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Pollution Assessment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23초

항공기 기내 청소노동자의 분진, 초미세먼지(PM2.5) 및 블랙카본 노출수준 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Dust, Ultra Fine Dust(Particulate Matter 2.5, PM2.5) and Black Carbon among Aircraft Cabin Cleaners)

  • 박현희;김세동;김성호;박승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1-187
    • /
    • 2023
  • Objectives: Aircraft cabin cleaning work is characterized by being performed within a limited time in a narrow and enclosed spa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xposure levels to dust, ultra fine dust(PM2.5) and black carbon(BC) among aircraft cabin cleaners. Methods: Active personal air sampling for respirable dust(n=73) and BC(n=47) was conducted during quick transit cleaning(cabin general and vacuum-specific) and seat cover replacement and total dust and PM2.5 were area-air-sampled as well. Also, size distribution of particle was identified with the cleaning workers targeted. Dusts were collected with PVC filters using gravimetric analysis. The concentration of PM2.5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ere measured with real-time direct reading portable equipment using light scattering analysis. The concentration of BC was measured by aethalometer(filter-based real-time light absorption analysis instrument). Results: The geometric mean of respirable dust was the highest at vacuum cleaning as 74.4 ㎍/m3, following by replacing seat covers as 49.3 ㎍/m3 and cabin general cleaning as 47.8 ㎍/m3 . The arithmetic mean of PM2.5 was 4.83 ~ 9.89 ㎍/m3 inside the cabin, and 28.5~44.5 ㎍/m3 outside the cabin(from bus and outdoor waiting space). From size distribution, PM2.5/PM10 ratio was 0.54 at quick transit cleaning and 0.41 at replacing seat cover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BC was 2~7 ㎍/m3, showing a high correlation with the PM2.5 concentration. Conclusions: The hazards concentration levels of aircraft cabin cleaners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roadside outdoor workers. As the main source of pollution is estimated to be diesel vehicles operating at airports, and it is necessary to replace older vehicles, strengthen pollutant emission control regulations, and introduce electric vehicl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s part of airport-inftastructure a stable standby waiting space for aircraft cabin cleaners and introduce a systematic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all workers in the aviation industry.

Chemical Properties and Nutrient Loadings of Rainwater during Farming Season

  • Kim, Min-Kyeong;Hong, Seong-Chang;Lee, Jong-Sik;Jung, Goo-Buk;Kwon, Soon-Ik;Chae, Mi-Jin;Yun, Sun-Gang;So, Kyu-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86-390
    • /
    • 2013
  • Recently, special attention has been given to acid rain and its problem to environment such as acid precipitation and air pollution in East Asia. In the present study, rain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pr to Nov in 2012. The samples were chemically characterized for the assessment of emission sources. Suwon and Yeoju regions, typical agricultural areas in South Korea, were chosen for study sites. Ion composition and cation-affected neutralization were determined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cations to the acidity of rainwater. 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between the measured and the estimated showed high correlation. The cations observed in Suwon and Yeoju were $Na^+$ > $NH_4{^+}$ > $K^+$ > $Ca^{2+}$ > $Mg^{2+}$ > $H^+$ and $Na^+$ > $K^+$ > $NH_4{^+}$ > $Ca^{2+}$ > $Mg^{2+}=H^+$, respectively. The anions of all sites were $SO{_4}^{2-}$ > $NO_3{^-}$ > $Cl^-$. While the amounts of sulfate, one of the major dissolved components of rainwater, were 77.6 and 75.6 ueq $L^{-1}$ in Suwon and Yeoju, the ones of NSS-$SO{_4}^{2-}$ (Non-Sea Salt sulfate) were 83 and 82% in Suwon and Yeoju, respectively. The comparison of observed pH values ($pH_{obs}$) with the theoretical pH values ($pH_{the}$) showed that the neutralization of rain water considerably went along during the study periods. The highest amounts of rainfall throughout the year in Suwon and Yeoju were 572.3 and 484.6 mm in July, and its corresponding nitrogen loadings in Suwon and Yeoju were 5.28 and 3.50 kg $ha^{-1}$, respectively. The major ion contents for crop growth with $SO{_4}^{2-}$, $Ca^{2+}$, $K^+$ and $Mg^{2+}$ were 51.7, 5.2, 11.8 and 1.8 kg $ha^{-1}$ in Suwon and 34.2, 4.0, 4.2 and 1.1 kg $ha^{-1}$ in Yeoju.

지자체간 협조를 통한 하천수질관리 비용절감 방안: 영산강을 대상으로 (Cost Reduction Measure for River Water Quality Management by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a Case of the Youngsan River)

  • 여규동;조은희;정영훈;이충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B호
    • /
    • pp.273-285
    • /
    • 2012
  • 현행 수질오염총량관리제는 원인자부담원칙를 기본으로 설정된 단위유역별 지자체별 할당부하량을 해당 지자체가 개별적으로 대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하천으로 유입되는 수질오염물은 공기오염물과 달리 상류에서 하류로 일방적으로 흐르고, 하나의 하천에 다수의 지자체가 연관이 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하수처리시설은 '규모의 경제'를 따르는 시설물임을 감안한다면 지자체간 협조를 통해 수질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역 전체의 관점에서 비용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삭감량을 재배분함으로써 수질관리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영산강 유역을 대상으로 현재 단위유역별 지자체별로 할당된 계획삭감량을 총량의 증감없이 오염원이 집중된 지역으로 재배분하여 발생하는 수질개선 효과와 비용절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계획에 의한 영산강 유역 전체의 비용은 787,575.0 백만원이며, 시나리오-1과 2는 각각 123,671.8 백만원, 171,433.5 백만원의 비용이 절감되었다. 본 연구는 오염총량관리제를 준수하기 위한 지자체의 수질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으로서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 재난 사례 QRE 평가도구를 활용한 재난 위험도 평가 (Disaster Risk Assessment using QRE Assessment Tool in Disaster Cases in Seoul Metropolitan)

  • 김용문;이태식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1-21
    • /
    • 2019
  • 본 연구는 서울시가 관리하는 재난 유형 중에 19개(자연재난 3개, 사회재난 16개)를 선정하여 QRE 평가를 진행하였다. 19개 재난 유형의 선정 기준은 과거에 자주 발생하고, 발생하면 인명과 재산피해를 많이 초래하는 재난 및 미래에 발생 가능성이 큰 재난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서울시의 재난 유형에 대한 QRE 도구의 결과에 따르면, 가장 위험도가 높은 재난 유형은 "자살 사고" 및 "대기질 악화"로 나타났다. 자살 사고는 발생 위험이 높고 자살자의 경제 및 정신적인 문제 해소 대책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재난 위험 등급 "M6"에 해당된다. 이에 비해 서울시가 관리하는 재난 중 위험도가 낮은 재난 유형은 풍수해, 상수도 누수사고, 수질 오염사고 등으로 분석되었다. 풍수해는 국지성 집중호우, 태풍 등 재난 발생 가능성은 높지만, 서울시는 5년마다 풍수해 저감 종합계획 등을 수립하여 잘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이 재난 예방 대비책이 적절하게 수행되는 것으로 평가되어 재난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재난 위험 등급 "VL1"에 해당된다. 끝으로 QRE 도구는 도시의 지도자 및 재난 관리자들에게 재난 발생 위험을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알려줌으로써 의사 결정을 빠르게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준다. 또한 QRE 도구를 활용한 평가는 서울시에 당면한 도시안전 위험도에 대한 복원력의 체계적인 평가, 미래투자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 재난 대응 등 많은 측면에서 도움을 주었다.

위성영상과 머신러닝 활용 도시열섬 지역 옥상녹화 효과 예측과 이산화탄소 흡수량 평가 (Predicting the Effects of Rooftop Greening and Evaluating CO2 Sequestration in Urban Heat Island Areas Using Satellite Imagery and Machine Learning)

  • 김민주;박정우;박주현;박지수;현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1호
    • /
    • pp.481-493
    • /
    • 2023
  • 고밀도 도심지의 열섬현상이 도시 기온을 더 높이고 있으며 이로부터 대기오염 악화, 냉방 에너지 소비 증가 및 온실가스 배출 증대와 같은 부정적 영향들이 발생한다. 녹지의 추가 확보가 어려운 도시 환경에서 옥상녹화는 효율적인 온실가스 감축 전략이다. 본 연구에서는 열섬현상 현황 분석에서 더 나아가 고해상도 위성자료 및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연구 지역 내 옥상녹화 가용면적 산정 후 옥상녹화가 가져오는 온도 분포 예측을 통한 열섬현상 완화도 및 이산화탄소 흡수량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WorldView-2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부산시 도시열섬 지역의 기존 토지피복을 분류하고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옥상녹화 전 후 온도 분포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옥상녹화 면적 변화에 따른 열섬현상 완화도를 평가하기 위해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통해 온도가 종속변수인 온도 분포 예측모델을 구축하였고, 이 과정에서 랜덤포레스트 모델의 훈련자료로 사용될 고해상도 지표 온도 도출을 위해 Google Earth Engine을 활용하여 Landsat-8과 Sentinel-2 위성자료를 융합하는 다중회귀모델을 적용하였다. 또한, 옥상녹화용 초본식생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기반으로 녹화 면적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개발된 위성자료 활용 도시 열섬현상 평가 및 랜덤포레스트 모델 기반 온도 분포 예측 기술은 도시열섬 취약 지역에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