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glomeration Econom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19초

4차 산업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gglomeration Effects of the 4th Industry on Local Economy)

  • 주미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75-389
    • /
    • 2021
  • 최근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아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기대되는 4차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책들이 수립되고 있으나 실제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4차 산업의 집적수준의 변화가 지역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전국의 시군구를 대상으로 공간통계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차 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의 생산성 측면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지역의 소득에 대해서는 영향을 준다는 근거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4차 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4차 산업 유형별로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였으며, 지역경제 영향을 주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은 제조업과 금융 및 보험업의 집적으로 나타났다.

집적 (불)경제와 공간경제로서의 지역 경제 성장 (Agglomeration (Dis-) Economies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as a Spatial Economy)

  • 김홍배;박재룡
    • 지역연구
    • /
    • 제13권2호
    • /
    • pp.45-54
    • /
    • 1997
  • A regional economy is characterized as a spatial economy. However the literature shows that it has been treated as a point economy since space is little recognized in regional modeling due to mathematical complication. This leads to the fact that regional model does not sufficiently represent regional characteristic. This paper attempts to construct a regional growth model in a partial equilibrium framework specifically taking into consideration land as a primary factor. The model is formulated largely neoclassical. Labor is assumed to move in response to differences in the wage rate, while capital is perfectly mobile across regions. The paper shows that two growth equilibrium points exist, one stable equilibrium point and the other unstable equilibrium point. The unstable growth equilibrium indicates the existence of minimum threshold that a region must overcome the minimum threshold to grow constantly. Consequently, directions of regional growth are characterized by two growth paths depending on the initial condition of a region. That is to say, a region below the minimum threshold is converging toward the lower stable equilibrium point over time. When a regional economy initially lies above the minimum threshold, it will grow forever. A regional economy is not thus necessarily converging a stationary is not thus necessarily converging a stationary equilibrium point through factor movement. Finally, the impacts of the presence of agglomeration economies and diseconomies are analyzed through the phase diagram. The paper also shows that agglomeration economies result in lowering the minimum threshold and in escalating the level of stable equilibrium However, when agglomeration diseconomies prevail, the results are opposite, i.e., rising the minimum threshold of growth and lowering the growth level of stable equilibrium.

  • PDF

서울시 제화산업의 집적 특성 및 혁신환경 분석 (An Analysis of the Agglomeration Characteristics and Innovative Milieu of the Shoemaking Industry in Seoul)

  • 박래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53-670
    • /
    • 2005
  • 본 연구는 서울의 경제 환경 변화와 이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 전통적인 도시형 제조업이 어떠한 이유와 방식으로 위기에 대응 해가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서울시 제화산업을 사례로 공간적 집적 특성과 혁신환경의 속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수동을 중심으로 한 집적지가 성장 중에 있으며, 이 지역을 중심으로 기획 및 디자인, 생산기술, 창업 및 인력수급, 경영 등의 부문에서 국지화된 투입${\cdot}$산출관계와 관련한 정적인 효율성을 넘어 동적 집적경제가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요인들이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최근의 동적 집적경제 접근방식이 전통적인 제조업 집적의 발생과 집적경제의 속성을 설명하는 효과적인 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바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위기에 대응해가는 현 상황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아직 산업을 둘러싼 외적 지원환경과 제도적 플랫폼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지 못하여, 제화산업집적지가 보다 높은 단계의 산업집적지구로 성장${\cdot}$발전해나가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시간을 고려한 제조업 집적경제의 공간외부성 분석 : 3단계최소자승법을 이용한 공간 SUR 추정 (Temporal Spatial Externalities on Agglomeration Economy of Manufacturing : Estimation of Spatial SUR by Using 3SLS)

  • 김성훈;최명섭;김의준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14-426
    • /
    • 2007
  • 본 논문의 목적은 제조업 집적경제의 공간외부성(spatial externalities) 시계열 변화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도서 지역을 제외한 162개 시군구로 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1991년부터 2005년까지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시공간을 고려한 공간경제계량모형인 공간 SUR를 이용하여 Cobb-Douglas 생산함수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추정하기 위해 오차항의 종속성을 고려하여 3SLS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제조업 집적경제의 공간외부성(spatial externalities)은 시간에 따라 체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부가가치의 지니계수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그동안 동종 산업내 규모의 경제에 의한 집적효과가 공간외부성을 발생시켰으나 그 효과가 체감하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집적의 이익은 누리고 공간외부성을 확대할 수 있도록 이종 산업간에 연계강화를 통한 혁신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지역간 협력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 PDF

Eco-efficiency Analysis of Urban Agglomeration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Yangtze River

  • Chen, Minghui;Miao, Jianjun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1호
    • /
    • pp.9-17
    • /
    • 2019
  • Purpose - Urban agglomeration construction is one of national strategic plans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China, which has threatened the eco-environmental quality at the same time. This paper selected the urban agglomeration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Yangtze River as the research are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the slack-based measurement (SBM) model considering undesirable outputs is applied to measure the eco-efficiency of this urban agglomerations during 2006-2015. Results -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verage eco-efficiency of the urban agglomeration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Yangtze River is 0.595. Regional ecological development is unbalanced. The highest eco-efficiency is recorded at Wuhan Metropolitan Area, and the lowest one is at the Changsha-Zhuzhou-Xiangtan City Group. Energy consumption and waste dust emissions are the key factors led to ecological inefficiency. Based on this, potentials for energy saving and waste dust reducing are calculated. Conclusions - Finally, this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targeted to promote the coordinating development of economy and eco-environment under the construction of urban agglomeration.

IMF금융위기와 광주권 경제공간의 변화 (The Financial Crisis of Korean Economy and the Changing Economic Space of Gwangiu City)

  • 김재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20
    • /
    • 2000
  • 오늘날 금융자본의 세계화가 진전됨에 따라 금융위기의 발생가능성과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한국에서 IMF 금융위기는 사회 전반의 구조조정을 추동시키면서 양적, 질적 경제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어 본 연구는 광주지역의 경제적 공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광주지역경제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산업은 서비스업과 수송장비제조업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산업은 IMF금융위기의 경제적 침체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았고, 대신 고무 .플라스틱.기계장비.전기전각 부문의 제조업은 상대적으로 영향을 적게 받았다. 공간적으로는 서비스업의 감소로 도심지역의 상업이 쇠락하고, 첨단산업육성을 통한 위기 극복의 노력으로 인해 광산업 집적공간의 형성과 벤처기업이 입지한 창업보육센터나 벤처빌딩과 같은 미시산업공간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첨단산업의 지방뿌리내림은 첨단산업의 수도권 집중의 구조적, 지리적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지역혁신체제의 구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광주 광(光)산업 집적지의 형성과 그 특성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Gwangiu Photonics Agglomeration)

  • 임영훈;박삼옥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73-296
    • /
    • 2006
  • 본 연구는 신산업 집적지이자 새로운 산업집적지로서 광주 광산업 집적지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여러 각도에서 살펴보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현지에서 수집한 기업관련 자료와 설문조사의 결과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정책적 측면에서, 국가는 정책의 전체적인 틀과 재정적 지원을 하였고, 지방자치단체는 전략산업을 발굴하여 적극적으로 육성하였다. 이는 광산업의 초기 집적에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공간적 측면에서, 광주 광산업 집적은 네트워크 환경을 필요로 하며 생산가치사슬상 기업간 거래관계 못지않게 지식과 기술의 외부성이라는 입지요인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광주 광산업 집적지가 단순히 생산거점이 아니라 지식기반경제의 혁신클러스터로 발전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Spatial Characteristics and Driving Factors Toward the Digital Economy: Evidence from Prefecture-Level Cities in China

  • WANG, Haita;HU, Xuhua;ALI, Najabat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2호
    • /
    • pp.419-426
    • /
    • 2022
  • The digital economy is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source of regional competitiveness enhance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hina's digital economy from 2016 to 2019. Moran's I analysis was performed to see if China's digital economy has spatial self-correlation. The Getis-Ord General G 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clustering type of China's digital economy. In addition, we used OLS and GWR methodologies to figure out what drives China's digital economy level. The findings show that the digital economy is rapidly expanding throughout China; yet, there is a significant regional imbalance in the digital economy level in China, and the agglomeration of the digital economy is increasing over time. Furthermore, the findings reveal that human capital, information staff, telegram income, and Internet access are vit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economy. To close the digital economy gap, policymakers must invest in human capital and technology innovation. Simultaneously, the government must speed up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s.

부산 신발산업의 집적화와 쇠락 요인: 산업클러스터 모형의 재구성과 적용 (Agglomeration and Decline Factors of the Footwear Industries in Busan Metropolitan Area)

  • 권오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88-701
    • /
    • 2014
  • 본 연구는 부산신발산업의 집적과 쇠락요인을 산업클러스터의 경쟁력이라는 이론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이를 위해 M. Porter의 클러스터 모델을 재구성한 '산업클러스터의 구성요소와 연계 모형'을 제시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부산신발산업의 집적화와 쇠락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신발산업의 부산지역 집적 및 쇠락과정과 현황을 고찰하고 부산지역 신발업체들을 대상으로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산신발산업의 집적 및 쇠락과정은 상당히 복잡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지만, 노동집약적 경공업의 특성상 노동력 등 투입요소부문이 가장 결정적인 영향변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970년대 중반 이후 OEM 생산을 본격화하면서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에 편입된 바, 그것에의 진입과 배제과정에서 산업클러스터의 성쇠가 보다 급격히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창조경제를 위한 ICT 융합 혁신 클러스터 구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CT Convergence Innovation Cluster for Creative Economy)

  • 임종빈;김예슬;정선양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4
    • /
    • 2014
  • 새 정부의 국정방향인 창조경제는 '창의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ICT가 결합하여 활발하게 창업 또는 기존 산업과 융합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시장, 산업 및 일자리가 창출되는 성장전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혁신 클러스터는 그 정책 목표가 유기적 생태계 관점에서 기술혁신을 촉진하는 것이므로 창조경제 실현의 유효한 정책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적 배경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창조경제형 ICT 융합 혁신 클러스터 정책 시사점을 얻기 위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판교테크노밸리 조성 사례를 분석하였다. 먼저 조성 측면에서는 환경 변화에 대한 지방정부의 유연한 대응, 철저한 사전 기획, 민간과 공공의 균형적 참여가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조경제 활성화 측면에서는 우수인력 집적을 위한 정주여건 확보, 융합을 촉진할 다양한 혁신주체들의 집적과 이들 간의 네트워크 활성화, 창업 촉진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등 창업환경 조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