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communities

검색결과 458건 처리시간 0.027초

일부 농촌지역 주민들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실태 (Status of Influenza Vaccination for Residents in some Rural Communities)

  • 임현술;민영선;배근량;김영택;이연경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1호
    • /
    • pp.121-131
    • /
    • 2004
  • 2003년 5윌 26일부터 29일까지 4일간 포항시 기계면 지역 주민 602명과 청송군 지역 주민 965명 등 총 1,567명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실태 및 인지도에 관한 개별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65세 이상이 무료접종 대상이다'라는 질문에 대하여 '그렇다'는 844명(90.6%)이 응답하여 대부분이 올바르게 인지하고 있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매년 맞아야 한다'라는 질문에 대하여 '그렇다'는 845명 (86.0%)이 응답하여 대부분이 올바르게 인지하고 있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맞으면 감기가 예방된다' 라는 질문에 대하여 '아니다'는 224명(20.8%) 응답하여 대부분 잘못 인지하고 있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맞으면 인플루엔자에 걸린다' 라는 질문에 대하여 '아니다'는 713명 (80.2%)이 응답하여 대부분이 올바르게 인지하고 있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100% 예방효과가 있다'라는 질문에 대하여 '그렇다'는 604명(65.%)이 응답하여 반수 이상이 올바르게 인지하고 있었다. '유행 시 모든 사람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라는 질문에 대하며 '아니다'는 148명(15.7%)이 응답하여 대부분 잘못 인지하고 있었다. 연도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은 2000년도 23.5%, 2001년도 28.3%, 2002년도 36.8%이었다. 2002년도의 연령에 따른 접종률은 65세 이상이 63.1%, 50세 이상 64세 이하가 33.2%, 40세 이상 49세 이하가 14.2%, 40세 미만이 12.9%이었다. 2002년 예방접종 장소로는 보건소가 128명(53.6%), 병의원이 89명(37.2%)이었다. 2002년 11월부터 2003년 3월까지 독감 여부 조사에서 예방접종군과 비접종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65세 이상 연령군에서 접종군이 89.6%가 걸리지 않았다고 응답했고 비접종군은 83..2%가 걸리지 않았다고 응답하여 집종군에서 독감 발병률이 낮았다. 전종군에서 예방접종을 실시한 이유는 '보건소 접종 연락 권고'가 223명(34.4%)으로 가장 많았고, 비접종군에서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은 이유는 '건강해서'가 258명(27.3%)으로 가장 많았다. 2003년에 531명(52.8%)이 반드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시행하겠다고 응답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올바른 홍보 활동이 필요하다. 그리고 2002년도 65세 이상의 접종률은 63.1%, 50-64세군의 접종률은 33.2%로 50-64세군의 접종률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들도 65세 이상 사람만큼 인플루엔자에 취약한 집단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조사는 표본추출 조사는 아니었지만 인플루엔자 유행에 있어 취약하다고 할 수 있는 농촌 지역주민들의 인플루엔자에 대한 인지도, 접종실태를 조사하였고, 이를 통하여 인플루엔자 예방정책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PDF

주민참여를 통한 농촌중심지 활성화 방안 연구 - 정읍시 내장상동을 중심으로 - (The Activation Plan of an Agricultural Region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 Focusing on Jeongeupsi Naejangsangdong -)

  • 오형은;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121-131
    • /
    • 2015
  • 과거 농외소득 향상을 목적으로 하던 마을중심의 농촌지역개발사업이 최근 농어촌중심지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농어촌중심지 사업은 지역주민의 소득 이외에 지역주민의 생활여건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대가 변하면서 농촌과 농촌 중심지의 모습도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농촌과 도시가 하나의 지역으로 융합되어 한 지역에서 농촌과 도시의 복합적 성격을 띠는 러번지역이 발생함에 따라, 현대사회에서 농촌의 중심지는 자연스럽게 도시적 인프라를 갖춘 러번지역으로 집중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정읍시 내장상동 또한 농촌의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도시지역의 구조 형태를 가지는 도농통합적 생활권 중심지이다. 기존 정부의 하향식 농촌개발사업으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러번지역에 조직되어 있는 공동체를 활용한 주민참여형 사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적 성격을 가진 러번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수요분석을 통해 생활서비스 증진을 위한 러번지역의 중심지 활성화 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민 워크숍 및 시범활동과 같은 주민역량강화 단계를 기본계획수립 과정에 반영함으로써 주민들의 자생력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는 대상지 현황 및 여건분석, 기본구상 및 발전방향설정, 세부사업계획, 사업추진계획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현장조사와 주민수요를 기반으로 도보환경 개선, 공동체 기반시설 조성, 살기 좋은 생활환경 조성의 세 가지 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러번지역이라는 발전된 형태의 농촌지역에서 주민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고, 이미 구성되어 있는 지역공동체 등의 활동 단체를 사업의 실행주체로 참여시킬 수 있는 주민참여형 농촌중심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늘어나는 러번형태의 지역 특성에 맞는 주민 자생적 농촌중심지 활성화 계획을 통해 지역의 능동적이고 성공적인 성장을 기대한다.

농약의 사용과정과 중독에 관한 사회의학적 고찰 (A Socio-medical Study on the Usage and Poisoning of Pesticides)

  • 차민영;차형훈;염용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9권1호
    • /
    • pp.18-26
    • /
    • 1984
  • With the increase of using pesticides, pesticide poisonings become more frequent. In the previous epidemiological study on pesticide poisoning and the reports of the authorities concerned, it is carefully affirmed that pesticide poisonings are caused by farmers' ignorance and negligence in using the pesticides. But the pesticide poisoning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erms of the person who sprays the pesticides, its spraying process, farming style and farmers'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based on the understanding mentioned above, preventive measures for pesticide poisoning should be established. In this socio-med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examined the public health problems caused by using pesticides and the treatment of pesticide poisoning,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farmers in a area of Kyunggi-Do about the spraying process of pesticides, poisoning experiences and its treat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style of spraying pesticides in the target area is mostly an individual one, not cooperative one. And the subjects of spraying are householders, whose educational backgrounds are beneath notice. More than 2~5 of the subjects are women or old men of 60 years old or so. These are seen to derive from the socio-economic status of Korean agricultural families; their younger generation's moving to greater cities and their petty farming styles. 2) As for the safety measures for the spraying of pesticides, those which have nothing to do with the economic, problems such as efficient spraying and productivity, are well obeyed. On the other hand, some safety measures as the use of safety devices, and spraying time, the degree of dilution of pesticides and the spraying method In windy days, are not obeyed very well, for to keep those makes spraying difficult to do and productivity worse. These facts indicate that the safety measures for using pesticides must be directly concerned with the spraying process, farming style and farmers' socio economic status, rather than the subject's knowledge or carefulness. 3) Even In cases of poisoning they do rarely consult the doctors. This is caused by the problem of their locality and transportation since one should pass away a day even in the busiest season to consult doctors, and by their low socio-economic status. 4) The epidemiological studies on pesticide poisonings should be necessarily led to a socio-medical one which are concerned together with the spraying process of pesticides, farming style, farmer's socio-economic status and discrepancies in public health policies between agricultural communities and urban ones.

  • PDF

보호지역 인근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과 임산물 피해액 추정: 구례군 6개 산촌마을의 사례 (Estimating Economic Loss due to Wildlife Damage to Agriculture and Forestry Production Near Protected Areas: Case of Mountain Villages in Gurye-gun, Korea)

  • 박소희;윤여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618-627
    • /
    • 2019
  • 최근 멧돼지와 같은 야생동물에 의한 작물 및 시설물 피해가 매우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는 산악형 국립공원 인근 산촌주민들의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 및 임산물 피해액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6년 4월과 6월에 지리산 국립공원과 인접한 구례군 토지면에 위치하는 6개 산촌마을을 조사하였고, 84가구로부터 얻은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2015년 기준, 84가구의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및 임산물 피해 추정액은 총 1억 3,863만원이었고, 가구당 연평균 165만원의 피해를 입었다. 이 중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액이 가장 큰 것은 밤, 고사리, 돌배, 복숭아, 감자 등의 순이었으나, 단위면적당 피해액이 가장 큰 것은 고구마, 복숭아, 옥수수, 감자 등의 농작물이었다. 구례군 전체 농작물 및 임산물 생산지의 잠재적인 야생동물 피해액은 연간 약 40억 원으로 추정되었고, 구례군의 야생동물 피해 보상을 위한 연평균 예산액은 피해액의 0.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잠재적인 야생동물 피해에 대비하여 피해보상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재정자립도와 야생동물 피해의 책임을 고려하여 국가가 재정을 지원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산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안정적인 작물 생산을 위해서는 형평성을 고려한 보상정책을 개발하고, 야생동물 피해예방시설의 효과성과 예방 지원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

경상북도 귀농·귀촌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Urban-to-rural Migration Policy in Gyeongbuk Province)

  • 이철우;박순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59-675
    • /
    • 2015
  • 본 연구는 경상북도의 귀농 귀촌정책의 실태와 특성 그리고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경상북도는 전국 최초로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중앙정부 지원 사업 외에 독자적인 사업의 영역을 확대한 결과, 지원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이다. 그러나 귀농 귀촌 지원 정책의 문제점으로는 중앙정부 및 산하 기초지자체와의 역할분담과 관련 부서간의 연계성 부족, 지역특성 및 귀농 귀촌인(세대)의 속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고, 은퇴자 계층을 중심으로 한 귀촌인의 정책적 수요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점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기존의 정책 주체 외에 귀농 귀촌인를 포함하는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고, 이것이 지역에 제대로 뿌리내릴 수 있는 사업을 제도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경제적 물리적 지원중심의 접근방식에서 탈피하여, 적응주기별 차별화된 프로그램과 귀촌인을 위한 '비농업 농촌형 일자리' 및 농촌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전문역량강화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 PDF

RCP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농업용 저수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Method of Agricultural reservoir Using RCP Scenario)

  • 추연문;원창희;김성률;권창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8-34
    • /
    • 2020
  • 저수지의 정의는 물을 저장하여 홍수 시와 가뭄 시 물을 조절하는 인공적인 시설이며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농경 사회로 농사를 짓기 위하여 전국에 저수지를 만들어 관리하여왔다. 도시화와 상수도의 보급으로 저수지의 중요성은 점차 떨어지게 되었으나 최근 물 부족 현상과 이에 따른 수자원 가격의 상승 등으로 물의 중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에 대한 이용한계점의 분석을 통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강우자료 수집을 통한 홍수량 산정과 RCP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2100년까지의 기후전망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농업용 저수지의 일종인 오동댐의 이용 한계점과 여유고 부족현상을 판단해 여러 대책법을 제시하였다. 확률강우량의 증가가 가장 큰 RCP 8.5시나리오의 증가량을 현재의 확률강우량에 가산하여 계산한 결과 2028년 오동댐의 여유고가 한계시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여수로의 높이 하강, 가동보 설치 등의 대책을 통해 유효 저수량의 확보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본 연구를 활용하여 농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저수지에 대한 효과적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eview and Current Status of Opisthorchis viverrini Infection at the Community Level in Thailand

  • Kaewpitoon, Natthawut;Kootanavanichpong, Nusorn;Kompor, Ponthip;Chavenkun, Wasugree;Kujapun, Jirawoot;Norkaew, Jun;Ponphimai, Sukanya;Matrakool, Likit;Tongtawee, Taweesak;Panpimanmas, Sukij;Rujirakul, Ratana;Padchasuwan, Natnapa;Pholsripradit, Poowadol;Eksanti, Thawatchai;Phatisena, Tanida;Loyd, Ryan A;Kaewpitoon, Soraya J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6825-6830
    • /
    • 2015
  • Opisthorchis viverrini is remains a public health problem in Thailand, particularly in the northeast and north regions which have the highest incidences of chonalgiocarcinoma (CCA). O. viverrini causes the disease opithorchiasis, and its has been classified as a group 1 biological carcinogen. Humans, dogs, and cats become infected with O. viverrini by ingesting raw or undercooked fish containing infective metacercariae. The first human cases of O. viverrini infection were reported in Thailand 100 years ago, and it's still a problem at the community level. Based on data for the year 2009, more than 6 million people were infected with O. viverrini. Associated medical care and loss of wages in Thailand costs about $120 million annually. This review highlights the current status of O. viverrini infection in communities of Thailand through active surveillance for the five years period from 2010 and 2015. A total of 17 community-based surveys were conducted, most in the northeast region. Some 7 surveys demonstrated a high prevalence over 20%, and the highest was 45.7%. Most commonly infection was found in age group of 35 years and older, males, and agricultural workers. Although, the national prevalence may be decreasing but the results show that the O. viverrini infection is still high in communities of the northeast region. Therefore, the focus in populations living in northeast Thailand should be screening of infection and changing their eating behavior.

민통선 둠벙의 수서곤충과 식물 군집에 대한 수환경 특성의 영향 (The influence of water characteristics on the aquatic insect and plant assemblage in small irrigation ponds in Civilian Control Zone, Korea)

  • 김재현;정현용;김승호;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1-34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둠벙의 수서곤충군집과 식물 군집에 영향을 주는 수환경 특성을 확인하고자 민통선에 존재하는 5개 유형 16개 둠벙을 선택하여 물의 화학적 특성과 둠벙과 주변 환경과의 연결 특성을 조사하였다. 둠벙의 유형으로는 괸물, 괸물-물흐름, 샘통, 괸물-샘통 그리고 물흐름-샘통형을 사용하였다. 연중 이온의 농도 변화는 괸물형 둠벙에서 가장 작았고 샘통형 둠벙에서 가장 컸다. 음이온 농도가 가장 높은 곳은 괸물형 둠벙이었으며, 양이온 농도가 가장 높은 곳은 물흐름-샘통형 둠벙이었다. 연구 장소에서 발견된 식물은 228종이었으며, 이중 습지 식물이 63종이었다. 수서곤충은 95종이 발견되었다. 확인된 희귀식물은 6종이었고, 희귀수서곤충은 4종이었다. 괸물-샘통형 둠벙에서 종풍부도가 가장 높았다. 둠벙의 크기와 종풍부도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다변량 통계를 통해 분석한 결과 둠벙 유형별로 생물군집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둠벙에서 수환경 변화와 주변 환경과 둠벙의 연결성이 생물군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둠벙은 담수생태계로서 이질성을 높여 농업지역의 생물다양성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금오산도립공원의 금오산성 식생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Vegeta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 Factors of the Geumosanseong-inside in Geumosan Provincial Park, in Korea)

  • 김현숙;박관수;이상명;이중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9-67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forest vegetation distributed in Geumosanseong-inside in Geumosan Provincial Park from 2017.10 to 2019.6. The vegetation structure was classified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TWINSPA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munity structure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was analyzed using DCCA ordination analydsis. The vegetation structures are Quercus mongolica, Fraxinus mandshurica, Q. acutissima, Larix leptolepis, Prunus padus and Morus alba community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16 communities under TWINSPAN. The importance value of Q. mongolica(64.5) was the highest, and followed by F. mandshurica, L. leptolepis, Acer pseudosieboldianum, M. alba, P. padus, Q. acutissima, Sorbus alnifolia, P. serrulata var. pubescens, F. sieboldian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Castanea crenata which is consistent with species having the dominance status by analysi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s the results of DBH analysis for taxon with high importance values, Q. mongolica and M. alba represented normal distribution, and thus, the dominance status of these species is likely to continue. L. leptolepis will maintain the dominance status due to high density of large individuals as compared with species above medium size. However, it will decrease because of high mortality after increase in age class. F. mandshurica and P. padus continue to show dominance status due to high density of young individuals as compared with species above medium size. Q. acutissima have high density of individuals above intermediate size and low density of young individuals, and thus, will maintain the dominance status. A. pseudosieboldianum, F. sieboldiana and R.schlippenbachii which are arborescent will present continuously high dominance status because of high density of young individuals. Soil analysis shows that whereas pH, Ca2+ and Mg2+ in the research area were lower than the average values of overall forest soil and O.M, T-N, C.E.C and P2O5 were higher. We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ere due to agricultures until 50 years ago in Geumosanseong-inside. As a result of DCCA ordination analysis using eleven environmental factors and communities classified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analysis showed that Q. mongolica was distributed in the environment with higher elevation and O.M and steep slope, and lower P2O5, Mg2+ and Ca2+. In contrast to F. mandshurica, Q. acutissima was distributed in higher K+ and lower pH. L. leptolepsis was distributed in various environment.

농촌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지원과 생활만족도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Living Alone elderly in Rural Area)

  • 김영순;윤희정;권진희;문효정;이성국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1호
    • /
    • pp.65-78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ocial support to living alone elderly in some rural communities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ace-to-face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were performed with 315 old people(male 43 and female 272) aged over 65 living alone in rural communities covered by 14 community health posts within Gyeongsangbuk-do Province randomly selected. The followings are summaries of findings; The average score of support from their children was $4.29{\pm}2.73$ out of 8. Variable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ere religion, level of living, type of medical insurance, frequency of meeting with children, time taken from houses of children by usual means of transporta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t was found that the score of support from children was high for the elderly who had a religion, a good level of living, benefit from medical insurance, a high frequency of meeting with children, or a good subjective health status, or who resided close to their children's houses. The level of the support from friends and relativ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which the average score was $4.13{\pm}2.61$ out of 8. The average score of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6.83{\pm}4.24$(male $7.60{\pm}4.09$ and female $6.71{\pm}4.26$) out of 17. Male elderly showed the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an female elderly. Variables tha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ere religion, level of living, medical insurance, hobby, children, diseas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DL. That i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life was found to be higher for the elderly who had a religion, a good level of living, benefit from medical insurance, a hobby, children, no diseases, or a good ADL, or who thought that they are healthy. The regression analysis with support from children a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the level of support from children was higher for the elderly who had a good level of living, frequency of meeting with children, or a good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level of support from friends or relatives was higher for old people who had a good level of living. Th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the factors which related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were sex, religion, level of living, hobby, ADL,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at is, it was found that for male elderly who had a religion, a good level of living or a hobby, or who thought that they were healthy,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