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R and D

검색결과 1,355건 처리시간 0.031초

농촌보건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Policy Measures for Improving Health Care Services in Rural Areas)

  • 문옥륜;이규식;박재용;고대하;이기효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6권2호
    • /
    • pp.97-119
    • /
    • 1991
  •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보건의료수준이 의료자원의 양적, 질적 격차와 의료이용과 의료접근도 및 건강수준의 면 등에서 도시지역보다 낙후되어 있다는 사실을 각종 통계지표를 이용하여 논증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격차를 빚은 농촌보건사업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농촌보건사업의 조직, 인력, 시설 및 장비, 재원 및 그리고 관리라는 5가지 부문으로 나누어서 모색해 보았는데 구체적으로는 첫째, 농촌보건 인력의 자질향상과 적정배치방안의 수립, 둘째, 농촌보건인력의 생산성 증대, 셋째, 보건소 및 지소의 운영개선, 넷째, 취약지 민간병원의 운영 개선, 다섯째, 사회, 경제여건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보건사업의 개발, 여섯째, 통합적인 보건의료인력관리 전담기관의 설립 등의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한국산 식용버섯의 지방질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pids Composition of Korean Edible Mushrooms)

  • 홍재식;김영회;김명곤;김태영;김금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37-442
    • /
    • 1990
  •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배버섯으로 일반느타리(Pleurotus ostreatus)와 고온성느타리(Pleurotus sajor-caju) 및 야생식용버섯으로 싸리버섯(Ramaria botrytis)과 젖버섯(Lactarius volemus)의 지질성분조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각 버섯의 지방함량은 $0.32{\sim}0.39%$이었으며, 그 조성은 인지질$(19.4{\sim}47.4%)$, 중성지질$(32.1{\sim}51.9%)$, 당지질$(14.8{\sim}28.7%)$ 순으로 많았으나 고온성 느타리는 다른 버섯에 비하여 중성지질(51.9%)의 함량이 높았다. 중성지질에서는 triglyceride$(21.2{\sim}38.2%)$, free sterol$(21.0{\sim}21.9%)$, sterol ester$(10.3{\sim}18.6%)$ 순으로 많았으나 고온성 느타리는 free fatty acid(34.1%)의 함량이 다른 버섯에 비하여 특이하게 높았다. 당지질은 steryl glycoside$(15.6{\sim}29.4%)$, esterified steryl glycoside$(13.4{\sim}23.9%)$, monogalactosyl diglyceride$(15.6{\sim}24.6%)$ 순으로 많았으며, 인지질의 조성은 phosphatidyl choline$(36.7{\sim}49.5%)$, phosphatidyl ethanolamine$(20.9{\sim}29.7%)$, phosphatidyl inositol$(18.4{\sim}26.1%)$ 순으로 많았다. 각 구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은 4종의 버섯 공히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가 주요 지방산이었으나 싸리버섯은 중성지질에서 ole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 PDF

천년초의 성분특성과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stems and fruit)

  • 신동선;한귀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9-96
    • /
    • 2016
  • 천년초 줄기와 열매의 성분특성을 알아보고자 일반성분, 무기성분, 아미노산 함량 및 유리당 함량과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천년초 줄기와 열매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줄기의 경우 조회분이 10.85%, 조단백질이 8.3%, 조지방이 1.91%이었으며 열매는 조회분이 7.47%, 단백질이 2.62%와 조지방이 1.82%로 나타났다. 무기성분은 K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줄기보다 열매가 더 높게 나타난 반면 Ca, Mg, Na 및 P의 함량은 열매 보다 줄기가 더 높게 나타났다. 천년초의 주된 아미노산은 줄기의 경우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이었고 열매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주된 성분은 sucrose, fructose, glucose로 확인되었다.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추출 용매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났으며 75%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75% 메탄올, 물 순으로 나타났지만 그 함량의 차이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p<0.001). 항산화 활성으로 DPPH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 활성능력도 증가하는 경향으로 75%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소거 활성능력을 보였다. 용매별 $RC_{50}$ 값은 $956.30{\sim}1,267.60{\mu}g/mL$로 우수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BHA는 각각 $10.50{\mu}g/mL$, $35.05{\mu}g/mL$의 소거능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천년초의 줄기와 열매의 영양성분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페놀류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높았으며 항산화 효과가 있어 가공제품 개발이 식품소재로서 유익한 이용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골프장의 지렁이 종 다양성 및 계절별 군집 구조 (Earthworm Composition and Seasonal Population Structure in Different Korean Golf Courses)

  • 신종창;홍용;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55-164
    • /
    • 2016
  • 지렁이는 농생태계의 주요 지표생물의 하나이다. 지렁이는 토양생태계 내에서 유용한 생물이지만 골프장에서는 잔디 위로 배출하는 분변토로 인하여 잔디의 균일성과 경기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골프장에서 발생하는 지렁이의 종 다양성이나 계절적 밀도변화에 대한 연구는 수행 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골프장 잔디에서 지렁이의 종조성과 계절적 밀도변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5개 골프장에서 봄과 가을철에 직접 조사법과 티사포닌 관주처리법으로 지렁이 종류를 조사한 결과 3과 6종(Aporrectodea caliginosa, Bimastos parvus, Drawida japonica, Amyanthas carnosus, Am. heteropodus, Am. hupeiensis)이 채집되었다. 지렁이 종조성과 밀도는 골프장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낚시지렁이과(Lumbricidae)의 장미줄지렁이(Ap. caliginosa)가 안성과 동래베네스트골프장의 우점종이었으며 왕지렁이과(Megascolecidae)의 젖꼭지지렁이(Am. carnosus)가 안양과 글렌로스골프장의 우점종이었다. 장미줄지렁이는 7월에는 미성체만 채집되었고, 젖꼭지지렁이는 8월에 미성체와 성체가 채집되었다. 지렁이 밀도의 계절적 변화는 종별로 차이를 보여 똥지렁이(Am. hupeiensis)는 8월에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장미줄지렁이는 4월에 가장 밀도가 높았으나 소수 개체가 채집 된 종들은 시기별 밀도의 우점 경향성이 없었다.

오차드그라스 신품종 "코디원"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New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L.) Variety "Kordione")

  • 최기준;성병렬;서성;김기용;이종경;박형수;문정섭;지희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3-56
    • /
    • 2007
  • 신품종 "코디원"은 오차드그라스 계통들 중 생육특성 및 내재해성이 우수한 5계통을 집단 교배하여 생산된 합성종자를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수원에서 생산력 검정시험이 수행되었고,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동안 지역적응성 시험으로 수원, 남원, 대관령 및 제주지역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이 조사되었다. 코디원의 월동전 및 봄의 초형은 중간형이며, 엽은 농녹색이고, 출수기에 지엽의 길이는 짧으며, 상부절간장의 길이도 짧고 풍엽성이 양호하였다. 출수기는 5월 10일로 표준품종 Ambassador가 5월 8일로 2일이 늦었으며, 출수기에 초장은 71cm로서 Ambassador와 비슷하였다. 내한성과 도복은 코디원이 Ambassador에 비하여 강하였으며, 엽부병 및 녹병은 코디원이 Ambassador와 같이 강한 편이었다. 코디원의 ha당 건물수량은 12,081 kg으로 Ambassador 보다 11% 많았고, 모든 지역에서 증수되었다. 코디원의 사료 품질특성은 Ambassador와 비슷하였다.

탄소원의 종류가 반추위 혐기 곰팡이 Neocallimastix sp. NLRI-3의 섬유소 분해효소 활력에 미치는 영향 비교 (Comparison of the Influence of Carbon Substrates on the Fibrolytic Activities of Neocallimastix sp. NLRI-3)

  • 손호진;송재용;최낙진;하종규;장종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415-424
    • /
    • 2006
  • 한국 재래산양에서 분리된 Neocallimastix sp NLRI-3을 이용하여 기질의 종류에 따른 미생물의 성장 특성 및 효소단백질의 발현양상을 비교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혐기배지에 glucose, starch, 볏짚, filter paper, CMC, sigmacell, xylan 및 xylose를 0.2% 수준으로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결과 가스 발생량은 96시간대에서 filter paper 배지에서 가장 높았고 CMC배지에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P<0.05). 곰팡이 포자 발생량은 72시간대에서 살펴보면 처리구들 중 볏짚 배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5). 곰팡이가 분비하는 enzyme activity는 보통 72시간대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함을 보이는데 CMCase의 경우에 filter paper disc, sigmacell, xylose에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xylanase 역가는 starch, rice straw, sigmacell에서 높게 나타났다. Zymogram을 이용하여 각 효소단백질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효소단백질의 발현양상은 전 처리구에 걸쳐 유사하였으나 발현정도는 기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zymogram 결과에 의해 6개의 CMCase와 4개의 xylanase가 검출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혐기성 곰팡이의 효소단백질은 배양액에 존재하는 기질의 종류에 의해 발현정도가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혐기곰팡이 유래 효소제의 개발에 필요한 배양조건의 결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청주국(淸酒麴)의 균사침투 상태(狀態)와 국효소(麴酵素)의 주류중(酒謬中) 동태(動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Degrees of Kojic Mycelial Penetration and Some Characteristics of Kojic Enzymes in Moromi)

  • 오경철;류태종;김태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5-184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균사침투가 깊은 koji의 제조조건(製造條件)과 청주료중의 제효소(諸酵素)의 동태(動態)를 조사(調査)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원료현미(原料玄米)를 30% 도감(搗減)한 결과(結果), 수분(水分)은 9%, 조단백(粗蛋白)은 26%, 조지방(粗脂肪)은 96% 감소(減少)되었으며 전분가(澱粉價)는 9% 상승(上昇)되었다. 2. 균사침투가 깊은 koji 제조(製造)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제국시간(製麴時間) 4시간(時間), ${\alpha}$미수분(米水分) 40%, 제국(製麴) 전후반(前後半) 상대습도(相對濕度)가 각각(各各) 98% 및 80%, 접종국균(接種麴菌)의 포자수(胞子數)는 $1.0{\times}10^4\;spores/g{\cdot}{\alpha}$미(米)였다. 3. 청주발효중(淸酒醱酵中) ${\alpha}-Amylase$$23{\sim}27%$가 실활(失活)되었으며 $35{\sim}70%$가 흡착(吸着)되었다. 4. 청주발효중(淸酒醱酵中) Glucoamylase의 14%가 실활(失活)되었으며 $74{\sim}92%$가 흡착(吸着)되었다. 5. 청주발효중(淸酒醱酵中) Acid pretense (pH 3.0)의 $13{\sim}14%$가 실활(失活)되 었으며 $70{\sim}73%$가 흡착(吸着)되 었다. 6. 균사침투가 깊은 koji와 얕은 koji 효소(酵素)의 청주발효중(淸酒醱酵中) 뚜렷한 효소적(酵素的) 차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효소적 Acidolysis를 이용한 Stearic Acid 함유 팜중부유의 개질 (Modification of Palm Mid Fraction with Stearic Acid by Enzymatic Acidolysis Reaction)

  • 전미선;이윤정;강지현;이정희;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79-485
    • /
    • 2009
  • PMF와 stearic acid를 기질로 하고, TAG의 sn-1,3 위치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lipozyme TLIM을 이용해 항온교반수조($70^{\circ}C$, 180rpm)에서 개질된 PMF(팜중부유)를 얻었다. 효소량을 20 wt%를 사용하였을 경우, 가장 높은 stearic acid 결합율을 보인 PMF와 stearic acid의 몰 비율은 1:2였고, 1:1.5와 비교적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1:0.5는 가장 낮은 결합율을 보였다. PMF와 stearic acid의 몰 비율 1:2일 때, 효소량을 20 wt% 사용하여 반응한 경우 stearic acid의 함량은 31.6%까지 증가한 반면, 효소량을 10wt% 사용하였을 때는 13.4%까지 증가하여 효소량을 20wt% 사용했을 때보다 2.4배 낮은 함량을 보였다. RP-HPLC 분석결과 반응 기질로 사용된 PMF는 대부분이 POP로 93.27 area%를 차지하였고, 효소 첨가량 20 wt%, PMF와 stearic acid의 몰 비율 1:2로 36 hr 반응한 시료의 TAG 조성은 7 hr 반응했을 때에 비하여 POP가 크게 감소(7 hr: 33.4 area%, 36 hr: 6.21 area%)하였다. 하지만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던 POS(PSO)의 경우 7 hr 반응했을 때보다 2.61% 감소하였다. 반면 7 hr 반응했을 때 보다 PPS는 약 1.9배, PSS는 약 6.7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로써 lipozyme TLIM으로 반응할 경우 반응시간이 지날수록 acyl migration 현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효소 첨가량 20 wt%, PMF와 stearic acid의 몰 비율 1:2로 36 hr 반응 후 시료의 TAG 중 sn-2 position에는 oleic acid 함량이 5.4%로 낮았고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의 함량은 각각 50.1%, 43.7%로 나타났다. 이로써 개질된 PMF에서 효소의 sn-1,3 위치 특이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 XXII. 순무(Brassica campestris ssp rapa) 뿌리로부터 인돌 화합물의 분리 및 hACAT 저해 활성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XII. Isolation of Indoles from the Roots of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and their hACAT Inhibitory Activity)

  • 방면호;이대영;오영준;한민우;양혜정;정해곤;정태숙;이경태;최명숙;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65-69
    • /
    • 2008
  • 순무 뿌리로부터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를 여과, 감압 농축하여 MeOH추출물을 얻었다. 이를 EtOAc 분획, n-BuOH분획, $H_2O$분획으로 나누었으며, EtOAc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3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각각에 대하여 $^1H-NMR$, $^{13}C-NMR$, DEPT 스펙트럼 및 Mass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caulilexin C (1), indoleacetonitrile (2) 및 arvelexin (3)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화합물 3는 순무에서는 이번에 처음 분리, 보고되었다. 또한 화합물 1, 2, 및 3은 100 ${\mu}g/ml$의 농도에서 hACATl의 활성을 각각 $54.6{\pm}6.0%$, $69.2{\pm}4.7%$$68.6{\pm}3.7%$ 억제하였고, hACAT2의 활성을 각각 $4.8{\pm}13.4%$, $45.6{\pm}4.8%$$39.5{\pm}4.3%$ 억제하였다.

L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살충제 Broflanilide 및 대사물질 동시시험법 개발 (Development of a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ation of Insecticide Broflanilide and Its Metabolit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LC-MS/MS)

  • 박지수;도정아;이한솔;박신민;조성민;김지영;신혜선;장동은;정용현;이강봉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4-134
    • /
    • 2019
  • 본 연구는 농산물 중 2019년 기준신설 예정농약 Broflanilide에 대한 공정시험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Broflanilide는 meta-diamide계 살충제로 중추신경계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mma-aminobutyric acid (GABA) 수용체에 대하여 비경쟁적으로 작용하여 해충을 마비시키는 강한 살충작용을 하고 담배거세미나방 방제에 효과적이다. 잔류물의 정의는 모화합물 broflanilide로 규정하여 관리할 예정으로 향후 대사산물의 안전관리를 고려하여 broflanilide 및 대사산물의 동시시험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아세토니트릴으로 추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 및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였고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취하여 PSA와 $C_{18}$ 흡착제를 사용해 간섭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한 후 LC-MS/MS로 분석하는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broflanilide 시험법의 직선성은 결정계수($r^2$)가 0.99 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04, 0.01 mg/kg으로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다. 대표 농산물 5품목(현미, 감자, 대두, 감귤, 고추)에 대하여 시험법 검증결과 평균 회수율(5반복)은 broflanilide는 90.7~113.7%, DM-8007은 88.2~105.0%, S(PFP-OH)-8007은 79.8~97.8%이었으며 RSD는 8.8% 이하로 정확성 및 반복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외부실험기관인 서울지방식약청과의 실험실간 평균 회수율은 broflanilide의 경우 86.3~109.1%, DM-8007은 87.8~109.7%, S(PFP-OH)-8007은 78.8~102.1%으로 상대표준편차(RSD)는 모두 20.8%이하로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가이드라인(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GL 40-1993, 2003)의 잔류농약 분석 기준 및 식품의 약품안전평가원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에 적합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시험법은 낮은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우수한 직선성, 회수율 실험을 통한 정확성과 정밀성, 재현성 등이 입증되어 농산물 중 broflanilide의 잔류검사를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