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craft Descent Performanc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항공기 강하 성능과 FMS 강하 정보에 기반한 표준계기도착절차와 계기접근절차의 운항 효율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Enhancing Efficiency of STAR and IAP for the Prospect of Aircraft Descent Performance and FMS Descent Guidance Information)

  • 이충섭;이현진;백호종;박장훈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9-91
    • /
    • 2023
  • In response to the recent surge in aviation demand, major airports and aviation authorities continue to make efforts to formulate arrival and approach procedures that take into account efficient aircraft separation, noise and environmental issues of carbon (CO2) emissions. In order to ensure efficient traffic control and environmental issues, as a result, a new concept Trombone, Point Merge, etc. have been introduced and widely used in the domestic airspace. However, these new concept procedures which do not proper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rcraft operation performance and the FMS vertical descent guidance hinder flight efficiency as well as bring in turn negative factors such as level-off flight and the use of drag device at the busiest phase of the flight descent operation, like the Continuous Descent Operation (CDO). Accordingly, throughout modification the current 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STAR) and Instrument Approach Procedure(IAP) that reflect the aircraft descent performance and the FMS guidance, the flight operation safety and efficiency is expected to be improved eventually. We herewith analyze and propose the way of improving flight efficiency in the arrival operation procedure by supplementary modification which consequently contribute to the aviation industry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ADA를 활용한 4-D 경로 모델링법 개발 (Development of 4-D Trajectory Modeling using BADA)

  • 오은미;은연주;전대근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
    • /
    • 2012
  • Four dimensional(4-D) trajectory modeling is conducted based on flight plan. The flight plan is divided into several segments which represent certain operating flight modes. Thrust, drag and fuel consumption rate of an aircraft are calculated using BADA provided by Eurocontrol. The trajectory is modeled with the rate of climb/descent calculated with Total-Energy Equation. The simulation results with a typical aircraft and its flight plan indicate that the trajectory modeled corresponds well with the suggested flight plan. The performance profiles including total endurance time and time history for speed, thrust, drag and fuel consumption were also appropriately generated.

무인항공기 자동착륙을 위한 나선형 강하궤적 및 종말유도 설계 (Homing Guidance Law and Spiral Descending Path Design for UAV Automatic Landing)

  • 윤승호;김현진;김유단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07-21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고정익 무인항공기의 그물망 자동착륙을 위한 나선형 강하궤적과 종말 유도기법을 설계하였다. 시야가 확보된 좁은 지역에서 착륙하도록 고정익 항공기의 나선형 강하궤적을 설계하였고, 나선형 강하의 끝점에서 그물망 입사방향을 향하도록 비행경로각 명령을 생성하였다. 종말유도 단계에서는 그물망 중심으로의 정밀한 유도를 위하여 시선각 정보 기반 의사추적 유도기법을 설계하였다. 고정익 무인항공기의 시스템 인식 모델을 이용한 6자유도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제안한 나선형 착륙비행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무인항공기 운항의 배속 시뮬레이션을 위한 조종사 의사결정 모델 연구 (Research on Pilot Decision Model for the Fast-Time Simulation of UAS Operation)

  • 박승현;이현웅;이학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7
    • /
    • 2021
  • 무인항공기의 운항에 필수적인 탐지 회피 시스템은 침입기를 감지하여 위험을 벗어나는 데에 필요한 선회 또는 상승/하강 기동의 범위를 제시하여 준다. 본 연구에서는 탐지 회피 알고리즘으로 NASA에서 개발한 DAIDALUS (detect and avoid alerting logic for unmanned systems)를 활용하였다. DAIDALUS는 회피 기동의 범위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실제로 기동의 정도와 방향, 그리고 회피 후 원래 경로나 임무로 복귀하는 시점은 무인항공기 조종사의 결정 사항이다. 이는 실제로 조종사가 개입하는 실시간 HiTL(human-in-the loop) 시뮬레이션에서는 유용하나, 조종사의 개입 없이 시뮬레이션을 진행해야 하는 배속 시뮬레이션에서는 조종사의 의사결정 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AIDALUS 결과를 바탕으로 기동하는 조종사의 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RTCA (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aeronautics) MOPS (minimum operational performance standards)에서 제시하는 표준 조우 벡터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조우 형상에 따라 최대 위험도가 달라지지만, loss of well clear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모델은 무인항공기가 포함된 대규모 교통량에 대한 배속 시뮬레이션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