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borne Bacterial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9초

병실 낙하균 및 산모감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ir Counts and the Infection of Maternity in n General Hospital)

  • 이남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26
    • /
    • 1979
  • This research is to prevent the infection of maternity in the hospital by examining the microbes contaminations in maternity through airbone microbes and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ward of O.B. & G.Y. and to furnish the basic data available to hospital management. The bacterial growth of airbone microbes contaminations in nosocomial air and who thor the nasal cavity of passers by (doctors, nurses, parturient women) who went to the ward of O.B. & G.Y. contaminated or not were examined in“E”Univ. Hospital from July to August, 1979 by using thioglycollate broths and agar plat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average colony number of airborne microbes revealed as follows the pediatric ward (36 colonies), the internal ward (33 colonies), the ward of O.B. & G.Y. (30 colonies), the ward of surgery (24 colonies), delivery-waiting room (11 colonies), and the delivery room (3 colonies). 2. The bacterial growth beforenoon differed from that of afternoon. Namely, the latter (24 colonies) was higher than the former (21 colonies). 3. The type of strains isolated from the air of the ward revealed staphylococci (82%), Gram negative bacilli (18%), fungi (17%), Gram positive diplococci (13%), and Bacillus subtilis (2.8%). 4. The strains isolated in the delivery-waiting room revealed staphylococci (66.7%), Gram negative bacilli (33.6%), and revealed staphylococci (75%), Gram positive diplococci (8.3%), and fungi (8.3%), in delivery room. 5. Most of strains isolated in the ward of O.B. & G.Y. revealed staphylococci (100.0%), Gram positive diplococci (8.3%), and Gram negative bacilli (6.7%). 6. The strain isolated in the surgical ward revealed staphylococci (91.7%), fungi (33.3%), Gram positive diplococci (25%), Gram negative bacilli (25%) and Bacillus subtilis (8.3%). 7. The strain isolated in the pediatric ward revealed staphylococci (75%), fungi (25%), Gram positive diplococci (8.3%), Bacillus subtilis (8.3%), and Gram negative bacilli (8.3%). 8. The strain isolated in the internal ward revealed staphylococci (91.7%), fungi (33.3%), Gram positive diplococci (25%), and negative bacilli (16.7%). The strains isolated from the nasal cavity of those doctors and nurses who and enaged in the ward of O.B. & G.Y. revealed staphylococci (80%), Bacillus subtilis (10%), and Gram negative bacilli (10%), from doctors and Gram positive diplococci (10%), instead of Gram negative bacilli (10%), from nurses. 10. The strain isolated from nasal cavity of parturient women on admission revealed staphylococci (90%), and Gram negative bacilli (10%), but after admission revealed staphylococci (70%), Gram positive diplococci (10%), and Gram negative bacilli (10%). 11. Of the total 91 staphylococci isolated from the air of the ward, the Coagulase pastive was 36 (39.6%), and the negative 55 (60.4%), As a result of the coagulase experiment of the staphylococci isolated from the nasal cavity of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ward of O.B. & G.Y. all were revealed as negative that belonged to non-pathogenic. 12. Consequence of the biochemic examination of the gram negative bacilli isolated from the air of the ward the aerobacter aerogens revealed was (16.7%) E-coli 5% in the nasal cavity of those came and went to the of O.B. & G.Y. and Aerobacter aerogens 7.5%.

  • PDF

양송이 재배사 공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조사 (Investigation of bacteria in indoor air of a greenhouse for button mushroom cultivation)

  • 권혁우;최민아;오연이;공원식;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6-29
    • /
    • 2015
  • 양송이는 재배사라는 밀폐된 환경에서 재배되는 바 양질의 생산을 위해서는 재배사 내 환경에 대한 정보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양송이 재배사내 실내환경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재배사 내 온도와 습도는 $19.75{\pm}0.35^{\circ}C$, $87{\pm}3.67%$로 세균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조건이었으며, 부유세균의 농도는 $3.84{\times}10^3cfu/m^3$로서 환경부에서 고시한 실내공기질 오염유지 기준치인 $8.0{\times}10^2cfu/m^3$을 초과하는 수치였다. 분리된 부유세균은 Advenella kashmirensis, Bacillus vietnamensism, B. licheniformis, Burkholderia sordidicola, Fictibacillus phosphorivorans, Lysobacter daejeonensis, Microbacterium esteraromaticum, Pseudomonas aeruginosa, P. protegens, P. gessardii, P. mosseli 등 7속 11종으로 동정되었다.

생식용 굴(Crassostrea gigas) 작업장의 위생안전성에 대한 모니터링 (Safety Monitoring of a Processing Plant for Preparing Raw Oysters Crassostrea gigas for Consumption)

  • 강경태;박선영;최종덕;김민주;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0-129
    • /
    • 2017
  • This study assessed the safety of raw oysters Crassostrea gigas for consumption during processing in a processing plant. Bacterial contamination (e.g., viable cell counts, coliform groups, Escherichia. coli and pathogenic bacteria) and chemical contamination (e.g., heavy metals and shellfish toxins) were measured on raw oysters, a processing equipment, employees and work areas. No total mercury, lead, paralytic shellfish poison, diarrheic shellfish poison or norovirus was detected in any post-harvested oyster samples. However, the cadmium level ranged from 0.1-0.2 mg/kg. The viable cell count, E. coli and coliform group levels in post-harvested oysters ranged from 4.00-4.54 log CFU/g, ND-210 MPN/100 g and 110-410 MPN/100 g, respectively. The viable contaminating cell counts on employees, equipment and work areas were in the range of $0.90-3.46log\;CFU/100cm^2$. Airborne bacteria in the work areas ranged from 0.60 to 1.81 log CFU/plate/15 min. Thus, no significant health risks were detected in the processing plant.

2003년 태안지역에서 황사 부유분진의 미생물학적 동정과 금속 성분 및 농도 (Microbiological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Metal Components in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during Yellow Sand Phenomena at TaeAn Region in 2003)

  • 배강우;김윤섭;김종호;박재석;지영구;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2호
    • /
    • pp.167-173
    • /
    • 2005
  • 연구배경 : 황사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3월에서 5월까지 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대기오염의 주된 원인으로 사람에게 만성 기관지염을 악화시키고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사기간 중 부유분진 중의 무기이온 성분과 금속성분의 분석에 대한 연구와 천식 등 호흡기 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아직까지 황사의 부유분진중의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황사 현상시 부유분진 중에 박테리아, 진균 그리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의 검출유무와 종류를 알아보고 금속 성분 및 농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시료의 채취는 충남 태안군 파도리에서 cascade impactor(AN-200, USA)를 설치하여 1시간 동안 얻었으며 채취는 황사현상 기간과 비황사기간중 각각 한번씩 시행하였다. Cascade impactor에 의해 채취된 부유분진중의 미생물 검사는 cascade impactor내에 있는 여과지를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진균, 그리고 바이러스의 배지(4종, influenza, parainfluenza, adenovirus, RSV)에 옮긴 후에 배양하여 분석하였다. 금속 성분의 분석은 XRF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조사 대상 지역의 황사기간과 비황사 기간 중 부유분진의 농도는 각각 80.2, $40.3g/m^3$ 이었다. 부유분진 중 XRF로 분석한 금속성분은 알루미늄과 규소, 황, 칼륨과 칼슘, 철 등 대부분의 금속이 비 황사 기간에 비해 황사 기간에서 농도가 높았다. 미생물 검사 결과상 그람 양성균은 Bacillus species,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가 자랐으며 황사기간보다 비 황사 기간동안 채취한 시료에서 오히려 더 많은 단계의 여과지에서 균이 동정되었으나 두 기 간에서 자라는 균주의 종류에는 차이가 없었다. 진균 배양은 비 황사 기간동안 Mucor species, Cladosporum, Alternaria, Aspergillus, Penicillium, Alternaria등의 진균들이 자랐으며, 황사 기간동안은 Penicillium과 Alternaria, 그리고 다른 mold form fungus들이 자랐다. 바이러스와 그람 음성균은 두 기간 다 자라는 균주는 없었다. 결 론 : 이 연구는 황사 기간동안 대기분진 중에 포함된 미생물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 황사 현상시 미생물의 검출 종류는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개체수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금속 성분의 종류는 차이가 없었으나 농도는 황사 현상시에 더 높은 수치를 보여 황사현상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의 주의와 대기오염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냉온수기에서 일반세균의 분포 및 분리한 세균의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Heterotrophic Plate Count Bacteria in Water Samples from Drinking Water Dispensers)

  • 이은화;고지윤;김종설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44-250
    • /
    • 2008
  • 울산 소재 S회사(S-C)와 U고등학교(U-H)에 설치된 냉온수기를 대상으로 S-C에서 냉수 74개, U-H에서 냉수와 온수 각 36개의 시료를 채수하여 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일반세균 농도의 중간값은, S-C 시료에서 53 CFU/ml ($0\sim4,135$ CFU/ml)이었으며, U-H의 경우 냉수에서 80 CFU/ml ($0\sim1,480$ CFU/ml), 온수에서 0 CFU/ml ($0\sim240$ CFU/ml)이었다. S-C 시료의 38%, U-H 냉수 시료의 42%에서 일반세균에 대한 먹는 물 수질기준인 100 CFU/ml을 초과하였으며, 대장균군은S-C의 1개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냉온수기에서 검출되는 미생물의 주요오염 경로를 확인하고자, 2회에 걸쳐 먹는 샘물 용기로부터 각각 6일과 8일 동안 매일 시료를 채수하였으며, 2회 채수는 냉온수기의 꼭지에서도 행하였다. 일반세균 농도의 평균값은, 먹는 샘물 용기에서 1회 33 CFU/ml, 2회 132 CFU/ml이었으며, 냉수 꼭지 시료에서 1,022 CFU/ml로, 냉온수기 꼭지에서 검출되는 대부분의 세균은 먹는 샘물이 수조통과 통로관을 거치면서 오염된 것으로 판단된다. 먹는 샘물 용기를 냉온수기에 연결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용기 내 일반세균수의 유의성 있는 증가는 없었다. 임의의 100개 일반세균 집 락을 대상으로 순수배양 후표현형에 따른 동정 시험을 하였으며, 그람양성 3속6종,그람음성 7속7종 등, 모두 10속13종의 세균을 잠정적으로 확인하였다. U-H의 4대 냉온수기 꼭지에서, 그람양성은 전체의 72%이었고, 그람양성의 Micrococcus spp.가 전체의 54%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Micrococus spp.와 그람음성의 Sphingomonas paucimobilis는4대의 냉온수기 모두에서 분리되었다. 냉온수기의 일반세균은 주로 실내 공기중 미생물로부터 유래하며, 이들 미생물이 냉온수기의 수조통 흑은 통로관에서 생물막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큰느타리 재배사에서 헤파필터 교체 이후 기간에 따른 미생물상 변화 (Changes in microbial phase by period after hepa filter replacement in King oyster(Pleurotus eryngii) mushroom cultivation)

  • 박혜성;민경진;이은지;이찬중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8-402
    • /
    • 2020
  • 버섯은 대부분 시설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고품질의 버섯 생산을 위해서는 재배사 내 환경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헤파필터 교체에 따른 큰느타리 재배사 대기중 미생물상 변화를 분석하여 헤파필터 적정 교체기간을 설정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헤파필터 교체 전 재배단계별 대기중 세균 및 진균 밀도는 배지제조과정에서 세균 169.7 cfu/㎥, 진균 570 cfu/㎥, 균 긁기과정에서 세균 126.3 cfu/㎥, 진균 560cfu/㎥로 부유균의 밀도가 가장 높았다. 헤파필터 교체 후 세균의 밀도는 배양실에서 가장 낮아졌고, 진균의 밀도는 냉각실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헤파필터 교체전 Cladosporium sp. 등 7속 7종이었고, 교체 후 1개월은 Penicillium sp. 등 6속 6종, 2개월은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등 4속 7종, 3개월차는 Mucor plumbeus 등 5속 7종, 4개월에서 6개월까지는 Penicillium brevicompactum 등 각각 5속 12종, 5속 10종, 5속 10종으로 교체 후 기간이 지날수록 종이 다양해지고 증가하였다. 부유균의 밀도는 헤파필터 교체 후 2개월 후 가장 낮았고 차츰 증가하다가 6개월에는 교체전 밀도와 비슷해지거나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헤파필터는 6개월마다 교체하는 것이 오염저감을 위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주거용 아파트 엘리베이터의 미생물 오염도와 영향요인 조사 (Research on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s in Apartment Tower Elevators)

  • 심원보;서주희;이채원;정명진;김정숙;김형갑;정덕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56-464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elevators in apartment buildings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such microbial contamination. Methods: A total of 144 samples, including from the exterior buttons, interior buttons, elevator handrails, walls, ventilators and airborne bacteria were collected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from July to August 2013 for six different elevators. The samples were used to detect sanitary indicator bacteria (total bacteria,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pathogenic bacteria (E. coli O15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B. cereus, S. aureus) and fungi. Results: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bacteria were 0.3-3.8 and 0.0-2.4 log CFU/100 $cm^2$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coliform bacteria, the levels were 0.0-3.7 log CFU/100 $cm^2$ in the morning and 0.0-0.3 log CFU/100 $cm^2$ in the afternoon. However, E. coli was not detected among all samples. Bacillus cereus, pathogenic bacteria, was only detected in 13 (11%) among 144 samples. E. coli O15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S. aureus were not detected among all samples. Comparing the samples collected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we could confirm that the samples in the afternoon were cleaner.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samples in the afternoon were cleaner because these samples were collected following routine cleaning. Also, the levels of contamination in the elevators were low and the sanitary conditions were comparatively well-manage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for elevators be cleaned regularly to provide good conditions for people using elev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