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gricultural R and D

Search Result 1,355, Processing Time 0.304 seconds

만가닥버섯의 원형질체 분리(分離) 및 환원(還元) (Protoplast Isolation and Reversion from Lyophyllum ulmarium)

  • 유영복;유창현;박용환;장권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18
    • /
    • 1987
  •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proper conditions for protoplast formation from Lyophyllum ulmarium. Combination of Novozym 234, ${\beta}-Glucuronidase$ and ${\beta}-D-Glucanase$ with 0.6 M Sucrose was the most effective for isolation of protoplasts. The optimal reaction time of mycelium with the lytic mixture was 3 hrs in shaking condition at 120 strokes $min-^1$. When the mycelium of L. ulmarium was cultured for 6 days on yeast glucose agar medium at $25^{\circ}C$, the formation of protoplasts was effective. The yeast glucose agar medium stabilized with 0.6 M sucrose was the most effective for reversion of protoplasts.

  • PDF

농산 부산물을 이용한 애느타리 및 버들송이의 배지재료 활용 효과 (Bottle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and Agrocybe aegerita using Agricultural by-product)

  • 이희덕;김용균;김홍규;한규흥;문창식;허일범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1호통권84호
    • /
    • pp.47-50
    • /
    • 1998
  • 농산부산물첨가배지 개발로서 이화학적 특성은 콩비지첨가구에서 유기물, 질소, 탄소 함량이 높았으며 전처리구의 pH, 유기물, 질소, 탄소 함량은 버섯 생육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애느타리 관행재배시 병당(850cc)에서 갓의수 20개 72g에 비하여 콩비지 10% 첨가구는 갓의 수 12개 수량 77g으로 7% 증수, 귤껍질 10% 첨가구는 갓의 수 21개 수량 11% 증수되었다. 버들송이 관행재배시 병당 (850cc) 수량 98g 대비 한약박을 제외한 모든 농산부산물 첨가해서 증수되었으나 그중 콩비지 10% 첨가구가 수량 113g으로 15% 증수되었다. 저비용 고효율 농산부산물 버섯 배지개발로써 농가경영비 절감과 고품질 버섯 생산으로 농가소득에 기여할 것이다.

  • PDF

진탕 배양(培養)에 의한 Phanerochaete chrysosporium Diffuse 균사(菌絲)의 Ligninase 생성(生成)에 관한 연구(硏究) (Production of Ligninase in Agitated Submerged Cultures of Phanerochaete chrysosporium Diffuse Mycelia)

  • 김경수;김영호;강안석;류창현;차동렬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0-315
    • /
    • 1993
  • P. chrysosporium, SC 26 균주(菌株)를 이용하여 0.1% Tween 20, veratryl alcohol 및 benzyl alcohol 이 첨가된 배지(培地)에 접종(接種)한 후 진탕배양하여 ligninase역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지(培地)에 Tween 20를 단독으로 처리했을 경우에는 ligninase 의 생성(生成)이 적었으나, 0.1% Tween 과 0.4 mM veratryl alcohol을 첨가했을 때 높았으며 , 최대 역가까지의 소요일수는 5일이었다. 또한 0.1% Tween 20 과 10 mM benzyl alcohol을 처리했을때 ligninase의 역가가 가장 높았으며, 최대 역가까지의 소요일수는 8일이였다.

  • PDF

칡소와 비경흑색 한우의 Melanocortin Receptor 1 (MC1R) 유전자형 분석 (Analysis of Melanocortin Receptor 1 (MC1R) Genotype in Korean Brindle Cattle and Korean Cattle with Dark Muzzle)

  • 이성수;양보석;양영훈;강승률;고성봉;정진관;오운용;오성종;김규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23-30
    • /
    • 2002
  • 칡소와 비경흑색 한우의 MC1R 유전자의 유전자형를 조사하고 칡소의 모색 발현과 한우 비경색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MC1R 유전자의 PCR-RFLP 분석을 수행하였다. 소에서 나타나는 6가지 유전자형($E^D/E^D,\;E^D/E^+,\;E^D/e,\;E^+/E^+,\;E^+$/e와 e/e) 중 칡소에서는 단지 2개의 유전자형 $E^+/E^+$$E^+$/e 만이 출현하였고, e/e 유전자형을 가지는 개체는 전혀 출현하지 않아 제주재래흑우에서와 같이 흑색 호반모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E^+$ allele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비경흑색 한우와 비경황색 한우에서는 모두 $E^+$/e 혹은 e/e 유전자형이 출현하였고 $E^+$와 e allele의 빈도는 각각 0.37, 0.63과 0.11, 0.89였다. 비록 $E^+$ allele의 빈도가 비경흑색 한우에서 비경황색 한우에서 보다 높았지만, $E^+$ allele과 비경 흑색과는 완전한 연관성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MC1R 유전자 분석이 칡소 뿐만 아니라 한우의 모색 고정에도 유용한 도구로 이용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도토리화분과 다래화분의 일반성분, 지방산 분석 및 형태 관찰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pollens in acorn and darae(Actinidia arguta))

  • 홍인표;이만영;우순옥;심하식;최용수;한상미;김혜경;변규호;이명렬;김정봉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9-122
    • /
    • 2013
  • 국내에서 생산량이 많은 도토리화분과 다래화분을 동결 건조하여 일반성분과 지방산 성분을 비교하였으며 전자현미경(SEM)을 통하여 세포벽 구조를 확인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도토리화분은 수분 11.7%, 회분 2.6%, 조단백질 24.1%, 조지방 11.8%, 조섬유 1.9%, 탄수화물 함량은 47.9%이었으며, 다래화분은 수분 4.3%, 회분 2.3%, 조단백질 35.8%, 조지방 8.7%, 조섬유 0.8%, 탄수화물 함량은 48.1%였다. 동결건조한 도토리화분의 조단백질 함량은 26.5%로 약 10% 증가하였으나 조섬유 함량은 0.4%로 감소하였고, 동결건조 다래화분의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각각 35.7%, 9.1%로 약간 증가하였으나 조섬유 함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도토리화분에는 linoleic acid, 다래화분에는 linolenic acid의 지방산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docosadienoic acid, eicosadienoic acid, erucic acid 등의 지방산은 도토리화분에만 존재하였다. 도토리화분은 단립이며 모양은 장구형(prolate)이고 극면상은 난형이며 발아구는 3구형이다. 또한 다래화분은 단립이며 모양은 아장구형(subprolate)이고 극면상은 원형이며 발아구는 3구형이다. 도토리화분과 다래화분을 동결건조하면 세포벽이 파열되어 세포질이 나출되는 양상을 보였다.

Effects of Dietary Coconut Oil as a Medium-chain Fatty Acid Source on Performance, Carcass Composition and Serum Lipids in Male Broilers

  • Wang, Jianhong;Wang, Xiaoxiao;Li, Juntao;Chen, Yiqiang;Yang, Wenjun;Zhang, Liy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2호
    • /
    • pp.223-230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coconut oil as a medium-chain fatty acid (MCFA) source on performance, carcass composition and serum lipids in male broilers. A total of 540, one-day-old, male Arbor Acres broilers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5 treatments with each treatment being applied to 6 replicates of 18 chicks. The basal diet (i.e., R0) was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and was supplemented with 1.5% soybean oil during the starter phase (d 0 to 21) and 3.0% soybean oil during the grower phase (d 22 to 42).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by replacing 25%, 50%, 75%, or 100% of the soybean oil with coconut oil (i.e., R25, R50, R75, and R100). Soybean oil and coconut oil were used as sources of long-chain fatty acid and MCFA, respectively. The feeding trial showed that dietary coconut oil had no effect on weight gain, feed intake or feed conversion. On d 42,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ere linearly decreased as the coconut oil level increased (p<0.01). Lipoprotein lipase, hepatic lipase, and total lipase activities were linearly increased as the coconut oil level increased (p<0.01). Abdominal fat weight/eviscerated weight (p = 0.05), intermuscular fat width (p<0.01) and subcutaneous fat thickness (p<0.01) showed a significant quadratic relationship, with the lowest value at R7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replacement of 75% of the soybean oil in diets with coconut oil is the optimum level to reduce fat deposition and favorably affect lipid profiles without impairing performance in broil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