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bumen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Bacteriophage Supplementation on Egg Performance, Egg Quality, Excreta Microflora, and Moisture Content in Laying Hens

  • Zhao, P.Y.;Baek, H.Y.;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7호
    • /
    • pp.1015-1020
    • /
    • 2012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bacteriophage supplementation on egg performance, egg quality, excreta microflora, and moisture content in laying hens. A total of 288 Hy-line brown commercial laying hens (36-wk-old) were randomly allotted to 4 treatments in this 6-wk trial and dietary treatments included: i) CON, basal diet; ii) T1, CON+0.020% bacteriophage; iii) T2, CON+0.035% bacteriophage; iv) T3, CON+0.050% bacteriophage. There were 6 replicates for each treatment with 6 adjacent cages (2 hens/cage). Laying hens in T2 and T3 treatments had higher (p<0.05) egg production than those in CON and T1 treatments during wk 0 to 3. In addition, egg production in T1, T2, and T3 treatments was increased (p<0.05) compared with that in CON treatment during wk 4 to 6. At wk 4 and 5, birds in T2 group had higher (p<0.05) HU than those in CON. In addition, at wk 5 and 6, HU in birds fed T1 and T3 diets was greater (p<0.05) than those fed CON diet. E. coli and Salmonella spp. concentrations in excreta were decreased (p<0.05) by T1, T2, and T3 treatments. However, egg weight, egg shell color, yolk height, yolk color unit, egg shell strength, egg shell thickness, egg gravity, and excreta moisture content were not influenced by dietary treatments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In conclusion, bacteriophage supplementation has beneficial effects on egg production, egg albumen, and excreta microflora concentration in laying hens.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L-carnitine and Humic Substances on Performance, Egg Traits and Blood Parameters in Laying Hens

  • Yalcin, Sakine;Ergun, Ahmet;Ozsoy, Bulent;Yalcin, Suzan;Erol, Handan;Onbasilar, Ilya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0호
    • /
    • pp.1478-1483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L-carnitine and humic substances alone or in combination in laying hen diets on performance, egg traits and blood parameters. A total of 180 IGH type brown laying hens aged 22 weeks were employ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one control group and three treatment groups. Each group was divided into five replicates as subgroups, each comprising 9 hens. The die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eatment groups were supplemented with 0.1 g/kg L-carnitine, 1.5 g/kg humic substances (Farmagulator$^{(R)}$ Dry Plus) and 0.1 g/kg L-carnitine+1.5 g/kg humic substance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period lasted 18 weeks. Feeding supplemental carnitine, humic substances or carnitine+humic substances resulted in increases in body weight gain (p<0.05). Dietary treatme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daily feed intake, daily metabolizable energy intake, egg production, egg weight, feed efficiency, mortality, egg shape index, egg breaking strength, egg shell thickness, egg albumen index, egg yolk index, egg Haugh unit and the percentages of egg shell, albumen and yolk. Supplementation of humic substances reduced egg yolk cholesterol as mg per g yolk and mg per yolk (p<0.05). Blood serum parameters were not affected by the supplementation of carnitine, humic substances or carnitine+humic substances. The results i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humic substances supplementation reduced egg cholesterol without adverse effects on performance, egg traits and blood parameters of laying hens. It was concluded that the usage of L-carnitin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humic substances in diets had no beneficial effects in laying hens.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Reproductive System of Aplysia kurodai

  • Lee, Chi-Hoon;Kaang, Bong-Kiun;Lee, Young-D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9권4호
    • /
    • pp.197-207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reproductive system in Aplysia kurodai by means of anatomical, histological, and histochemical observation. Reproductive system of this species is consisted of ovotestis, small hermaphroditic duct, ampulla, accessory genital mass and large hermaphroditic duct. The ovotestis is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follicles, and both oocytes and spermatocytes matured in the same follicle. The small hermaphroditic duct is a single tube and contains a swelling, the ampulla, which functions as a storage organ for endogenous sperm and an oviduct. The accessory genital mass is connected to both the small and large hermaphroditic duct, and consisted of three glands: albumen, membrane (winding) and mucus gland. The albumen gland is consisted of granular cells producing basophilic and neutral mucopolysaccharides. The membrane and mucus gland are consisted of granular cells producing acidophilc and sulfated mucopolysaccharides. The large hermaphroditic duct is a single tubular gonoduct linking the accessory genital mass to the common genital aperture but is consisted of two parallel compartments. Internally, these two compartments are incompletely divided by internal septum or fold, which are called as the red hemiduct and white hemiduct, respectively. The red hemiduct functions as an oviduct and the white hemiduct functions as a copulatory duct. The reproductive system of A. kurodai is externally comprised a single tube, i.e., monaulic type. However, internal structure of duct is incompletely divided into oviduct and copulatory duct, i.e., the oodiaulic type.

방사선 조사 난백이 엔젤 푸드 케이크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radiated egg white on the quality of angel food cake)

  • 이경애;이윤진;양재승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0-33
    • /
    • 2002
  • 조사 달걀의 난백이 엔젤 푸드 케이크의 물리적특성 및 텍스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엔젤 푸드 케이크 반죽의 비중은 IkGy 이상의 방사선을 조사한 달걀의 난백을 사용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조사 달걀의 난백을 사용하면 엔젤 푸드 케이크의 비용적과 팽화율이 조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케이크간에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엔젤 푸드 케이크의 표면색도는 내부의 색에 비해 케이크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L 및 a, b값이 케이크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조사 달걀의 난백을 사용하면 엔젤 푸드 케이크의 명도는 낮아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아져 갈색화 반응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엔젤 푸드 케이크의 텍스쳐 특성을 검토한 결과, 견고성, 응집성, 탄력성, 검성, 부서짐성 등이 케이크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조사달걀의 난백을 사용하면 엔젤 푸드 케이크의 견고성과 검성이 감소하여 더 부드러운 엔젤 푸드 케이크가 만들어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조사 달걀의 난백을 사용한 엔젤 푸드 케이크는 비조사 달걀의 난백을 사용한 엔젤 푸드 케이크에 비해 응집성과 탄력성은 증가하였고 부서짐성은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엔젤 푸드 케이크의 제조에 조사 달걀의 난백을 사용하면 케이크의 색도, 텍스쳐 특성 등이 비조사 달걀의 난백을 사용한 엔젤 푸드 케이크의 특성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차이는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방사선 조사 달걀을 케이크 제조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관능적 특성에 대한 검토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Lotus (Nelumbo nucifera) Leaf Hot Water Extracts on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Eggs using Ultrasonication Treatment during Storage

  • Lee, Jihye;Seo, Han Geuk;Lee, Chi-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044-1054
    • /
    • 202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tus leaf hot water extracts treatment on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eggs using impregnation treatment through ultrasonication during storage. A total of 480 egg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reatment groups (n=30 each)-non-treated (CON), soaked for 30 min in lotus leaf hot water extracts without ultrasonication (T1), sonicated in distilled water (T2), and sonicated in lotus leaf hot water extracts (T3)-and stored for 15 d at 30℃. The egg weight, Haugh unit (HU), egg grade, albumen height, yolk color, eggshell thickness, eggshell breaking strength, and weight loss were measured for egg quality assessment.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s were measured as stability indicators. Additionally, total phenolic contents (TPC), total flavonoid contents (TFC),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evaluated. The HU, egg grade, albumen height, and yolk color of T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gshell thickness and eggshell breaking strength are observed among the groups. The weight loss of T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during storage (p<0.05). The application of lotus leaf hot water extracts also significantly reduced TBARS and VBN (p<0.05). The TPC, TFC,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tus leaf hot water extracts may be useful as a natural ingredient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eggs during storage.

침지액의 NaOH와 NaCl의 농도 및 계란 침지기간이 계란 피단의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centration of NaOH and NaCl in Dipping Solution and Dipping Period of Egg in Completeness of Egg Pidan)

  • 신택순;조성근;이홍구;조병욱;강한석;박현철;배석현;김윤석;김병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117-126
    • /
    • 2012
  • 본 실험은 계란의 과잉생산에 따른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육 농가의 소득을 증대하기 위해 계란으로 피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실험하였다. NaOH의 농도를 3, 5, 7%로 기준하고 NaCl의 농도를 5, 10, 15, 20%로 기준하여 침지액을 제조하여 2일 간격으로 14일간 실험하였다. 침지액의 pH는 NaOH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침지기간이 경과할수록 피단제조용 침지액의 pH는 증가하였고, NaCl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난황의 pH는 NaOH의 농도가 진할수록 증가하였으나, NaCl의 농도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NaOH와 NaCl의 농도가 높을수록 난황과 난백 침투속도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NaOH의 농도가 3%일 때 14일까지도 난백의 수양화가 되지 않았으나, 5%일 때는 11~12일째에, 7%일 때는 8~10일째에 각각 수양화가 발생하였다. 수양화가 되었을 때 난백의 pH는 11.8~12.0으로 조사되었다. NaOH의 농도가 3%일때는 12~14일 정도, 5%일 때는 10일 정도, 7%일 때는 6~7일 정도 침지 후 열처리를 하면 피단이 완성되었다. NaOH의 농도가 높을수록 침지기간 및 제조기간은 단축하였으나, 피단 난백의 수양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 큰 단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NaOH가 3~5%정도가 알맞다고 생각되며, NaCl의 농도는 침지기간에는 무관하나 염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5~10%정도 범위에서 조절하는 것이 적당하고 15~20%일 경우에는 염도가 높아 기호도가 떨어졌다.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Egg Quality Indicators in the Early Phase of Hy-Line Brown Laying Hens

  • Jang, Eunhye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53-60
    • /
    • 2022
  • 계란의 내부 및 외부의 품질을 나타내는 요소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할란 검사를 통하지 않고도 계란 품질을 예측하는데 적합한 지표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케이지 계사에서 사육 중인 27주령의 하이라인 브라운 산란계 동일 계군이 같은 날에 산란한 180개의 계란을 수집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 파각 강도, 난각 두께, 난각 색(CIE L*, CIE a*, CIE b*, 반사율), 계란의 중량, 계란의 장경, 계란의 폭, 난형 지수 및 난황색 등 총 13가지의 지표를 조사하였다. 피어슨 상관 계수(r)를 이용하여, 각 품질 지표 사이의 선형 관계성을 평가하였다. 호우유닛과 농후난백높이, 난각색 CIE L*값과 반사율, 그리고 계란 중량과 계란의 폭 사이에서 매우 강한 정의 상관 관계가 분석되었다(r=0.975, r=0.973, r=0.814, P<0.001). 계란의 중량과 계란의 장경, 난각색 CIE L*값과 난각색 CIE a*값, 난각색 CIE a*값와 반사율, 그리고 난형 지수와 계란의 장경 사이에는 높은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0.703, r=-0.726, r=-0.681, r=-0.681, P<0.001). 난각의 파각 강도와 난각의 두께, 난각색 CIE a*값과 난각색 CIE b*, 난형 지수와 계란의 폭 사이에는 중간 정도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 = 0.417, r = 0.590, r = 0.405, P<0.001). 난각색 CIE a*값은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와 약한 정의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r=0.217, r=0.202, P<0.01), 난각색 CIE L*값과 파각 강도 사이에는 약한 부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0.236, P<0.01). 난각색 CIE b*값은 난각 두께와 약한 부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난각색 반사율은 파각 강도 및 난각 두께와 약한 부의 상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225, r=-0.249, r=-0.222, P<0.01). 그 외 나머지 품질 지표들 간의 상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거나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색란의 난각색은 반사율만으로 표현하는 것 보다, CIE L*값, CIE a*값과 CIE b*값을 함께 적용했을 때 갈색의 정도를 더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갈색란의 난각색 CIE L*a*b*값은 계란의 품질 지표인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 난각의 파각 강도와 두께를 간접적으로 예측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계 하동군 옥종면에 서식하는 중백로 란의 중금속함량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Heavy Metals Concentration in the Egg of Intermediate Egret, Egretta intermedia intermedia from Ogjong-myeon, Hadong-gun, in Summer)

  • Hahm, Kyu-Hwang;Ho-Won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4호
    • /
    • pp.257-260
    • /
    • 1983
  •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12 eggs collected from 6 nests of Intermediate Egret, Egretta intermedia intermedia from Ogjong-myun, Hadong-gun, Kyungnam, was examin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method in 1983. It was found that heavy metals are contained in their eggs with highest concentration Cd and Cu in the eggshell and Cr, Zn, Pb and Mn in the yolk, respectively. The thin-shelled group, by their eggshell thickness grouping, contained heavy metal in higher amount than that of thick eggshelled group. And the thin group showed small values in weight of individual egg, its yolk and albumen.

  • PDF

원적외선 전자파 건조방법을 이용한 고기능성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의 제조 및 응용 (The Application and Producing of High-Bio full Fat Activated Soybean Flour By Electron Wave Drying Soybean With Far-infrared)

  • 박정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32-3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생 대두의 약열 성으로 대두의 분말 화시 마찰열에 의한 영양소가 파괴되며 생 대두 안에 수분과 단백질, 지질의 엉킴 현상으로 대두의 분말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전지활성 생 대두 미세 분말은 저온 가열처리에 의해 리폭시게나이즈와 같은 효소를 파괴시키지 않는 방법의 일환으로서 원적외선 건조방법을 이용하여 대두분말의 품질이 우수한 분말 제조법의 개발로 산업화함으로써 국민건강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겠다.

  • PDF

난용계의 난구함분에 관한 유전력 및 유전상관 (Heritabilities and Genetic Correlations on Egg Compositions in Layers)

  • 상병찬;한성욱;정선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3-89
    • /
    • 1989
  • 본 연구는 산란계의 개량을 위한 난구성분의 유전역과 유전상관을 추정하고자 1980년 3월 1 일부터 1981년 7월 31일까지 사육 되어온 S.C.W. Leghorn종 351수와 R. I. Red종 326鳶수에서 생산된 계란 6,093개의 난구성분을 조사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난백중은 S.C.W. Leghorn종과 R. I. Red종에서 각각 초산시에 28.67, 28.95g, 300일영에 36.28, 36.015, 5일영에 37.15, 36.855이었고, 난황중은 각각 초산시에 9.21, 9.465, 300일영에 15.95, 16.435, 500일영에 17.86, 18.54 g 이었으며, 난각중은 각각 초산시 4.04, 3.66 g, 300일영에 5.39, 5.13g, 500일영에 5.40, 5.28 g이었다. 2. 유전력 추정치에 있어서는 S.C.W. Legrn종 및 R. I. Red종의 난백중은 부분산성분에서 각각 0.637∼0.746, 0.94∼0.563 이었고, 모분산성분에서 각각 0.412∼0.496, 0.477∼0.620으로 대체로 높은 추정치이었으며, 난황중은 부분산성분에서 각각 0.213∼0.530. 0.253∼0.437이었코, 모분산성분에서 각각 0.343∼0.613, 0.389∼0.477로 모분산성분에서 높았으며, 난각중은 부분산성분에서 각각 0.427∼0.602, 0.141 ∼0.281 이었고, 모분산성분에서 각각 0.336∼0.409 및 0.380∼0.552이었다. 3. 난구성분들간의 유전상관은 난백중과 난황중간에는 S.C.W, Leghorn종과 R. I. Red종에서 각각 0.082∼0.399 및 0.142∼0.465로 저도 또는 중도의 상관인 반면에 난백중과 난각중간에는 각각 0.674∼0.952 및 0.216∼0.546으로 높거나 중정도의 정의 상관이었고, 난황중과 난각중간에는 각각 0.273∼0.771 및 0.122∼0.749이었다.각 0.47~0.52, 0.40~0.54로 유전력이 비교적 높은 형질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총산란수(TEN)와 총산란중량(TEM)의 유전역은 각각 0.07~0.37, 0.18~0.27로 유전력이 낮은 형질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모든 산란형질의 유전력이 모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부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 보다 높게 나타나서 이들 형질의 모체효과를 포함한 비상가적 유전분산의 효과를 시사하고 있다. 3. 퇴교배에 따른 유전력 변화를 부모분산성분에 의하여 살피보면 기초계군(BC0), 퇴교배 1세대(BC1), 퇴교배 2세대(BC2)로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초산일령(SM)은 0.47, 0.42, 0.51 이였으며 총산란수(TEN)에서는 0.28, 0.13, 0.27으로 유전역 변화의 일정한 경향치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평균난중(AEW)과 총산란 중량(TEM)에서는 기초계군(BC0), 퇴교배1세대(BC1), 퇴교배2세대(BC2)로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0.59, 0.43, 0.35와 0.28, 0.20, 0.18로 추정되어 뚜렷한 유전력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퇴교배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난중과 총산란중량에 대한 유전적 변이의 감소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4. 산란형질간의 유전상관을 살펴보면 초산일령(SM)과 총산란수(TEN)간의 유전상관은 -0.55이고 초산일령(SM)과 총산란중량(TEM)간은 -0.42로 부의 상관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초산일령(SM)과 평균난중(AEW)간은 0.20으로 낮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평균난중(AEW)과 총산란수(TEN)간은 -0.29이고 평균난중(AEW)과 총산란중량(TEM)간은 0.31의 낮은 유전상관을 보이고 있다. 한편 총산란중량(TEM)과 총산란수(TEN)간은 0.82의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내므로 이상의 결과에서 총산란중량(TEM)에 관여하는 것은 평균난중(AEW) 보다는 주로 총산란수(TEN)에 기인하는 것 같다. 또한 총산란수( TEN)는 초산일령(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