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elopathic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2초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L.) 근분비물질(根分泌物質)의 타감작용(他感作用) 및 타감물질(他感物質)의 동정(同定) - 1. 해바라기 근분비물질(根分泌物質)의 타감작용(他感作用) 및 자가억제작용(自家抑制作用) (Allelopathic Activity and Determination of Allelochemicals from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Root Exudates - 1. Allelopathic and Autotoxic Effects of Sunflower Root Exudates)

  • 박광호;;김순철;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2-60
    • /
    • 1992
  • 해바라기의 타감작용(他感作用)(Allelopathy) 및 천연제초제(天然除草劑)로서의 개발가능성(開發可能性)에 관한 시험(試驗)을 1988-1991년(年)에 걸쳐 국제미작연구소(國際米作硏究所)(IRRI) : 농학(農學), 생화학부(生化學部) 및 국립(國立)필리핀 대학교(大學校) 화학과(化學科)(천연물(天然物) 연구실(硏究室))에서 수행(遂行)하여 얻은 결과중(結果中) 해바라기의 생육중(生育中) 뿌리에서 분비(分泌)되는 타감작용(他感作用) 및 자가억제작용(自家抑制作用)에 관(關)한 연구결과(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해바라기의 근분비물질(根分泌物質)은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전체적인 발아율(發芽率)에는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발아시(發芽始)등에는 다소 큰 영향(影響)을 미쳤음. 2. 생물검정재료(生物檢定材料)의 지상부(地上部), 지하부(地下部) 생장(生長) 및 전체 생체중(生體重)에는 유의적인 감소(減少)가 있었음. 3. XAD-4 Resin올 부착한 시험(試驗) 3에서 해바라기는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전반적인 생장량(生長量)이 많은 것으로 보아 자가억제작용(自家抑制作用)이 인정되었으며 이는 Resin에 의한 타감물질(他感物質)(Allelochemicals)의 판착효과(坂着效果)로 추정(推定)된다.

  • PDF

수생관속식물의 라디칼 소거능과 남세균 생장에 대한 억제활성 비교 (A Comparis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yanobacteria Growth Inhibition of Aquatic Vascular Plants)

  • 권성호;나혜련;정종덕;백남인;박상규;최홍근
    • 생태와환경
    • /
    • 제45권1호
    • /
    • pp.11-20
    • /
    • 2012
  • 수생식물이 가지고 있는 타감물질과 타감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메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남세균($Microcystis$ $aeruginosa$)에 대한 생장억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물여뀌($P.$ $amphibia$)와 마름($Trapajaponica$), 이삭물수세미($Myriophyllum$ $spicatum$), 순채($Brasenia$ $schreberi$)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순채, 마름, 물여뀌, 이삭물수세미 등은 남세균에 대한 높은 생장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반면 순채를 제외한 다른 수생식물의 추출물은 대장균의 생장에 대한 억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수생식물 추출물에 대한 타감작용에 대한 상관 분석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으로 측정된 항 산화 활성과 남세균 생장억제 활성간에는 양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생식물 추출물의 대장균에 대한 생장억제는 다른 활성 결과와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면 수생식물체의 남세균에 대한 타감작용은 DPPH에 의한 항산화성 검정을 이용하는 간편하고 신속한 검사로 대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결명자(決明子)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의 타감성(他感性) 저해(沮害) 작용(作用)에 대한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기작(機作) (Physiochemical Mechanism of Allelopathic Inhibition by Water Soluble Extracts from Sicklepod(Cassia tora L.) Seeds)

  • 임선욱;문경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9-196
    • /
    • 1993
  •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에 기인(起因)하는 물질(物質)이 타(他) 식물(植物) 종자(種子)의 발아(發芽) 및 생육(生育)을 억제(抑制)하는 타감(他感) 현상(現象)을 보인다는 것이 확인(確認)되었으며, 이 현상(現象)을 이용(利用)하여 자연(自然) 생태계(生態系) 또는 농업(農業) 생태계(生態系)에서 널리 일어나는 타감(他感) 현상(現象)의 일반적(一般的)인 작용(作用) 기작(機作)을 이해(理解)하고자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을 처리(處理)하여 발아(發芽) 시간별(時間別)로 수분(水分) 함량(含量), ${\alpha}$-amylase의 활성(活性), protease의 활성, abscisin산(酸)의 함량(含量), 전(全) phenol 화합물(化合物)의 함량(含量) 등(等)을 측정(測定)하여 이를 무처리구(無處理區)와 비교(比較),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한다. 1. 무우, 벼, 상치, 보리 종자(種子)의 발아(發芽) 실험(實驗)으로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에 기인(起因)하는 물질(物質)이 발아율(發芽率)을 저하(低下)시키는 타감(他感) 현상(現象)을 보이며, 상치와 무우에서 특(特)히 뚜렷하였다. 2.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의 처리(處理)에 의한 무우의 발아저해(發芽沮害)는 단백질(蛋白質) 합성기(合成期)에 protease 활성(活性)(합성(合成))의 증가(增加) 이후에 수분함량(水分含量)의 감소(減少)와 더불어 전(全) phenol 화합물(化合物)의 축적(蓄積)(분해저해(分解沮害))의 순서(順序)로 진행(進行)되었다. 3. 반면, 벼에서는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의 처리(處理)에 의해서 abscisin산(酸)의 축적(蓄積)에 따른 ${\alpha}$-amylase의 활성(活性)(합성(合成))감소(減少)에 의해 발아(發芽)가 저해(沮害)되어 Einhelling의 가설(假說)과 부분적(部分的)으로 일치(一致)하였다.

  • PDF

잡초와 작물에 대한 알팔파 잔유물의 Allelopathy 효과 (The Allelopathic Effect of Alfalfa residues on Crops and Weeds)

  • 유창연;전인수;정일민;허장현;김이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1-140
    • /
    • 1995
  • 본 실험은 allelopathic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alfalfa식물을 이용하여 주요 특용작물과 잡초의 발아 및 생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lfalfa 건조분말의 토양혼화시 건조분말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작물, 들깨, 도라지 및 잡초(바랭이, 강아지 풀, 털진득찰, 개비름, 까마중)의 발아율 및 줄기와 뿌리생육이 억제되었으며, 건조분말농도가 10% 이상일때는 80% 이상 발아 및 생육의 억제를 가져왔다. 2. Alfalfa의 생체추출물도 작물(알팔파, 보리, 호밀, 참깨) 및 잡초(피, 강아지풀, 쇠비름)의 발아 및 뿌리와 줄기생육을 억제하였으며 억제정도는 생체추출 농도, 작물 및 잡초의 종류에 따라 반응의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생체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잡초 및 작물발아 및 뿌리와 줄기생육을 억제하는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3. 알팔파 건조분말 추출물질도 알팔파, 도라지, 보리, 참깨 및 잡초(바랭이, 털진득찰, 강아지풀, 쇠비름, 피) 등의 발아율, 줄기 및 뿌리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억제정도는 추출농도, 작물 및 잡초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건조분말 농도가 10% 이상이었을때 털전득찰, 쇠비름 등의 발아가 전혀 안되었으며 강아지폴은 15%만 발아가 되었다. 4.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한 알팔파가 함유한 phenol compounds 중 salicylic acid가 전체 phenol compounds의 70% 정도 차지하고 있어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syringic acid, ferulic acid가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제약폐기 은행잎이 고추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kgo(Ginkgo biloba L.) Leaf Waste from Pharmaceutical Process on Red Pepper Growth)

  • 성기석;김복진;권오경;조광래;박창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6-50
    • /
    • 1998
  • 제약폐기은행 잎 시용이 고추생육에 미치는 피해정도를 구명하여 폐기은행 잎의 유기물자원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고추를 가지고 pot 재배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은행잎 및 폐기 은행잎을 토양에 처리하였을 매 퇴비시용보다 고추생육이 억제되는 경향 이었으나 물추출 폐기은행잎은 물로 추출하지 않은 폐기 은행잎 처리보다 생육이 양호하였다. 건 고추 수량은 건조폐기은행 잎 500kg/10a 처리는 퇴비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수하였으나, 물추출폐기은행잎 1톤/10a 처리는 3요소와 대등한 수량을 보였다. 폐기은행잎 처리시 생육 및 수량감소 요인은 은행잎 자체에 함유된 타감물질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퇴비 및 폐기은행잎 등 유기물 시용은 3요소 처리에 비해 토양중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등이 다소 높은 경향이고 폐기은행잎 처리로 치환성 고토함량은 낮아졌다.

  • PDF

삼림토양의 미생물군집과 아밀라아제 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icrobial Population and the Amylase Activity of the Forest Soil)

  • Lee, Hee-Sun;Shim, Jae-Ku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71-183
    • /
    • 1994
  • Soil condition, total number of bacteria, soil amylase activity and microbial biomass $(CO_2-C)$ were measured at soil of different forest types. And the difference of the allelopathic effect was determined between fresh leaf extract of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to the bacteria isolated from soil of different forest types. 1. Total number of bacteria in Carpinus laxiflora forest soil was 4~7 times larger than that in pinus desiflora forest soil. 2. Soil amylase ac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number of soil bacteria and soil organic matter content. The amylase activity at F layer was 4~5 times larger than that at H layer, and that at H layer was 2~4 times larger than that at A layer. 3. Seasonal changes of microbial biomass showed a peak in summer,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icrobial biomass decreased with increasing soil depth. The microbial biomass in Pinus densiflora forest soil was larger than that in Quercus serrata forest soil. 4. Fresh leaf extract of Pinus rigida and Quercus acutissima showed an acceleration or inhibition effect on the growth of soil bacteria, and that of !. acutissima inhibited larger number of soil bacterial strains than that of P. rigida. 4.2% and 25% of soil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soil of P. rigida and Q. acutissima forests were inhibited by fresh leaf extract of P. rigida and Q. acutissima, respectively.

  • PDF

Effect of elevated atmospheric carbon dioxide on the allelopathic potential of common ragweed

  • Bae, Jichul;Byun, Chaeho;Ahn, Yun Gyong;Choi, Jung Hyun;Lee, Dowon;Kang, Hoje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2호
    • /
    • pp.212-218
    • /
    • 2019
  • Background: Allelopathy has been suggested as one potential mechanism facilitating the successful colonisation and expansion of invasive plants. The impacts of the ongoing elevation in atmospheric carbon dioxide (CO2) on the production of allelochemicals by invasive species are of great importance because they play a potential role in promoting biological invasion at the global scale.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one of the most notorious invasive exotic plant species, was used to assess changes in foliar mono- and sesquiterpene production in response to CO2 elevation (389.12 ± 2.55 vs. 802.08 ± 2.69 ppm). Results: The plant growth of common ragweed significantly increased in elevated CO2. The major monoterpenes in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ommon ragweed leaves were β-myrcene, DL-limonene and 1,3,6-octatriene, and the major sesquiterpenes were β-caryophyllene and germacrene-D. The concentrations of 1,3,6-octatriene (258%) and β-caryophyllene (421%)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CO2 elevation. Conclusions: These findings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how allelochemicals in common ragweed respond to CO2 elevation.

리기다소나무의 잎 抽出液이 무우 種子의 發芽에 미치는 Allelopathy 效果 (Allelopathic Effects of Leaf Extract of Pinus rigida Mill. on the Seeds Germination of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Makino)

  • Kim, Young-Ok;Kim, Seon-Ho;Lee, Ho-Joon;Eun, Moo-Yo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2호
    • /
    • pp.75-82
    • /
    • 1990
  • Toxic effert of water extract from leaves of Pinus rigida and some phenolic compounds on the seeds germination of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Makino has been studie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f germination percentage among the pH value of leaf extract (pH3~9). The germination percentage drastically with increased concentration level of leaf extract at about 60 percent. Seeds gemination of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Makino inhibited severely by caffeic acid, ferulic acid and p-coumaric acid at M, but the germination percentag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vanillic acid. In electrophoresis, there was no differences at earlier seedling stage of protein band between allelochemical treated and non-treated group, but in late stage, two protein band near 58kd and 27kd did not appeared in the toxic affected group. In case of caffeic acid treatment, two protein band near 58kd and 27kd did not found at late stage too.

  • PDF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Glehnia littoralis

  • Yoon, Tae-Sook;Choo, Byung-Kil;Cheon, Myeoung-Sook;Lee, Do-Yeon;Choi, Go-Ya;Chae, Sung-Wook;Lee, A-Yeong;Kim, Ho-Kyoung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23-128
    • /
    • 2008
  • Glehnia littoralis (Umbelliferae), a perennial herb distributed along the coastline of northern Pacific countries, is the medicinal plant used traditionally for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This review focuses on the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Glehnia littoralis for understanding about its traditional medicinal applications, medicinal uses in the modern society, and potentials for drug development Glehnia littoralis was reported to have anti-oxidant, anti-tumor, anti-amnesic, blood circulation-promoting, immunomodulatory, anti-microbial, and allelopathic activities. However, their mechanisms remain to be clarified. Because Glehnia littoralis has been prescribe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s a tonic herb, Glehnia littoralis can be better than other chemical drugs and medicines which exert the equal pharmacological activities. Although the activities of Glehnia littoralis are not specifically high-potent with unique mode of action, it may turn out that it can be beneficial to exert multiple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 view of low toxicity, relative cheapness, presence in the diet, and occurrence in various herbal remedies of Glehnia littoralis, it needs to be prudent to evaluate it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further.

  • PDF

Evaluation Method of Weed Suppression by Rice Plant

  • Lee Sang-Bok;Ku Yeon Chung;Seong Ki Young;Song Duck Young;Seo Kyung In;Shin Jin Ch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79-83
    • /
    • 2005
  • Rice and weed interference in the paddy field caused by resource competition and allelopathy. Evaluation method of active weed suppressive behavior of rice to weed was developed by eliminating light competition at soil condition. Twenty eight days old rice seedlings (6-7 leaf stage) which was grown at saturated, no drainage pot were clipped above $3\~4cm$ from the soil surface. Weeds seeded around clipped rice stem, named ratoon seeding screening method, showed varietal suppressive difference to Echinochloa crus-galli, 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 and Monochoria vaginalis. Potential allelopathic rice varieties, Sathi, AC1423 and PI312777 showed better suppressive activity to weed seedling growth than Nonganbyeo and Keumobyeo. Weed suppression of one plant of rice cultivars could be evaluated by the cell size of $2.5\times2.5cm$ at rice clipping of seedling 29 days after rice see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