 14.0 m was placed in an alluvial plain of the zone. Eight monitoring wells were placed in a shape of dual circles around the injection well. Aquifer tests showed that the aquifer was comprised with high-permeable layer with hydraulic conductivities of 1.5×10-3~2.4×10-2 cm/sec and storage coefficients of 0.07~0.10. A step injection test resulted in a specific groundwater-level rising (Sr/Q) values of 0.013~0.018 day/㎡ with 64~92% injection efficiencies. Results of the constant-rate injection test with an optimal injection rate of 100 ㎥/day demonstrated an enormous storage capacity of the alluvial aquifer during ten experimental days. To design an optimal recharge system for an artificial recharge, the high-permeable layer should be isolated by dual packers and suitable pressure should be applied to the injection well in order to store water. An anisotropy ratio of the alluvial aquifer was evaluated to be approximately 1.25 : 1 with an anisotropy angle of 71 degrees, indicating intervals among injection wells are almost the same.

자동 선구조 추출 알고리즘의 개발과 적용사례 (A Development of Enhanced Automatic Lineament Extraction Algorithm and its Application)

  • 최은영;최동석;최현석;임태근;정래철;윤왕중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6권1호
    • /
    • pp.7-12
    • /
    • 2003
  • 위성영상에 나타나는 선구조는 화소의 명암차에 바탕을 두어 육안판독이나 자동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보통 육안판독은 다양한 보조자료와 연구자의 경험적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더욱 객관적이고 신속한 자동선구조 추출 알고리즘들이 필요하다. 산악지형 외에도 충적층 요소까지 고려하여 개발된 DSTA(dynamic segment tracing algorithm) 알고리즘은 충적층 지역이 산악지형에 대해 비교적 넓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에 충적층 지역에서 노이즈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인 AERA(alluvial effect reducing algorithm)를 개발하여 산악지형과 농경지와 도심지역이 넓게 분포되어 있는 지역에 이를 적용하였으며, 기존의 알고리즘만 이용하여 선구조를 추출한 결과와 비교하여 이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지하수 인공함양 지역 충적층 특성 평가를 위한 전기비저항탐사 (An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for the Characterization of Alluvial Layers at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Sites)

  • 원병호;신제현;황세호;함세영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6권3호
    • /
    • pp.154-162
    • /
    • 2013
  • 지하수 인공함양 지역에 충적층 특성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수직탐사와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를 수행하였다. 지하수 인공함양의 주 대상 지층인 충적층 내에 존재하는 세립자들은 지하수와 함께 이동하여 클로깅 현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하는데, 전기비저항탐사를 통해서 저비저항을 보이는 포화된 실트 또는 점토의 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반면에, 이러한 저비저항대가 두터운 경우는 지층에서 인위적으로 보내진 전기가 저비저항대의 층으로만 통하여 그 이하의 지층 또한 저비저항대로 왜곡되는 단점을 가지므로 해석 시에 주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영향을 고려하여 격자형태의 35개의 수직탐사 측점과 10개의 2차원탐사 측선을 따라서 탐사를 수행하여 각각의 장점인 수직적인 분해능과 수평적인 분해능을 비교 및 보완하였다. 수직탐사를 통해 지하 30 m 이후에 약 15 m 두께로 인공함양의 주대상 지층인 모래자갈층이 퇴적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두 탐사의 비교를 통해 연구지 지하 일부 구간에 클로깅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실트 또는 점토의 분포가 예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하수 인공함양을 위한 주입정 및 관측정의 위치와 심도를 설계하는데 있어 충적층의 퇴적양상 파악에 대한 전기비저항탐사의 적용성을 보여준다.

인공구조물에 의한 하천 주변지역 지하수 시스템 변화의 수치 해석 (Numerical Simulation of Groundwater System Change in a Riverside Area due to the Construction of an Artificial Structure)

  • 이정환;함세영;이충모;이종진;김형수;김규범
    • 지질공학
    • /
    • 제22권3호
    • /
    • pp.263-274
    • /
    • 2012
  • 본 연구는 지하수 수치 모델링을 통하여 인공 구조물 건설에 따른 하천주변 지역의 지하수 환경 변화를 평가하였다. 하성충적층의 지하수위는 강우 사건보다는 하천수위의 계절적인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것은 지하수가 하상퇴적층을 통해 하천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부정류 모델링 결과, 지하수위는 하성충적층 내부 저지대에 위치하는 독산의 남쪽과 동쪽 지역, 덤밑산 동쪽 지역에서 상승되고 있으며, 지하수위 상승폭은 6 m 이내로 평가되었다.

Hydrogeochemical processes and behavior of nitrate in an dlluvial aquifer: A preliminary result from Cheonan area, Korea

  • Kim, Kyoung-Ho;Yun, Seong-Taek;Choi, Byoung-Young;Kim, Kang-Joo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97-99
    • /
    • 2004
  • To understand the geochemical processes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nitrate and other agricultural constituents in an alluvial aquifer, hydrogeological and hydro geochem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in an agricultural area within Cheonan. In this selected field, nitrate concentrations were very wide in range but was locally attenuated significantly down to very low levels (<1.0 mg/L). Abrupt removal of nitrate coincided with the pattern of redox change and thus indicated that geochemical processes occurring during and after recharge events control the behavior and distribution of nitrate and other redox-sensitive chemical species.

  • PDF

Hydrochemistry of an alluvial aquifer in the Cheonan area: role of the pyrite oxidation on denitrification

  • Kim, Kyoung-Ho;Yun, Seong-Taek;Chae, Gi-Tak;Heo, Chul-Ho;Kim, Hyoung-Soo;Rhee, Chul-Woo;Kim, Kangjoo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287-290
    • /
    • 2002
  • To examine the denitrification process in an alluvial aquifer in the Cheonan site, hydrological and hydrogeochem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Elevated levels of NO$_3$ (maximum 77.6 mg/L) were observed in shallow groundwaters of the area, as a result of poultry and agricultural activity. However, the nitrate concentrations were found to be consistently attenuated down to very low levels (<1.0 mg/L). The abrupt removal of nitrate coincided with the pattern of redox change and indicated that denitrification is the most plausible process. The hydrochemistry and mass balance approach using geochemical modeling (phreeqc 2.0) and redox chemistry indicated that chemo-autotrophic denitrification via pyrite oxidation is the key Process to control the nitrate attenuation in the study area.

  • PDF

경기(京畿) 남부지역(南部地域)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의 지하수질(地下水質) 평가(評價) (Survey on Groundwater Quality under Plastic Film House Cultivation Areas in Sou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 정구복;이종식;김복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9-395
    • /
    • 1996
  • 시설재배지내(施設栽培地內)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하수질(地下水質)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남부(용인, 화성, 평택)의 50개 농가를 대상으로 한발기(旱魃期) 및 중간기(中間期)(2월 및 5월)와 강우기(降雨期)(9월)에 지하수를 채취하여 화학분석(化學分析)을 실시하고 각 요인별(要因別)로 검토하여 얻어진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하수 깊이에 따른 $NO_3-N$ 함량은 지하수 6-10m 깊이에서 높았고 지형별(地形別)로는 내륙평탄지(內陸平坦地), 곡간지(谷間地) 및 선상지(扇狀地), 산록경사지(山麓傾斜池)보다 하성평탄지(河成平坦地) 중(中) 하천변지(河川邊地)에시 높았다. 2. 경작년수(耕作年數)가 증가할수록 지하수중 $NO_3-N$$SO_4{^2}$ 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지하수의 음(陰)이온/양(陽)이온 총당량(總當量) 비율은 하성평탄지(河成平坦地)중 하천변지(河川邊地)에서 높았고 지하수 깊이가 깊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4. 지하수중 $NO_3-N$은 pH와 부의 상관을 보였고 $SO_4{^{2-}}$, $Cl^-$, $K^+$, $Ca^{2+}$$Mg^{2+}$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 PDF

미국의 지하수 제도와 국내 지하수 관리에의 시사점 -캘리포니아 및 텍사스 주를 중심으로- (Groundwater Polices of the USA and Their Implications to Groundwater Management in Korea -Examples of California and Texas States-)

  • 이병선;송성호;김원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2권5호
    • /
    • pp.1-12
    • /
    • 2017
  • This study reviewed the groundwater policies of USA as a benchmarking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groundwater polices, regulations, and plans in Korea. Each state of the USA has its own unique groundwater policies. Recently, severe drought in the western parts of the USA resulted in the launch of the California Statewide Groundwater Elevation Monitoring (CASGEM) program. CASGEM classified a total of 515 alluvial groundwater basins of the California State to four prior groups (high, medium, low, and very low prioritization). In Texas, a total of 101 Groundwater Conservation Districts (GCDs) over the state has controlled groundwater pumping amounts in their own management areas and 16 Groundwater Management Areas (GMAs) over the state have directly managed groundwater aquifer. Direct management for aquifers by GMAs would be the most scientific method for groundwater management, which expected to provide water consumers the more advavnced groundwater service. These groundwater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USA can be possibly considered in groundwater plans for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al authorities, which possibly results in more optimal groundwater management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