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R and D

검색결과 1,356건 처리시간 0.036초

G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잔류농약 5종 동시시험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for 5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GC-MS/MS)

  • 박은지;김남영;심재한;이정미;정용현;오재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8-238
    • /
    • 2021
  • PLS 제도가 모든 농산물을 대상으로 확대됨에 따라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지 않거나 허가되지 않은 농약에 대해서 일률적으로 0.01 mg/kg의 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하기 때문에 농약 시험법의 정량한계 수준은 0.01 mg/kg 이하를 만족시켜야 한다. 현재 식품공전에 존재하는 7.1.4.12 디메티핀 시험법은 정량한계가 0.05 mg/kg이며 7.1.3.2 디클로르보스 등 19종 시험법은 정량한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두 시험법 모두 전처리 과정 중 벤젠을 사용하여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할 뿐 아니라 충전칼럼을 사용하여 노후화되고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전처리 과정에 벤젠을 사용하는 성분 중 대체 시험법이 존재하지 않는 5종을 선별하여 다른 용매로 대체하고 QuEChERS법을 적용하여 0.01 mg/kg의 정량한계를 만족하는 동시시험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대상성분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QuEChERS법을 이용한 최적 추출·정제법을 선정하여 LC-MS/MS를 이용한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수용성 유기용매인 1% 아세트산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추출용매로 사용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 및 아세트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추출법을 최적화하고 d-SPE 흡착제를 통해 추출물 중 간섭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최적 정제조건을 확립하였다. 결정계수(R2)는 0.99 이상으로 높은 직선성을 보여주었고,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03, 0.01 mg/kg으로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다. 대표 농산물 5종(현미, 감자, 대두, 감귤, 고추)에 대하여 정량한계, 정량한계 10배 및 정량한계 50배 수준으로 처리한 다음 회수율 실험을 한 결과 평균 회수율이 디메티핀은 90.8-114.1%, 디클로르보스는 96.0-113.5%, 오메토에이트는 79.8-119.3%, 클로르펜빈포스는 97.3-107.6% 그리고 아진포스메틸은 74.2-117.7%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모두 14.6% 이하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실간 검증 결과 두 실험실간 회수율 평균값이 디메티핀은 94.5-108.7%, 디클로르보스는 92.6-112.8%, 오메토에이트는 74.7-116.1%, 클로르펜빈포스는 98.7-110.7% 그리고 아진포스메틸은 80.9-117.7%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모두 18.4% 이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가이드라인(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GL40)의 잔류농약 분석 기준 및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에 적합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험법은 농산물 중 잔류할 수 있는 디메티핀 등 5종의 안전관리를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Nutritive Evaluation of Some Browse Tree Legume Foliages Native to Semi-arid Areas in Western Tanzania

  • Rubanza, C.D.K.;Shem, M.N.;Otsyina, R.;Ichinohe, T.;Fujihar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0호
    • /
    • pp.1429-1437
    • /
    • 2003
  • Browse tree legume leaves from Acacia spp (A. nilotica, A. tortilis, A. polyacantha), Dichrostachys sp, Flagea villosa, Piliostigma thonningii, Harrisonia sp were evaluated for nutritive potential (chemical compositions and degradability characteristics) compared to Gliricidia sepium. Effect of tannins anti-nutritive activity on digestibility was also assessed by polyethylene glycol (PEG) tannin bioassay. Crude protein (CP), ash,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acid detergent lignin (ADL) differed (p<0.05) between legume foliages. Mean CP, ash, NDF, ADF and ADL for fodder species tested were 158, 92, 385, 145, and 100 g/kg DM, respectively. CP ranged from 115 (P. thonningii) to 205 g/kg DM (G. sepium). Acacia spp had moderate CP values (g/kg DM) of 144 (A. nilotica), to high CP in A. tortilis (188) and A. polyacantha (194) comparable to G. sepium. The forages had relatively lower fiber compositions. A. nilotica had (p<0.05) lowest NDF, ADF and ADL (182, 68 and 44) compared to P. thonningii (619, 196 and 130) g/kg DM, respectively. Except G. sepium, all fodder species had detectable high phenolic and tannin contents greater than 5% DM, an upper beneficial level in animal feeding and nutrition. Mean total phenolics (TP), total tannins (TT) and condensed tannins (CT) (or proanthocyanidins) for fodder species tested were 139, 113 and 43 mg/g DM, respectively. F. villosa had (p<0.05) lowest TP and TT of 65 and 56 mg/g DM, respectively, compared to A. nilotica (237 and 236 mg/g DM, respectively). The CT varied (p<0.05) from 6 (F. villosa) to 74 mg/g DM (Dichrostachys sp). In vitro organic matter (OM) degradability (OMD) differed (p<0.05) between fodder species. G. sepium had (p<0.05) high degradability potential compared to A. polyacantha that had (p<0.05) the lowest OMD values. Forage degradability ranked: G. sepium>A. nilotica>P. thonningi>F. villosa>Dichrostachys sp>A. tortilis>A. polyacantha. Addition of PEG resulted to (p<0.05) improvement in in vitro OM digestibility (IVD). Increase in IVD was mainly due to binding action of PEG on tannins; and represents potential nutritive values previously depressed by tannins anti-nutritive activity. Browse fodder has potential as sources of ruminal nitrogen especially for ruminants consuming low quality roughages due to high protein, lower fiber compositions and high potential digestibility. However, utilization of browse supplements in ruminants is hampered by high phenolic and tannin contents. Deactivation of tannin anti-nutritive activity, possibly by feeding tanniniferous browse with other readily available nitrogen sources to dilute tannin anti-nutritive activity could improve utilization of browse fodder supplem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ssess browse fodder palatability and intake, and their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in ruminants.

신선 농산물의 수확 후 포장 및 저장 기술과 관련된 특허 동향 분석 (Patent Trend Analysis for Postharvest Packaging and Storage Technology of Fresh Fruits, Vegetables and Mushrooms)

  • 최지원;김수연;이정수;이지현;임수연;양해조;엄향랸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3-201
    • /
    • 2021
  • 신선 과일 및 채소의 수확 후 관리 기술은 2000년대까지 출원의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2010년대에 들어서 출원인 및 출원 건수가 증가하는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어, 시대의 요구가 높은 기술임을 알 수 있다. 신선과일 및 채소의 포장 기술에 대한 주요 특허출원은 일본기업이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였으며 신선 과일의 저장기술은 미국 등 다국적 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주로 산업체와 국가 연구기관에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연구개발 및 특허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선 과일, 채소 및 버섯의 수확 후 관리 기술에 대한 특허 확보 전략으로는 품목 종류별 특성에 기인하여 수확 후 전처리, 수송, 저장, 포장에 최적화된 기술을 개발하여 특허를 확보하거나, 상업화가 가능하고 효율 특성이 현저한 기술에 대하여 개발 및 특허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마 저온부패 원인세균의 분리 및 부패균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Yam-Putrefactive Psychrotrophic Bacteria from Rotted Yam)

  • 류희영;김영숙;박상조;이봉호;권순태;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9-114
    • /
    • 2006
  • 본 연구는 부패 생마로부터 저온성 부패균을 분리, 동정하고 분리균의 생육특성과 다양한 효소의 부패관련성을 조사하여, 생마 저온 장기저장 및 생마 가공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저온 장기저장중의 부패생마로부터 서로 다른 13종의 저온세균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다양한 온도에서 생마 절편을 이용한 부패력 측정 결과 분리균주 중 YAM-10및 YAM-12균주가 저온부패에 직접적으로 관련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Pseudomonas cepacia 및 Pseudomonas rhodesiae 동정되었다. 이들 균주는 20$^{\circ}C$에서도 우수한 amylase, CMCase, xylan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 특히 amylase 활성은 생마 부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YAM-10 및 YAM-12균주는 양파절편을 부패시키지는 못하였으며, 4$\sim$12$^{\circ}C$의 온도에서도 생육가능하며, pH 5 이하 및 pH 10 이상에서는 생육이 급격히 억제되었다. 현재 생마의 저온 장기저장 및 부패억제를 위한 저온성 Pseudomonas sp.의 제어와 생마부패에 관련되는 효소들의 특성과 저해에 대한 연구 및 저장성, 관능성이 강화된 산장, 염장 등을 통한 생마 가공식품 개발이 진행 중이다.

농산부산물(農産副産物)을 이용(利用)한 식용(食用)버섯 재배(栽培) (Mushroom Production Technology with Crop Residues)

  • 차동열;박정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
    • /
    • pp.47-55
    • /
    • 1984
  • 양송이 재배(栽培)에 있에서 볏짚을 주재료(主材料)로 사용(使用)할때의 퇴비재료(堆肥材料)의 배합(配合), 야외퇴적(野外堆積) 및 후발효(後醱酵)에 관(關)한 시험(試驗)과 볏짚을 이용(利用)한 느타리버섯 재배(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변 다음과 같다. 가) 합성퇴비배지(合成堆肥培地)의 탄소원(炭素源)으로서 볏짚은 보리짚과 밀짚보다 발효(醱酵)가 신속(迅速)하고 퇴비(堆肥)의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이 높으며, 배지(培地)의 질(質)이 양호(良好)하여 양송이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이 현저(顯著)히 높았다. 나) 보리짚퇴비(堆肥)는 볏짚퇴비(堆肥)보다 생산성(生産性)이 낮으나 보리짚과 볏짚을 50:50으로 혼합(混合)하면 볏짚과 대등(對等)한 수량(收量)을 얻을 수 있었다. 다) 퇴비배지(堆肥培地)의 전유기태질소(全有機態窒素)와 자실체수량간(子實體收量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으나 암모니아태질소(態窒素)와는 균사생장(菌絲生長) 및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에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라) 볏짚을 주재료(主材料)로 사용(使用)할때 무기태질소원(無機態窒素源)으로서 요소(尿素)가 가장 좋았고 유안(硫安)과 석회질소(石灰窒素)는 부적당(不適當)하였다. 요소(尿素)는 3회(回) 분시(分施)할때 손실(損失)이 감소(減少)되었고, 퇴비(堆肥)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이 증가(增加)하였다. 마) 유기태영양원중(有機態營養源中) 들깨묵, 참깨묵, 밀기울, 계분등(鷄糞等)의 첨가(添加)는 퇴비(堆肥)의 발효(醱酵)를 양호(良好)하게 하고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을 증가(增加)시켰다. 바) 양송이 볏짚퇴비(堆肥)를 제조(製造)할때 터널기계화(機械化)하므로 수량(收量)이 13 % 증수(增收)되었고,생산비(生産費)가 34 % 절감(節減)되었다. 사) 볏짚과 밀짚을 이용(利用)하여 느타리버섯 재배(栽培)가 가능(可能)하고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을 뱃짚구(區)에서 높았다. 아) 느타리버섯 볏짚배지(培地)를 $60^{\circ}C$로 6시간(時間) 열처리(熱處理)하므로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였고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이 높았다.

  • PDF

양하의 항산화 효과 및 향기성분 (Effects of Antioxidant and Flavor Compionents of Zingiber mioga Rosc)

  • 이장원;천상욱;한승관;류정;최동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3-209
    • /
    • 2007
  • 양하 (Zinger mioga Rosc.)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생양하 95.3%, 건양하 7.63% 및 분말양하 9.81%이었다. 분말앙하가 조단백 11.21%, 조지방 2.f4%, 회분10.78% 그리고 조섬유 14.47%로 생양하와 건양하보다 함량이 높았다. 양하의 항산화효과는 Rancimat와 DPPH fr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유지산화안정도 실험의 결과 분말양하가 4.21 AI로 대조구에 비해 4.6배의 항산화효과가 있었고, DPPH fi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한 결과분말양하의 값이 76.61%로 생양하 49.35%,건양하 61.78%에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하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하여 GC와 GC-MS 분석 ${\cdot}$ 동정한 결과 총 122종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주요향기성분은 테르펜류인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1,4-terpineol, and ${\beta}$-terpinene 등 이었다.

잡곡유전자원을 이용한 유기종자생산 포장의 해충발생 소장 (Occurrence of Insect Pest from Organic Seed Producing Field of Minor Grain Germplasms)

  • 김정순;고호철;윤성탁;조양희;김정곤;심창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58-64
    • /
    • 2010
  • 잡곡유기종자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병해충 관리의 기본이 되는 잡곡의 중요 병해충발생 소장 및 발생시기와 밀도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 2008년 조, 기장, 수수의 유기잡곡종자 생산 포장에서 조사기간 동안 조명나방의 발생 밀도는 수수자원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자원에서 가장 낮은 발생 밀도를 보였으며, 2009년도 조명나방의 발생 밀도는 수수재배 포장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재배 포장에서 가장 낮은 발생 밀도를 보였다. 2. 2008년 조명나방에 의한 잡곡의 피해주율을 조사하였더니,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월 16일에는 조 (60%), 수수 (47.5%), 기장 (43.8%)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2009년에는 6월 8일부터 9월 4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9월 4일에는 조 (51.3%), 수수 (42.5%), 기장(32.5%)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장자원은 6월 8일부터 6월 26일 사이에 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3. 멸강나방 성충의 발생 시기나 밀도를 조사하였으나, 2008년, 2009년 모두 전혀 유인되지 않았으나 멸강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는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며, 각자원별로 피해주율을 살펴보면, 조, 수수, 기장 순으로나타났다. 4. 2008년, 2009년 모두 멸강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주율은 조, 수수, 기장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008년 조자원에 대한 피해주율은 11.25~35.0%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수수와 기장의 피해주율은 각각 3.8~26.3%, 7.5~22.5%의 변이를 보였다. 2009년 각 자원별로 평균 피해주율은 조 자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는 2.5~36.3%, 수수는 0~25.0%, 기장은 0~21.3% 순으로 나타났다 5. 잡곡포장에서의 노린재 발생은2008년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3종류가 발생하였으며, 조와 기장 자원에서 풀색노린재의 발생 밀도가 가장 높았고, 2009년은 4종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톱다리노린재)의 노린재가 발생하였고 조와 기장 자원은 풀색노린재와 톱다리노린재가 우점종 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의 발생밀도는 낮게 나타났다. 수수 자원은 썩덩나무노린재와 톱다리노린재가 우점종 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와 풀색 노린재는 낮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태양열을 이용한 시설재배 지중변온가온의 토양 온도특성 연구(2) - 지중변온가온의 단위면적당 소요에너지 - (Study on Temperature Variation by Greenhouse Soil Warming System Using Solar Thermal Energy (2) - Required Energy per Unit Area for Soil Warming -)

  • 김진현;김태욱;나규동;김태수;김은태;정석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5권1호
    • /
    • pp.46-52
    • /
    • 2010
  • The temperature of root zone was known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growth of crops and reduction of energy in greenho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the apposite inflow of calories per the unit area by comparison of temperature in the warmed and non-warmed soil. The energy needed for soil warming about pipe length showed the change of temperature on inflow and outflow as $2^{\circ}C{\sim}3^{\circ}C$(average $2.5^{\circ}C$). Therefore, the inflow per the unit hour was 3,450, 57,5 kcal/$h{\cdot}m^2$ on soil heating respectively. The non-warmed soil temperature in greenhouse made a difference by depth and it was partially affected inner temperature under 15 cm, but it was not above 15 cm. The soil temperature would be raised over $5^{\circ}C$ than non-warmed soil to increase effect of soil warming. Therefore, the inflow per the unit area that should be provided was about 100 kcal/$h{\cdot}m^2$.

식재지반 용토로서 준설토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edged Soils as Planting Soil)

  • 김원태;윤용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5-102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heavy metal contents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the improvement of dredged soils which widely exist in lowlands of Korea. At first all the average heavy metal contents were close to background level and were much lower than concern level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of Korea. And the results of physical analyses of soils showed on the average $2.46\~2.74 Mg/m^3$ in Particle density, $0.45\~2.45 kg/kg$ in soil water contents, $0.34\~0.90 Mg/m^3$ in bulk density, $0.67\~0.87m^3/m^3$ in porosity, $2.18\times10^{-5}\~1.20\times10^{-8} m/s$ in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R0.12\~0.65 m^3/m^3$ in available water contents. Finally the results of chemical analyses of soils showed on the average $6.5\~8.2\;in\; pH,\;5\~48 g/kg\;in\; OM,\;0.48\~4.51g/kg\;in\;T-N,\;19\~25mg/kg$ in available phosphate, $0.28\~11.80 dS/m\;in\;EC,\;8.7\~38.1cmol/kg$ in CEC,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ought to be analyzed accurately before dredging for effective using of dredged soils. And it will be more effective, if the dredged soils are used with proper balance among each content of components with consideration to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on soils.

눈꽃동충하초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Biological activities of an entomogenous fungus, Paecilomyces tenuipes grown on silk worm)

  • 허현;이민웅;홍인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0-94
    • /
    • 2005
  •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은 눈꽃동충하초를 누에 품종별로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눈꽃동충하초의 유리당 함량은 백옥잠과 하초잠에서는 Glucose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칠보잠과 양원잠에서는 Mannitol 함량이 많았다. 2. 눈꽃동충하초에 함유된 아미노산의 총 평균 함량은 $10.3{\mu}mole/g$이며, 백옥잠이 $10.7{\mu}mole/g$로 가장 높았으며, 하초잠과 칠보잠이 $10.5{\mu}mole/g$, 양원잠이 $0.96{\mu}mole/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16종의 구성아미노산 분포비율은 Arginine이 12.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Glycine(10.5%) > Proline(9.6) > Tyrosine(8.9%) 순이었으며, Methionine이 2.1%로 가장 낮게 분포하였다. 3. 눈꽃동충하초의 유리 지방산 조성은 누에 품종에 관계없이 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Linolen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