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chi Biodiversity Target 11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 11의 이론적 고찰 - 보호지역의 양적 확대 목표와 질적 향상 목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ichi Biodiversity Target 11 - Focu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Goals and Qualitative Improvement Goals of Protected Areas -)

  • 홍진표;심윤진;허학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3-58
    • /
    • 2017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understanding for evaluat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rogress of national protected areas,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of Aichi Biodiversity Target 11 in order to comply with recommendations of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o conserve biodiversity. As a result of the study, Aichi Biodiversity Target 11 sets out the specific contents that the Parties should achieve for protected areas by identifying them as temporal and spatial goals. The temporal goal, the time schedule for achieving the goal, is 2020, and the spatial goal is divided into quantitative expansion goals and qualitative improvement goals. The quantitative expansion goals present the target coverage of protected areas separately terrestrial and marin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goals include the target areas for conservation and five conservation considerations. The conservation targets focus on the important areas with regard to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The five conservation considerations mean effective management, equitable management, ecological representativeness, connectivity, and integration into the landscape and seascape for protected areas. Finally, it suggests that two tracks of protected areas and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OECMs) should be used as conservation measures to build an integrated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for protected areas and it can contribute to achieve quantitative expansion goals and qualitative improvement goals for them.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 11에 기초한 국가 보호지역의 통합 평가 체계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Evaluation Method for National Protected Areas Based on Aichi Biodiversity Target 11)

  • 홍진표;심윤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3-94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an integrated evaluation method to assess the level of achievement of quantitative expansion goals and qualitative improvement goals based on the Aichi Biodiversity Target 11 for quantitatively expanding and qualitatively improving national protected area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for national protected areas are the percentage of terrestrial and inland water areas protected and the percentage of marine and coastal areas protected.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for national protected areas are selected as 6 indicators: 1) ecologically important areas, 2) ecological representativeness, 3) management effectiveness, 4) connectivity, 5) social equity and 6) integration. Ecologically important areas are an indicator which evaluates how many areas of particular importance for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are included in national protected areas. Ecological representativeness is to assess how well national protected areas represent the ecosystem. Management effectiveness is an indicator which evaluates how effectively national protected areas are conserved and managed, and connectivity is an indicator to assess how well national protected areas are connected. Social equity is evaluating how equitably national protected areas are managed and the integration is assessing how much national protected areas are integrated into the wilder landscape and seascap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perspective of qualitative improvement as well as quantitative expansion of national protected area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through accurately understanding Aichi Biodiversity Target 11.

국가 보호지역 통합 시스템의 양적 확대 목표에 대한 평가 (Evaluating Quantitative Expansion Goals of the National Protected Areas Integrated System)

  • 홍진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7-65
    • /
    • 2018
  • The study is conducted to establish the National Protected Areas Integrated System(NPAIS) which includes National Protected Areas(NPAs) and other conservation measures in terms of effective way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Additionally, it is carried out to evaluate progress toward quantitative expansion goals in Aichi biodiversity Target 11. The NPAIS consists of NPAs and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OECMs).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OECMs. OECMs type I, including water-source protection Areas(WPA), riparian zones(RZ), fishery-resource protection zones (FPZ), and urban natural park zones(UNPZ), is a potential protected area which is recommended to be incorporated into the NPAs for effective management. OECMs type II means development restriction zones(DRZ), natural recreation forests(NRF), and buffer zones for Korea national arboretum(BKNA).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quantitative expansion goals of the NPAIS, terrestrial and inland water protected areas exceed 17% of the quantitative goal in Aichi biodiversity Target 11. The larger the area of individual OECMs and the lower the degree of overlap with NPAs, the higher the contribution of them to the terrestrial and inland water protected areas. DRZ contributes to enlarge more than 3% of quantitative expansion. And RZ and NRF contribute more than 1%. The marine protected areas are expanded by $1,425km^2$ through FPZ, but the expanded area is very small as comparing with the total marine area. It adds only 0.321% to the quantitative expansion. The rest of OECMs also has very poor quantitative expansion contributions in the marine area. Consequently, the NPAIS is effective for quantitative expansion of land areas, but not for marine areas.

Post-2020 국가 보호지역 목표 설정을 위한 국제동향 고찰 - 생물다양성협약 결정문 및 글로벌 목표 성취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International Trends for Establishing Post-2020 National Targets Relevant to Protected Areas - Focused on the CBD Decisions and Aichi target-11 Achievement Status -)

  • 허학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01-609
    • /
    • 2020
  •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협약(CBD)의 보호지역 관련 주요 논의 동향을 분석하고 2020 생물다양성목표(Aichi target-11)의 성취 정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의 보호지역 관련 Post-2020 국가 정책방향 및 목표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생물다양성협약의 보호지역 관련 결정문으로는 1995년 채택된 2개의 결정문(Decision II/7, II/8)을 시작으로, 제7차 당사국총회(2004)에서 보호지역 관련 이상적인 청사진을 제시한 보호지역실행프로그램(PoWPA)을 채택(Decision VII/28)하였다. 2010년에 보호지역 관련 핵심 이슈 10가지를 제시한 Decision X/31과 함께 "생물다양성 전략계획 2011-2020" 중 하나로 보호지역 관련 목표인 Aichi Target-11이 설정되었다. Aichi Target-11 성취 현황을 살펴보면 글로벌 차원에서 육상은 지구 토지면적의 15%, 해양의 7.4%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는 육상 16.63%, 해양 2.12%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효과적이고 공정한 관리,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에 중요한 지역 보호,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OECMs)'을 밝혀내고 보호지역과 연계하는 것 등은 글로벌 목표 성취에 많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프레임워크(Post-2020 GBF)의 초안을 살펴보면 1차 초안('20.1월)에서는 다단계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는데, 2030년 까지 생물다양성에 있어 특별히 중요한 지역의 최소 60% 보호, 전체 육지 및 해양 지역의 최소 30% 보호, 이 중 최소 10%는 엄격한 보호(strict protection)를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개정된 초안('20.8월)에서는 이를 간결하게 2030년 까지 전 지구의 최소 30%라는 하나의 양적 목표를 제시하고, 이들 지역이 "생물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지역을 중심으로 효과적이며 잘 연결된 보호지역과 OECMs 시스템"을 통해 보호 및 보전되어야 한다는 질적 목표를 가미하였다. Post-2020 GBF의 보호지역 관련 목표와 우리나라의 현황 및 기 수립된 국가계획 내용 반영을 통한 국가 목표를 제안해 보면, 육상의 경우 국토면적의 30%, 해양의 경우 관할해역의 10% 정도로 설정하고 질적인 부분의 성취를 위한 세부 목표(sub-targets) 설정을 통해 성취 수단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잠재 보호지역 발굴을 통한 국가 보호지역 확대 방안 - 보호지역 부합성에 대한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anding Protected Areas through Identifying Potential Protected Areas - focusing on the experts' recognition with regard to protected area -)

  • 허학영;조동길;심윤진;유윤진;홍진표;심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86-594
    • /
    • 2017
  •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협약 아이치 타겟-11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해 국제적인 보호지역 정의에 부합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잠재 보호지역을 전문가 인식을 토대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보호지역 전문가 13명으로 정책포럼을 구성하여 포럼 4회, 설문조사 2회, 국제적 관점에서의 사례 검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잠재 보호지역은 총 4개 지역으로 상수원보호구역, 수변구역, 수산자원보호구역, 도시자연공원구역이다. 기존 보호지역과의 중복면적을 제외한 전체 면적을 종합해보면 총 $5,643.9km^2$(육상 $3,117.9km^2$, 해상 $2,526km^2$)이며 이는 육상은 국토면적의 3.11%, 해양은 관할해역의 0.67%에 해당하는 보호지역 면적 상승 등 국가 보호지역 시스템 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잠재 보호지역 발굴을 통해 생물다양성협약 아이치 타겟-11에 대응한 국가차원의 목표 성취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국가 보호지역 시스템의 강화를 위해 보호지역 양적 질적 개선 연구와 더불어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OECM) 발굴 연계 등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보호지역의 식물종 보전 상보성 평가 (Complimentary Assessment for Conserving Vegetation on Protected Areas in South Korea)

  • 박진한;최혜영;모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6-445
    • /
    • 2020
  •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11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보호지역은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되어왔으며, 추가 지정이 필요한 잠재 보호지역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효과적인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보호지역의 상보성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식물종을 대상으로 종분포모형을 이용하여 잠재서식지역을 도출하고,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내 잠재서식지역이 포함되는 종의 풍부도를 유사도 지수인 Jaccard, Sorenson, Bray-curtis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대부분이 상보성이 낮아 유사한 식물종을 보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목원 완충지역이 상보성이 높아 보호지역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잠재서식지역이 포함되는 경우가 적은 식물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존 또는 잠재 보호지역 외 지역에 추가로 보호지역을 선정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별 보호지역이 보호지역으로서 고유한 생태계 또는 생물종 보전이 가능한지 각 보호지역의 생태적 대표성을 확인하고, 공간적으로 추가 보호가 필요한 지역을 탐색하는 방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동물종까지 포함한 상보성 평가를 통한 보호지역의 질적 개선과 계속적으로 조사되는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보호지역의 효과성평가 연구 등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