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Food Processing

검색결과 517건 처리시간 0.034초

강정의 상온저장 중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에 따른 품질 변화 (The Quality of Gangjung Added with Detoxified Stem Bark of Rhus verniciflua Extract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 김경미;김태영;김명곤;김행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27-933
    • /
    • 2008
  • 강정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무독화 옻 추출물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60일간 저장하면서 강정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 강정의 수분함량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였으며 특히, 대조군과 무독화 옻 추출물 1% 첨가군은 저장 30일에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무독화 옻 추출물 3{\sim}5%$ 첨가군은 저장 40일에, 7% 첨가군은 50일에 감소가 시작되었다.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강정의 경도는 저장동안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강정의 아삭함을 나타내는 피크수의 변화는 $0{\sim}3%$ 첨가군은 저장 60일부터 감소하기 시작한 반면에 5%와 7% 첨가군은 저장동안 변화가 없었다.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 강정의 산가, 과산화물가 및 TBA가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그 값이 증가하였으나 저장 40일부터 무독화 옻 추출물 7% 첨가 강정의 산가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과산화물가는 저장 40일부터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으며 TBA가도 저장 40일부터 무독화 옻 추출물 3% 이상 첨가 시 추출물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쑥부쟁이 분말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of White Bread Containing Aster yomena Powder)

  • 김용주;정지숙;김은하;손병길;고근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1-99
    • /
    • 2016
  • 쑥부쟁이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독특한 향기가 있어 식욕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산채나물로 이용되어 왔다. 산채나물은 항산화, 항암, 항염증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로 기능성 식품으로의 관심이 높아져 다양한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이 간세포 내 지방축적 유전자 발현 억제 및 지방축적 억제 효과, 항비만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기능성 측면에서 활용가치가 높다. 쑥부쟁이에 대한 연구가 일부 보고되었으나 이를 활용한 가공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우리밀 가루에 쑥부쟁이 분말 첨가량을 0, 0.5, 1.0, 1.5, 2.0%로 달리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쑥부쟁이 분말을 0.5~2.0% 첨가한 식빵은 대조구와 비교 시 외관, 향,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면에서 통계 수치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소비자에게 거부감 없는 제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쑥부쟁이 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총 폴리페놀 및 DPPH 라디칼 소거 등의 기능성이 증가하므로 기능성을 높인 제과제빵 및 면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 강정의 가온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Gangjung Added with Detoxified Stem Bark of Rhus verniciflua (RVSB) Extract during Acceleration Storage)

  • 김경미;김태영;김명곤;김행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25-431
    • /
    • 2007
  •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무독화 옻 추출물을 첨가한 강정의 품질 특성 및 가온저장($60^{\circ}C$ , 24 시간) 중에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 강정의 팽화율은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색도의 L값은 무독화 윷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a값은 추출물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며 b값은 7% 첨가 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에 따른 강정의 저장동안 수분함량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추출물 첨가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 강정의 경도는 저장동안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피크수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무독화 옻 추출물 첨가 강정의 산가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그 값이 증가하였으며 무독화 옻 추출물 5% 이상 첨가 시 저장 16시간부터 산가의 증가를 억제시켰다. 과산화물가와 TBA가는 무독화 옻 추출물 3% 이상 첨가 시 저장 12시간부터 유의적으로 그 값이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 무독화 옻 추출물을 첨가한 강정은 물리적 조직감의 향상은 기대할 수 없었으나 지방의 산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균성 식품을 이용한 간편섭취 농산물 미생물오염의 감소 및 분자생물학적 분석 (Bacterial Contamination Reduction of Minimally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using Antibacterial Foods and Molecular Biological Analysis)

  • 김진아;이성득;황광호;송미옥;박정은;김다미;정애희;오영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14
    • /
    • 2016
  • 가열하지 않은 간편섭취 농산물의 섭취를 통한 세균 감염의 가능성을 줄이고자,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잔류에 대한 염려가 없는 천연 항균성 식품을 이용하여 세척할 경우, 물 세척에 비해 세균의 감소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여러 가지 항균성 식품성분 중 마늘의 allicin, 생강의 gingerol, 녹차의 catechin, 계피의 cinnamic aldehyde, 고추냉이의 allyl isothiocyanate의 단계별 희석액으로 세척한 후, 단순 물 세척의 세척효과와 비교한 결과, 단순 물 세척에 비하여 세균 감소의 효과가 큰 것으로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간편섭취 농산물에서 검출된 Bacillus cereus 오염의 유래 및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유전적 상관성을 분석해 본 결과 유사도가 매우 높은 균주들이 많이 검출되었다. 이 사실을 통해 간편섭취 농산물의 생산, 가공, 포장, 유통 등의 과정에서 공통적인 요인에 의한 지속적인 오염의 가능성 및 소비자의 감염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사전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전처리 조건에 따른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의 주요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 (Active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alvia plebeia R. Br. According to Pretreatment Conditions)

  • 김용주;정지숙;박노진;고근배;손병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948-1953
    • /
    • 2014
  •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를 건조, 데침 및 발효에 따라 항염증 효능성분인 rosmarinic acid, homoplantaginin, luteolin의 함량 변화와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Rosmarinic acid는 열풍건조 시 16.42 mg/g, 데친 후 열풍건조 시 10.19 mg/g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동결건조 한 잎과 뿌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음건 및 동결건조 시에는 각각 8.69와 8.15 mg/g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발효 후에는 0.05 mg/g으로 감소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동결건조, 음건 및 열풍건조 한 배암차즈기는 $500{\mu}g/mL$의 농도에서 98.5% 이상의 ABTS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데친 후 열풍건조 시에도 87.3%의 우수한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뿌리는 잎에 비하여 ABTS radical 소거능이 낮았다. SOD 유사활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6.1~27.8%로 측정되어 ABTS radical 소거능과 차이가 있었다. 배암차즈기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물질이며 항염증 효능 물질로 알려진 rosmarinic acid와 homoplantaginin은 차발효에 의해 거의 소실되기 때문에 배암차즈기를 기능성 차 또는 가공식품 원료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차발효(산화발효)보다 동결, 냉풍 및 열풍건조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채유방법(採油方法)이 참기름의 분획별지질(分劃別脂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Oil Extraction Methods on Fractionation Patter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Each Fraction of Sesame Oil)

  • 최상도;양민석;조무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9-262
    • /
    • 1984
  • 1) 분획별(分劃別) 지질중(脂質中) triglyceride가 $73.4{\sim}77.2%$로 가장 높았고 채유방법별(採油方法別)로는 RWE의 triglyceride가 RTP와 RTE보다 높았다. 2) glycolipid(GL)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tryglyceride(TG)의 linoleic acid, free fatty acid(FFA)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phospholipid(PL)의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RTP와 RTE가 RWE보다 높았으나 TG의 oleic acid, FFA의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PL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그 반대(反對)로 RTP와 RTE가 RWE보다 낮았다. 3) glycolipid 및 phospholipid의 $C_{18}/C_{16}$ 지방산비(脂肪酸比)와 불포화도비(不飽和度比)는 RTP와 RTE가 RWE보다 높았으나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의 그것은 반대(反對)로 RTP와 RTE가 RWE보다 낮다.

  • PDF

순무(Brassica rapa ssp.) 뿌리로부터 flavonoid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the Roots of Brassica rapa ssp.)

  • 정락훈;;조진경;이대영;;이민호;이경태;최명숙;정태숙;안은미;정해곤;노영덕;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1호
    • /
    • pp.23-27
    • /
    • 2013
  • 순무뿌리(Brassica rapassp)를 실온에서 95% ethanol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ethyl acetate (EtOAc)분획, n-butyl alcohol 분획 및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실시 하여 5종의 flavonoid를 분리하였다. NMR, IR 및 MS data를 해석하여 각각 licochalcone A (1), 4,4'-dihydroxy-3'-methoxychalcone (2), liquiritigenin (3), liquiritin (4), isoliquiritin (5)으로 구조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들은 순무뿌리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딸기의 세척 및 가공 과정에 따른 농약 잔류량 변화 (Vari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Strawberries by Washing and Boiling Processes)

  • 곽세연;이상협;정혜린;남애지;;김효영;임채욱;조현정;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81-290
    • /
    • 2019
  • 안전한 딸기 섭취를 위해 딸기에 acetamiprid외 9종의 농약을 인위적으로 살포하여 건조시킨 후 물, 세제, 소주에 침지 및 초음파 세척하였을 경우와 가열하여 잼으로 가공하였을 때 잔류량 변화 및 가공계수를 산출하였다. 농약이 처리된 딸기를 세척 및 가공하였을 때 물에 침지하여 세척한 경우 13.9-65.1%, 세제에 침지한 경우 9.2-71.9%, 소주에 침지한 경우 12.4-61.6%, 물로 초음파 세척한 경우 22.4-62.8%, 세제로 초음파 세척한 경우 18.7-64.5%, 소주로 초음파 세척한 경우 23.1-64.4% 감소하였다. 딸기 중 잔류농약의 제거율은 농약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으나, 세척 용매 및 방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물로 세척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며 세척 횟수를 늘리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가공함에 따라 딸기의 생체량이 2.5배 감소하는 것을 반영하여 가공 전과 후의 절대량을 산출한 결과, 10종의 시험 농약 모두 59.8-98.4%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선나무 잎과 줄기의 성분 분석 및 안전성 평가 (Analysis on the Components and Safety Evalua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Leaves and Stems)

  • 권순복;강희주;김민정;김진희;신해식;김강성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34-244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the leaves and stem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ith the aim of obtaining basic data for utilizing the plant as a food ingredient, as well as for processing. Methods: Leaves and stems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ere harvested at Cheongcheon-myeon, Geosan-gun, Chungcheongbuk-do, and were subsequently freeze-dried and ground to a fine powder for chemical component analysis and safety evaluation. Results: The moisture conten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leaves and stems were respectively 65.07% and 40.97%, and the crude ash contents were 1.32% and 0.91%. In addition, the crude protein contents were 11.97% and 3.77%, and the crude fat contents were 2.52% and 0.36%, respectively. The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were 32.13 mg/g and 56.17 mg/g for leaves, and 11.38 mg/g and 10.59 mg/g for stems.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leaves were palmitic acid (31.79%) and stearic acid (14.79%), and those for stems were linolenic acid (32.78%) and palmitic acid (26.75%). The ascorbic acid contents of leaves and stems were 1.32 mg/g and 0.30 mg/g respectively. The calcium content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mong the minerals tested, both in the leaves and stems, with the levels being 166.17 mg/100 g for leaves and 592.34 mg/100 g for stems. The content of organic acid was greater in leaves than in stems, with that of malic acid accounting for more than 75% of total organic acids for both samples.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 conten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ere 50.64 mg/g and 13.53 mg/g in leaves and 96.47 mg/g and 18.53 mg/g in stems, respectively. No changes were shown in the number of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 (MNPCE) among 2,000 polychromatic erythrocytes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was administered orally to rats in order to investigate acute toxicity. The $LD_{50}$ values in rats were above 2,000 mg/kg.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aves and stem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can be used as natural ingredients in the development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materials.

농촌거주 노인정 급식도입을 위한 식생활 비교 평가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Intake for Introduction of Meal Service in Pavilion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 김행란;주민정;문현경;김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65-774
    • /
    • 2007
  • Aging rate of rural area in our country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at of the urban area. Thus, the introduction of meal service for the elderly residing in the rural area is necessary for their better living quality. Food habit, health and the nutritive intake conditions during the busy farming season were surveyed and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intake for the introduction of meal service in pavilion of the elderly living in Chungnam, Kangwon, Jeonnam and Kyungbuk was performed for basic reference data of meal service introduction to the pavilion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In general subject, the male elderl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e and showed that 79.4% was married and 20% was separated by death(P<0.05). In allowa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most of them lived with less then three hundred thousand won and especially, female lived with less then one hundred thousand won. In health state, the female elder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difficulty with every day activity but with small trouble although they had to prepare their own meal(P<0.05). The condition dental health conditions of the female elderl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showing bad conditions in following order; Kangwon(48%)>Chungnam(38.1%)>Kyungbuk(22.9%)>Jeonnam(22.5%)(p<0.05). The female elder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sage of denture and number of the female elderly without using the denture were very high(p<0.05). In nutrition intake condition, amount of sodium was very high but intakes of fiber and calcium were relatively 1ow(P<0.05). Meal service introduction in the pavilion of the elderly is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life quality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When developing the menu for them, conditions such as shortage of the fiber and calcium in diets, the dental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