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bumen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7초

계란의 유통 중 품질예측을 위한 품질지표 선정 (Choosing quality indicators for quality prediction of egg in circulation)

  • 이혜옥;김지영;김병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09-617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계란의 유통 중 신선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적정 품질지표를 선정하고자 수행되었다. 산란 직후 0, 10, 20 및 $3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중량감모율, 비중, 색도, 난황계수, 난백계수, Haugh unit(HU), pH 및 관능특성 변화를 조사한 후 각 품질특성과 관능적 기호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저장온도에 따른 중량감모율, 비중, 난황계수, 난백계수 및 HU와 기호도와의 상관관계는 모든 온도 조건에서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특히 중량감모율과 기호도와의 상관관계는 0, 10, 20 및 $30^{\circ}C$에서 각각 r = -0.78, r = -0.93, r = -0.95 및 r = -0.99로 난백계수와 기호도와의 상관관계는 r = 0.66, r = 0.89, r = 0.89 및 r = 0.93으로 그리고 HU와 기호도와의 상관계수는 r = 0.64, r = 0.92, r = 0.96 및 r = 0.98로 유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p<0.01). 반면에 색도와 pH는 각기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어 품질평가 자료로 이용하기에는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모든 저장온도에서 관능적 기호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중량감모율, 비중, 난황계수, 난백계수 및 HU의 변화를 계란의 유통 중 신선도 예측을 위한 품질지표로 선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종계군(種鷄群)의 Newcastle Disease에 대(對)한 면역상태(免疫狀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Immune Status of Breeding Hens Against Newcastle Disease)

  • 여상건;최원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1
    • /
    • 1979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observe the immune status of breeding hens and laying hens against Newcastle disease (ND). The methods of extraction of hemagglutination inhibition (HI) antibody from egg yolk, the detection of HI antibody in egg albume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HI antibody titers in maternal sera and egg yolks were discussed. For the purposes of these experiments, 9 flocks of breeding hens and 16 flocks of laying hens immunized against Newcastle disease virus were investigated. The vaccination program of tested flocks was 3-3-3 or 4-4-4 in general.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erized as follows: Freezing-thawing was the best method far antibody extraction from egg yolk for HI test. The HI antibody against NDV was found in egg albumen (geometric mean, 4.5), but lower than that found in egg yolk (32.1). The geometric mean of HI antibody titers of egg yolks (84.1) was higher than that of maternal sera (68.4) and day-old chicken sera (25.3).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HI antibody titers of maternal sera(Y) and those of egg yolks(X). The coefficient correlation was r=0.63, and the line of regression of Y on X was $\hat{Y}$=35.91+0.35X.

  • PDF

Effects of Various Eggshell Treatments on the Egg Quality during Storage

  • Park, Y.S.;Yoo, I.J.;Jeon, K.H.;Kim, H.K.;Chang, E.J.;Oh, H.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8호
    • /
    • pp.1224-1229
    • /
    • 2003
  • The combined effects of washing, sanitization and coating of eggshell on the phys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during storage were evaluated at $4^{\circ}$ and $30^{\circ}C$. The interior qualities of the eggs were assessed by weight changes, yolk index, albumen index, Haugh unit value, and microbial contamination of egg shell and egg white during 30 days of storage in untreated, washed, or sanitized and mineral oil-coated egg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se changes were faster in higher temperature ($30^{\circ}C$) than lower temperature ($4^{\circ}C$) storage, and washed eggs deteriorated faster than untreated eggs. The sanitized and coated eggs maintained the best quality during storage in all parameters measured. The shelf-life of washed, sanitized and coated eggs could be extended 4-5 fold compared to that of washed or untreated eggs.

Effect of Hen Weight on Egg Production and Some Egg Quality Characteristics in Pheasants (Phasianus colchicus)

  • Kirici, Kemal;Cetin, Orhan;Gunlu, Aytekin;Garip, Mustaf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5호
    • /
    • pp.684-687
    • /
    • 2004
  •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ive weight of pheasants on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characteristics. A total of 48 ring-necked pheasants were divided into control, heavy, middle and light BW groups. Live weights of the control were 1,187 g, 1,352.92 g for heavy group, 1,247.92 g for middle group and 1,003.33 g for light group. Egg production of groups were found as 47.32, 42.82, 45.79 and 46.51% respectively, in 10 weeks of perio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n egg production among the groups. The effect of live weight on egg weight, shape index, specific gravity, shell weight, shell thickness, Haugh Unit, yolk weight and albumen weight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effect of live weight on albumen index, membrane weight and membrane thickness were found not important (p>0.05). On the other hand, other important factors to be effective on the egg quality of pheasants should b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live weight of pheasant hens is not an important factor to obtain high egg production in pheasants. But, body conformation of breeding materials should be in good conditions.

토종닭 12계통 난질의 일반능력 및 상관관계 분석 (Egg Quality Traits and Their Correlations in 12 Strains of Korean Native Chicken)

  • 김기곤;권일;추효준;박병호;차재범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1-188
    • /
    • 2020
  • 본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에서 보존 및 개량 중인 토종닭 순계 5품종 12계통의 난질에 대한 일반능력 및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일반능력 분석결과, 난중은 한국화이트레그혼 F계통이 62.7 g으로 가장 무겁게 나타났고, 한국재래계 W계통이 47.5 g으로 가장 가볍게 나타났다. 난백 무게, 난황 무게 및 난각 무게는 난중에 따라 비슷한 양상을 보이지만, 한국코니시 S, H계통은 다른 계통에 비해 난황 무게가 무겁게 나타났다. 난황색은 한국재래계 L계통이 8.8로 가장 진하게 나타났고, 한국화이트레그혼 F계통이 5.7로 가장 연한 색을 보였으며, 한국로드아일랜드레드 품종과 한국화이트레그혼 품종은 품종 내 계통 간 차이를 보였다. 난각색은 한국로드아일랜드레드 C계통이 7.7로 진하였고, 한국코니시 S와 H계통은 6.2와 3.3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호우유닛은 한국재래계 L계통이 84.2로 가장 높았고, 토종닭 전체의 호우유닛은 79.9로 나타났다. 호우유닛은 품종에 상관없이 계통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난백높이는 호우유닛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난각두께는 한국로드아일랜드레드 C와 D계통이 0.342 mm로 가장 얇았고, 한국화이트레그혼 F계통과 K계통의 난각두께는 0.384 mm, 0.393 mm로 두꺼웠으나, 난각강도에서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대부분 난질형질에서 한국코니시 품종과 한국재래계 품종은 품종 내 계통 간 유의한 능력 차이를 보였고, 한국로드아일랜드레드 품종과 한국화이트레그혼 품종은 품종 내 계통 간 능력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토종닭의 난질 형질 간 상관 분석 결과, 난중과 난백 무게, 난황 무게, 난각 무게는 0.92, 0.52, 0.6으로 정의상관을 보였다. 난백 무게 비율, 난황 무게 비율 및 난각 무게비율 간의 상관은 모두 부의 상관을 보였다. 색에 대한 형질은 대부분의 형질과 상관이 없거나 낮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난형 지수는 대부분의 난질 형질과 상관이 없었다. 난백높이와 호우유닛은 난백 형질과 정의 상관을 보였다. 난백높이와 0.97로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난각두께와 난각강도는 난각 형질과 정의 상관을 보였다.

한국재래오골계의 제형질에 대한 유전모수추정에 관한 연구 III, 난형지수 및 난질에 대한 유전력 및 유전상관추구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the Genetic Parameters on All Traits in Korean Native Ogol Fowl III Estimations of the Heritabilities and Genetic Correlations on the Egg Shape Index and Egg Qualities)

  • 한성욱;상병찬;김홍기;백승봉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1-78
    • /
    • 1990
  • 본 연구는 한국재래오골계의 난형지수 및 난질에 대한 유전력 및 유전상관을 추정하여 효율적인 개량을 위한 육종목표의 설정과 선발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동물사육장에서 1987년 6월 18일부터 1989년 4월 6일까지 500일동안 부가계 20수와 모가계 150수에서 생산된 450수의 자손으로부터 계란 58,320개의 난형지수와 난질을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형지수 및 난질에 있어서 초산시, 300일영 및 500일영시의 난형지수는 각각 75.044, 74.169및 72.601 이었고, 초산시, 300일영 및 500일영시의 난각두께는 0.342. 0.320 및 0.326mm이었고, 초산시. 300일영 및 500일영시의 난백고는 각각 6.014, 5.161 및 4.807mm이었고, Haugh units에 있어서는 초산시, 300일영 및 500일영시에 각각 83.903, 71.348 및 71.336이었다. 2. 난형지수 및 난질의 유전력 추정치는 부친의 분산성분, 모친의 분산성분 및 양친의 분산성분에서 난형지수는 초산시 0.120~0.827이었고, 300일영시 0.485~0.503이었으며, 500일영시 0.232~0.872이었고. 난각두께는 초산시 0.197~0.819이었으며, 300일영시 0.184 ~0.756이었고. 500일영시 0.279~0.557이었으며, 난백고는 초산시 0.202~0.678이었고, 300일영시 0.119~0.394이었으며, 500일영시 0.225~0.527이었고, Haugh units는 초산시 0.108~0.689이었고, 300일영시 0.237~0.251이었으며, 500일영시 0.354~0.443 이었다. 3. 난형지수 및 난질간의 유전상관에서 난형지수와 난각두께, 난백고, Haugh units간에 각각 0.596~0.909, 0.384~0.943 및 0.121~0.619로 정의 계수이었고, 난각두께와 난백고, Haugh units간에는 각각 0.082~0.596 및 -0.076~0.167이었고, 난백고와 Haugh units간에는 0.374~0.964이었다.

  • PDF

계란의 란중별영양성분 및 적정가격에 관한 조사연구 (Studies on the Nutrient Contents and Optimum Prices of Eggs in Relation to Egg Weight)

  • 이규호;오봉국;오세정;이상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9-44
    • /
    • 1985
  • 본 조사연구는 계란의 중량등급별 영양가를 조사하고 적정가격을 검토하기 위하여 600개의 계란을 공시하여 계란의 중량등급별 평균란중, 란황과 란백 및 란각의 구성비, 란황과 란백의 영양성분 분석, 계란의 단백질과 지방함량 조사를 실시하고, 계란의 란중과 단백질함량 및 단백질+지방함량을 기준으로 하는 적정가격을 검토하였는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균란중(X, g/10개)의 증가에 따라 란황의 비율(Y, %)은 Y=44.34-0.02X로 감소하고, 란백의 비율(Y, %)은 Y=40.136+0.026X로 증가하였으며, 란각의 비율(Y, %)은 Y=15.358-0.006X로 감소하였다. 2. 란황과 란백의 영양분석은 계란의 중량에 따라 큰 차이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3. 평균란중(X, g/10개)의 증가에 따라 전란의 단백질함량(Y, %)은 Y=11.943-0.00032X로 감소하고, 지방함량(Y, %)은 Y=13.996-0.00614X로 역시 감소하였으며, 단백질+지방함량(Y, %)는 Y=25.939-0.00646X로 감소하였다. 4. 평균란중을 기준으로 하는 적정가는 단백질함량을 기준으로 하는 적정가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이들 적정가는 단백질+지방함량을 기준으로 하는 적정가보다 특란과 왕란에서는 높게 그리고 경란-중란에서는 낮게 평가되었으며, 시가와 비교할 때 단백질+지방함량기준 적정가가 가장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 PDF

산란계 사료에 뽕잎 분말 첨가 급여가 산란율, 계란 품질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owdered Mulberry Leaves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Laying Hens)

  • 박창일;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5-222
    • /
    • 2012
  • 본 시험은 산란계에 뽕잎 분말의 급여량(0, 1, 2 및 5%)과 급여 기간에 따라 사육한 산란계의 계란 품질, 혈액 생화화적 분석 및 혈액학적 지표 분석를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뽕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뽕잎 분말 1% 급여구는 T1, 뽕잎 분말 2% 급여구는 T2 그리고 뽕잎 분말 5%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산란계의 산란율과 계란의 난황, 난각 무게는 뽕잎 분말의 급여량과 급여 기간에 의한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난백 무게는 뽕잎 분말의 급여량과 급여 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난백 높이, 난황 색, 난각 두께 및 난각 강도는 뽕잎 분말의 급여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산란계의 혈액 콜레스테롤 성상 중 HDL-cholesterol은 뽕잎 급여량이 많고 급여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고, 총콜레스테롤과 triglyceride는 낮아지는 결과였으며(P<0.05), 뽕잎분말을 5% 급여할 경우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또한, 혈액 내 WBC 함량이 뽕잎 분말 급여구에서 높아지는 결과이었다. 결론적으로 뽕잎 분말 5%를 급여하면 총콜레스테롤과 triglyceride는 감소하고, HDL-cholesterol, glucose 및 WBC 함량이 증가되어 혈액 성상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Housing Systems - Barn vs Cage on the First Phase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Traits of Laying Pullet

  • Ahammed, Musabbir;Ohh, Sang Jip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7-73
    • /
    • 2013
  • With an increasing concern on laying hen welfare, barn system has appear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replace the conventional ca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arly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at the barn system with those at the conventional cage. A total of 288 shaver-579 brown layers were used for 9 weeks ($21^{st}$ to $30^{th}$ weeks of age) feeding study. Feed consumption and egg weight were significantly (P<0.01) higher at barn than at cag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housing systems on hen day egg production (HDEP), egg mass, body weight, feed efficiency and livability. In case of egg quality parameters, shell thickness, albumen height and Haugh unit we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between two systems. Haugh unit and albumen heigh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ggs produced at cage (88.97 and 8.16 mm) compared than those produced at barn (83.11 and 6.87 mm), whereas shell thickness was thicker in eggs produced at barn than those produced at cage. Shape index, breaking strength, blood spots and yolk index data were not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types of housing system. To implement welfare bestowing produc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barn system can replace the conventional cage without serious sacrifices on starting phase egg prod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barn system need to be optimized in view of daily feed consumption.

머루(Vitis coignetiae)의 급여가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on the quality of egg)

  • 용해인;김현주;정사무엘;강민구;배영식;조철훈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3호
    • /
    • pp.371-376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on egg qualities. Laying hen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different dietary groups containing 0, 0.25, and 0.5% of wild grape and fed for 8 weeks, respectively. Eggs were collected after feeding period and stored at $4^{\circ}C$ for 7 days. Egg quality traits and cholesterol level of egg yolk were measured at 0 and 7 days of stor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cholesterol content of egg yolk and egg shell thickness among the treatments. However, egg weights of wild grape-fed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Dietary supplementation of 0.25% wild grape increased the shell and yolk colors compared to the control. Dietary supplementation of 0.5% wild grape significantly increased albumen height and Haugh unit and decreased egg shell hardness and pH values at day 0.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after 7 days of storage. Consequently,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wild grape improved the egg qualities on some extent including egg weights, shell and yolk color, albumen height, and Haugh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