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o-food safety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4초

농업환경에 서식하는 파리에서 분리된 E. coli의 병원성 유전자 및 항생제 내성 조사 (Virulence Profil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from Flies Captured from Agricultural Environment)

  • 윤보현;장윤정;김연록;김황용;김원일;한상현;김세리;류재기;김현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7-153
    • /
    • 2017
  • 본 연구는 다양한 농업 환경에서 채집된 파리의 분비물에서 E. coli을 분리하고 분리된 E. coli의 병원성유전자 및 항생제내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였다. 파리는 과일농장(n = 19), 장류생산농장(n = 9), 생활쓰레기 야적장(n = 46), 축사(n = 66), 도축장(n = 38), 퇴비장(n = 10)에서 총 188마리를 채집하여 토사물과 배설물로부터 E. coli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 그 결과, 채집된 파리의 63%(119/188)에서 E. coli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도축장에서 채집된 파리에서 E. coli의 검출률이 89%(34/38)로 가장 높았다. 또한 분리된 E. coli을 대상으로 병원성 유전자 8종(ST, LT, VT1, VT2, aggR, bfpA, eaeA, ipaH)을 조사한 결과, 도축장에서 채집된 파리에서 분리된 E. coli 중 91%(31/34)가 장독소를 생산할 수 있는 ST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분리된 E. coli의 16%(31/188)가 1종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다. 특히, 항생제 사용빈도가 높은 축사에서 채집된 파리의 E. coli 경우에는 59%(23/39)가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항생제 내성 E. coli 균주 중 10%(12/119)는 2종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고, 모두 축사 채집 파리에서 분리된 균주였으며, 이 중 2개 균주는 다재내성의 지표인 ESBL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에 양성을 나타내었다. ESBL 양성균주 중 1 균주는 7종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축산환경 서식 파리에서 분리된 E. coli은 병원성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낼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농식품을 생산하는 농장이나 식품공장은 가급적 축산환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거나 방충망 등의 차단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QuEChERS법과 PTV-GC/TOFMS 이용 잔류농약 분석법 개발을 위한 사과시료 중 236종 농약의 동시분석 (Analysis of 236 Pesticides in Apple for Validation of Multiresidue Method using QuEChERS Sample Preparation and PTV-GC/TOFMS Analysis)

  • 주옥정;권혜영;박병준;김찬섭;진용덕;이제봉;윤서희;손경애;홍수명;임건재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1-416
    • /
    • 2011
  • 최근 농식품 중 잔류농약의 분석을 위해서 전처리를 빠르고 단순하게 하면서 고감도의 정밀기기를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을 동시에 행하는 분석방법의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신속한 전처리법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QuEChERS(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법과 PTV(programmable temperature vaporizer)가 장착된 GC/TOFMS을 이용하여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PTV조건을 확립했으며 사과 시료를 대상으로 3농도 수준에서(50, 100, 400 ng/g) QuEChERS법(acetate buffer법)으로 전처리 한 후 PTV-GC/TOFMS로 분석하여 회수율 및 RSD를 조사한 결과 400 ng/g 농도에서는 230성분(97%)이 80-120%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5성분(2.1%)을 제외한 모든 성분에서 RSD값이 10%미만으로 양호한 재현성을 보였다. 가장 낮은 농도인 50 ng/g의 경우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33성분을 제외한 203성분 중 197성분(97%)에서 70-120%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4성분(2.0%)을 제외한 모든 성분에서 RSD값이 20%미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된 QuEChERS 전처리법과 PTV-GC/TOFMS 분석조건을 이용하여 과일과 야채중의 잔류농약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Picoxystrobin 살포후 강우를 고려한 지렁이 위해성 평가 (Earthworm Risk Assessment of Picoxystrobin Considering Rainfall after Spraying)

  • 홍순성;유아선;정미혜;이제봉;임양빈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9-362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과수에서 사용되는 살균제인 picoxystrobin의 지렁이에 대한 독성 및 위해성 평가를 위하여 수행되었다. Picoxystrobin 원제(99.3%)의 지렁이에 대한 급성독성($LC_{50}$)은 10.93 mg/kg이었으며, 액상수화제(25%)도 원제와 유사한 8-16 mg/kg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독성값은 현재 우리나라의 등록농약에 대한 지렁이 평가기준에는 문제가 없는 수치이나, 실제 약제살포 후 강우를 예상한 모의시험에서 시험개시 24시간 내에 모든 지렁이가 치사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약제의 특성과 살포 이후 강우를 고려한 위해성 평가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Distribution of Arsenic Fraction in Soil Around Abandoned Mining Area and Uptake by Rice

  • Kim, Hyuck-Soo;Go, Woo-Ri;Kang, Dae-Won;Yoo, Ji-Hyock;Kim, Kye-Hoon;Kim, Won-I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391-396
    • /
    • 2015
  • Arsenic (As)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soils resulting from mining activity has caused major concern due to the potential health risk. Therefore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ractionation of As in soil and rice uptake and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for adequate management of As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 Twenty agricultural soils and rice affected by the abandoned mining sites were collected.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As concentrations (total and sequential extracted) in soils were determined and As concentrations in polished rice were analyze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As in non-specifically adsorbed (F1), specifically adsorbed (F2), amorphous hydrous oxides of Fe and Al (F3), crystalline hydrous oxides of Fe and Al (F4) and residual phase (F5) were 0.08, 1.38, 10.34, 3.26 and $10.98mgkg^{-1}$, respectively. Both soil pH and available phosphoru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s of As in F1 and F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ing the soil pH and available phosphorus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easily mobile fractions of As (F1 and F2).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As in polished rice was $0.09mgkg^{-1}$. The concentrations of As in F1 and F2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ncentrations of As in polished rice. Therefore soil pH and available phosphorus affect the distribution of As fractionation in soils and thus affect As bioavailability.

Expression of Codon Optimized β2-Adrenergic Receptor in Sf9 Insect Cells for Multianalyte Detection of β-Agonist Residues in Pork

  • Liu, Yuan;Wang, Jian;Liu, Yang;Yang, Liting;Zhu, Xuran;Wang, Wei;Zhang, Jiaxiao;Wei, 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9호
    • /
    • pp.1470-1477
    • /
    • 2019
  • ${\beta}_2$-adrenergic receptor (${\beta}_2-AR$) was expressed efficiently using Bac-to-Bac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in Sf9 cells as a bio-recognition element for multianalyte screening of ${\beta}$-agonist residues in pork. Sf9 cells were selected as the expression system, and codon optimization of wild-type nucleic acid sequence and time-dependent screening of expression conditions were then carried out for enhancing expression level and biological activity. Under optimum conditions of multiplicity of infection (MOI) = 5 and 48 h post transfection, the protein yield was up to 1.23 mg/ml. After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ic techniques, the purified recombinant protein was applied to develop a direct competitive enzyme-linked receptor assay (ELRA) and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the assay was determined. The IC50 values of clenbuterol, salbutamol, and ractopamine were 28.36, 50.70, and $59.57{\mu}g/l$, and clenbuterol showed 47.61% and 55.94% cross-reactivities with ractopamine and salbutamol, respectively. The limit of detection (LOD) was $3.2{\mu}g/l$ and the relevant recoveries in pork samples were in the range of 73.0-91.2%, 69.4-84.6%, and 63.7-80.2%,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it had better performance compared with other present nonradioactive receptorbased assays, indicating that the genetically modified ${\beta}_2-AR$ would have great application potential in detection of ${\beta}$-agonist residues.

미나리(Oenanthe javanica) 수확 후 처리 환경에서의 위생지표세균 및 병원성 미생물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Oenanthe javanica at Postharvest Environments)

  • 김연록;이경아;최인욱;이영하;김세리;김원일;류송희;이효섭;류재기;김황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8-277
    • /
    • 2014
  • 본 연구는 미나리 수확 후 처리환경의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를 조사하기 위해 4개 지역의 미나리 재배농가 9곳을 선정하였다. 미나리 재배농가로부터 다양한 시료를 채취하여 위생지표세균과 병원성 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에 대한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9개 농가의 재배환경의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한 결과 총 호기성 세균과 대장균군이 각각 0~7.00, 0~4.25 log CFU/g, mL, or $100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대장균(E. coli)은 몇몇 농가의 토양, 관개용수, 세척수 및 작업자의 손에서 양성반응을 확인하였으며, 양성반응이 관찰된 농가의 경우 작물인 미나리에서도 양성반응을 보였다. 병원성 미생물 중 B. cereus는 토양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한 농가의 미나리를 제외한 모든 농가의 세척 후 미나리에서 평균 1.2 log CFU/g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세척 후 미나리에서 한 건 정성적으로 검출되었으며, 이외에 다른 병원성 미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미나리의 경우 손질 및 세척 후에도 오염도가 유사하거나 오히려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미나리 생산농가의 수확 후 처리 시설 및 작업자에 의해 미생물의 교차 오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또한, 안전성이 확보된 미나리 생산을 위해서는 GAP와 같은 관리제도의 적용이 필요하다.

영양부추에서 이산화염소와 차아염소산나트륨 처리의 식중독세균 저감화 효과 (Effect of Chlorine Dioxide and Sodium Hypochlorite Treatment on the Reduction of Foodborne Pathogen in Korean Chive)

  • 윤보현;이효섭;안현미;김원일;김황용;한상현;김현주;류재기;김세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4-162
    • /
    • 2017
  • 본 연구는 영양부추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산화염소와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저감효과를 분석하고, 최적의 영양부추와 소독제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영양부추에 E. coli, Salmonella spp., S. aureus, B. cereus을 7.0 log CFU/g 정도로 접종 한 후 이산화염소는 3, 5, 10, 25, 100 ppm 차아염소산나트륨은 100, 150, 200 ppm에서 5, 10, 30, 60분간 처리하였으며, 또한 유기물이 이산화염소와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영양부추와 소독제를 1 : 2, 1 : 4, 1 : 9, 1 : 19 비율로 처리하여 소독제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독제의 농도에 따른 저감효과는 차아염소산나트륨 150 ppm, 이산화염소 50 ppm으로 30분간 처리시 일반세균수는 2.0 log CFU/g 정도 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식중독세균은 차아염소산나트륨 100 ppm, 이산화염소 3 ppm에서 약 2.0 log CFU/g 정도 감소효과를 보였다. 한편, 이산화염소의 경우 50 ppm으로 30분간 영양부추를 처리할 경우 탈색 등 상품성이 저하되어 현장 적용이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영양부추와 소독제 처리 비율에 따른 미생물 저감효과는 일반세균의 경우 1:4에 비하여 1:9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저감 효과를 보였다(p < 0.05). 확립된 기술을 영양부추 생산농장에 적용한 결과 일반세균수의 경우 2.7 log CFU/g, 대장균군의 경우 4.0 log CFU/g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영양부추를 세척이후 차아염소산나트륨 150 ppm에서 1:9 정도의 비율로 30분간 침지하면 미생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최종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부추의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Influence of Vacuum Packaging of Hot-Boned Lamb at Early Postmortem Time on Meat Quality during Postmortem Chilled Storage

  • Zhao, Yingxin;Chen, Li;Bruce, Heather L.;Wang, Zhenyu;Roy, Bimol C.;Li, Xin;Zhang, Dequan;Yang, Wei;Hou, Chengl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816-832
    • /
    • 2022
  • To evaluate the effects of early postmortem vacuum packaging (VP) on meat quality during postmortem chilled storage, hot-boned lamb was vacuum-packaged at 1, 6, 12, 24, and 48 h postmortem and stored around 2℃ until 168 h postmortem, with lamb packaged in plastic wrap as the control (aerobic packaging). Intramuscular pH decline was delayed when lamb was vacuum packaged at 1, 6, and 12 h postmortem (p<0.05). The lamb vacuum-packaged at 1 h postmortem (VP-1h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hear force values and purge losses accompanied by lower free thiol group values than other treatments during postmortem storage and was also higher in extractable calpain-1 activity by 6 h postmortem (p<0.05). Free thiol group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VP at 6 and 12 h postmortem (p<0.05). Packaging lamb under vacuum very early postmortem produced the lowest shear force and purge loss, likely by slowing heat loss and muscle temperature decline, implying that lamb quality is improved by VP when applied very early postmortem. This was at the expense of protein oxidation, which was unrelated to other meat quality measurements, most likely because potential contracture during hot boning confounded its impact.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e interaction between protein oxidation, VP, and hot boning on the acceptability of lamb.

First Report on Isolation of Salmonella Enteritidis from Eggs at Grocery Stores in Korea

  • Kim, Young Jo;Song, Bo Ra;Lim, Jong Su;Heo, Eun Jeong;Park, Hyun Jung;Wee, Sung Hwan;Oh, Soon Min;Moon, Jin S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9-243
    • /
    • 2013
  • Salmonella Enteritidis is responsible for causing foodborne diseases upon consumption of egg products. While cases of S. Enteritidis isolation from eggs have been reported in other countries, no such cases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 in Korea. In this study, we report the first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 Enteritidis from domestically distributed eggs in Korea. Eggs were collected from eight countrywide grocery stores during different seasons between 2011 and 2012. Egg contents and washing solution of egg shells were incubated in buffered peptone water, and the enriched broth was further enriched in tetrathionate broth and Rappaport-Vassiliadis. The secondary enriched broth was streaked on xylose lysine desoxycholate agar. The suspected colonies were confirmed to S. Enteritidis by a biochemical test, serotyping, and PCR test. Genetic relatedness among the isolates was analyzed using Diversilab Salmonella kit. Three strains of S. Enteritidis were isolated from egg contents and egg shells collected from grocery stores of the Eumseong-city in the fall of 2011. All three stains showed resistance to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nalidixic acid, and ampicillin by the disk diffusion method. In addition, the isolates showed more than 99% DNA homology, indicating that they were presumably identical strains. Therefore, there is a requirement to monitor and control against S. Enteritidis from eggs in Korea.

농약 alacholr, butachlor 및 fipronil이 제브라피쉬 배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Development Effect on Zebrafish Embryo by Alacholr, Butachlor and Fipronil)

  • 박수진;정미혜;백민경;이제봉;유아선;홍순성;임양빈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4-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농약에서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발생독성시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사용양이 많은 농약 중 어독성이 보고된 제초제 alachlor 및 butachlor와 어독성이 높고 꿀벌위해성 등이 보고된 살충제 fipronil을 시험물질로 선정하였고, 농도와 노출시기를 달리하여 제브라피쉬 배아에 노출시켜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lachlor에 의한 제브라피쉬 배아의 부화율 및 이상율은 24-48 hpf 군이 높았고, $40{\mu}M$ 이상 농도에 노출된 모든 군의 치어에서 꼬리휨, 부종 및 활동성 저하의 증상이 관찰되었다. Butachlor의 경우 24-48 hpf 군의 부화율과 이상율이 다른 시기에 노출된 군에 비해 높았고, $40{\mu}M$ 이상 농도에서 부화전 치사율이 높았으며, 48 hpf 군 제브라피쉬 배아는 부화 전 모두 치사되었다. 생존한 모든 치어에서 꼬리휨, 부종 등 증상이 관찰되었다. Fipronil에 의한 제브라피쉬 배아의 부화율 및 생존율은 다른 농약에 비해 높았으나 생존한 대부분의 치어에서 꼬리휨 증상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농약 3종을 농도와 시기를 달리하여 제브라피쉬 배아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모든 농약이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농도에 비례하였고, 형태이상 및 이상증상은 농도 뿐 아니라, 노출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