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nt Migration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연안지역에 서식하는 갯강활의 항산화 및 암세포증식 억제 활성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the Halophyte Angelica japonica Growing in Korean Coastal Area)

  • 사지와니 자야팔라;오정환;공창숙;심현보;서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749-761
    • /
    • 2022
  • 본 연구는 갯강활 추출물과 그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증식 억제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갯강활의 건조 시료를 차례대로 메틸렌클로라이드(CH2Cl2)로 2회, 그리고 메탄올(MeOH)로 2회 추출한 다음, 그 조추출물을 합한 후에 다시 용매극성에 따라 n-hexane, 85% 메탄올 수용액(85% aq.MeOH), n-buta- nol(n-BuOH) 및 물 분획층으로 분획하였다. 합해진 조추출물과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과 peroxynitrite 소거능, 세포내 활성산소종(ROS) 생성, DNA 산화, NO 생성, 철이온 환원력(FRAP)에 의해 평가되었다. 조추출물은 모든 항산화활성검색 시스템에서 유의적인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용매분획들 중에서는 n-BuOH 및 85% aq.MeOH 분획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관찰되었으며 이 활성은 시료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조추출물을 포함한 모든 시료들이 인간 암세포(AGS, HT-29, MCF-7, HT-1080)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보였으며, HT 1080을 이용한 wound healing assay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이동을 억제하였다. 시료 중에는 85% aq.MeOH 용매분획이 HT-1080 세포의 침입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는 갯강활을 이용하여 항산화제 및 항암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백서 날문부에서 스텐트 유도 조직 과증식 형성을 위한 전임상 모델에 관한 연구 (A Rat Pylorus Stricture Model to Create Stent-induced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 김민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59-565
    • /
    • 2022
  • 대체적으로는 전임상 평가로써 소·대동물을 통한 의료기기 개발 평가를 이루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소화기계 위 날문부 협착 치료 평가모델 개발을 위해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하는 조직 과증식 형성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파일럿실험으로 백서 3마리에서 날문부에 조영제를 주입하고 정상의 날문부 사이즈를 확인하였으며, 그에 맞는 사이즈의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1주일 내에 모든 백서에서 스텐트의 이동이 확인되었으며 본 실험에서는 스텐트를 투시 가이드 하에 gastrostomy 후 스텐트 삽입 시 날문부를 suture 하여 고정하여 조직 과증식이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20마리의 백서를 Healthy Group / Gastrostomy Group으로 나누었다. Stent Group 백서를 마취 후 복부 절개 후 투시 가이드하에 gastrostomy를 실시하여 위 날문부에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또한, 연동운동에 의한 스텐트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의 스텐트와 스텐트가 삽입된 위의 날문부를 suture 하여 고정하였다. 수술 후 행동 및 체중 변화를 매주 모니터링 하였다. 수술 후 4주 뒤 위장조영술을 시행 후 희생하였다. 위의 날문부 과증식 정도 평가를 위해 희생 후 적출한 위의 날문부 병리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직병리 및 면역 염색 평가에서 Gastrostomy Group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all p<.001). 결론적으로 Gastrostomy를 통한 위 날문부 수술 모델은 위 날문부 스텐트 삽입술 전임상 평가를 위한 조직 과증식의 형성 정도가 연구평가 툴로써 적정한 것으로 사료된다.

베르베린을 처리한 간세포암에서 자가포식 경로와 관련된 세포자멸사 (Berberine Suppresses Hepatocellular Carcinoma Proliferation via Autophagy-mediated Apoptosis)

  • 김윤규;여명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287-295
    • /
    • 2024
  • 간세포암종은 전 세계적으로 암 관련 사망의 두 번째 주요 원인으로 새로운 치료 전략을 필요로 한다. 간세포암종 환자를 치료에 사용되는 화학요법제는 독성이 있고 심각한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는 건강한 간세포에서 세포독성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종양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항암제의 효능을 조사하였다. Berberine은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의 식물 유래 화합물로 다양한 약리학적 특성으로 인해 암 치료의 잠재적 후보군으로 보고되고 있다. 간암 세포 생존율에 대한 berberine의 효과는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HCC 증식은 콜로니 형성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세포이동에 대한 berberine의 효과는 상처 치유 분석으로 실시하였다. Berberine은 HepG2 세포와 같은 간암 세포의 증식과 콜로니 형성 및 세포이동을 억제하였다. Berberine 처리는 Beclin-1 및 LC3-II 등의 자가포식 관련 유전자 발현과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Caspase-3 및 Caspase-9등의 세포자멸사의 mRNA 발현 및 활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세포유래 이종이식 동물실험에서 berberine 처리에 따른 종양의 크기와 무게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간세포암에 대한 베르베린의 효능을 조명하여 표적 및 맞춤형 치료의 기회를 제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친환경 토양안정재를 혼합한 지반의 강도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Soil Mixed with a Natural Stabilizer)

  • 권영철;오세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45-5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무해성 고화재와 건설공사 시 발생하는 흙을 이용하여 포장재료로 혼합 처리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일반적으로 고화재로 많이 사용되어 온 시멘트가 갖고 있는 유해성(6가크롬 등)을 극복함과 동시에 고강도 화 함으로써 준설토 처리, 해안구조물 기초처리, 사면표층안정처리, 하천제방 침식 방지 등 전반적인 토목/건축 구조물 기초보강 및 안정처리공법에 활용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NSS(Natural Stabilizer Soil)는 천연섬유에서 추출한 단섬유와 석회 등을 혼합한 재료를 주원료로 하며, 흙의 전단강도를 증가시켜 지반의 지지력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침수와 동해를 방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친환경성을 측정하기 위한 pH측정결과 6.67~7.15로 나타났으며, 용출시험 결과 납(Pb)과 시안(CN)만이 기준치 이하로 나타나 NSS자체에 포함된 유해성분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일축강도 실험결과 풍화토와 NSS의 혼합비율 6%에서 약 1,850kpa의 강도를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장재로써의 적부를 판정하기 위한 CBR. 시험결과 원지반의 CBR은 4%~6%인데 비하여 NSS의 혼합비가 6% 이상인 경우 수침 CBR.값은 100% 이상으로 포장재료로써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길경 수용액 추출물에 의한 인체 폐암세포의 성장억제 기전 연구 (Cell Cycle Arrest of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s by an Aqueous Extract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 강락원;이재원;감철우;최병태;최영현;박동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3-189
    • /
    • 2003
  • Platycodi Radix,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commonly known as Doraji, is used as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Extracts from the roots of P. grandiflorum have been reported to have wide ranging health benefit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aqueous extract from the roots of P. grandiflorum (AEPG) on the cell proliferation of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s in order to understand its anti-proliferative mechanism. AEPG treatment resulted in the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is anti-proliferative effect of A549 cells by AEPG treatment was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changes such as membrane shrinking, cell rounding up and inhibition of cell migration. DNA flow cytometric histograms showed that populations of both Sand G2/M phase of the cell cycle were increased by AEPG treatmen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EPG treatment induced a marked accumulation of tumor suppressor p53 and a concomitant induction of cyclin-dependent kinase (Cdk) inhibitor p21 and p27. In addition, SSS treatment resulted in down-regulation of Cdk2 and Cdk4 expression. The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AEPG-induced inhibition of lung cancer cell proliferation is associated with the blockage of S to G2/M phase progression the induction of apoptosi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 grandiflorum has strong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n agent for prevention against human lung cancer.

XML 기반 강건 타입형 유전자 프로그램의 이식${\cdot}$독립적 표현 (XML-based Portable Self-containing Representation of Strongly-typed Genetic Program)

  • 이승익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4호
    • /
    • pp.277-289
    • /
    • 2005
  • 선택과 재생산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적 학습에서 유전자 프로그램이 가지는 긴 설계시간/높은 계산노력/낮은 계산효율을 극복하고자, 이 논문은 XML에 기반을 둔 유전적 표현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서 유전자 프로그램과 유전자 연산은 기성 DOM 파서의 API 호출에 의하여 관리되기 때문에, 유전자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소비되는 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는 특징이 있다. 또 표준 XML 스키마를 기반으로 의미적으로 올바른 유전자 프로그램만을 다루기 때문에 탐색공간과 계산노력이 감소된다. 그리고 이형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유전자 프로그램의 이주에 적합한 시스템 및 형식인 XML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전자 프로그램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계산효율이 향상된다. 제안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포식자-피식자 문제에서 다중 에이전트의 사회적 행동의 진화에 적용한 결과, 유전자 프로그램에 대한 계산시간이 단축됨을 .보인다

Keratinocytes 세포의 MMP-2 및 plasmin 분비에 미치는 VEGF의 영향 (Effect of VEGF on the Secretion of MMP-2 and Plasmin from Human Keratinocyte Cells)

  • 김환규;오인숙;소상섭;박종완
    • KSBB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37-24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keratinocytes 세포를 이용하여 VEGF가 세포의 증식, MMP-2 및 plasmin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VEGF는 keratinocytes의 세포증식을 약 2.5배 상승시켜 내피세포 뿐반 아니라 상피세포에서도 강력한 mitogen임을 확인하였으며 submaximal effect를 보이는 농도는 10 ng/mL이었다. VEGF의 농도 증가에 따른 MMP-2의 분비에 미치는 효과 역시 10 ng/mL에서 최대 효과를 나타냈으며 VEGF 처리 후 1시간만에 확인 가능한 MMP-2 밴드가 나타났다. 한편, MMP-2의 분비 증가와 함께 plasmin의 분비 증가가 수반되는지를 확인한 결과 VEGF를 첨가했을 때 약 3배 정도 plasmin의 분비량이 증가함을 알 수 었었다. 이러한 결과는 VEGF의 성장촉진 효과와 관련자어 볼 때 MMP-2와 plasmin이 keratinocytes 세포의 성장과 이동에 부분적으로 관여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흰쥐의 전층피부상처 동물모델에서 소풍산(消風散)이 VEGF 및 TGF-β1발현에 미치는 영향 (Sopung-san Extract Enhances healing potential on Full-thickness Skin Wound in Rats: Role of VEGF and TGF-β1)

  • 김범회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3-134
    • /
    • 2017
  • Wounds are commonly created during almost every kind of surgery, trauma and skin diseases. Delayed wound healing affects a plenty of patients and requires prolonged treatments that seriously reduce the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Skin damage involving large areas or great severity can lead to disability or even death. Wound healing involves a complicated series of actions, of various tissues and cell lineages, concerning inflammation, migration, proliferation, reepithelialization, and remodeling. Sopung-san is reported to hav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has been used for various skin diseases such as allergic dermatitis and atopic dermatitis. In this study, the hypothesis that oral treatment with Sopung-san could enhances healing potential on rat full thickness skin wounds was tested. Twenty young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for the studies. A full-thickness skin wound was made on the dorsal skin of the rats. Either Sopung-san water extract (SPS) or saline (Control) was orally administrated every day. The wound area was measured and the percentages of wound contraction, wound healed and wound epithelization were calculated. Wound tissue samples were excised following injection for histopathological and immunohistological examination. Wound area in rats of SPS group significantly was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SPS group showed significant promotion of wound healing compared to Cotrol group in the percentages of wound contraction, wound healed and wound epithelizati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SPS induces neo-vascularization potential in wound healing process. SPS treatment in rats significantly accelerated cutaneous wound healing in the neo-vascularization process by increasing VEGF and $TGF-{\beta}1$ synthesis. The results suggest that Sopung-san affects key cellular processes responsible for wound repair and point to a unique potential for this molecule in the therapy of skin wounds, particularly as an angiogenic agent.

Scabraside D Extracted from Holothuria scabra Induces Apoptosis and Inhibits Growth of Human Cholangiocarcinoma Xenografts in Mice

  • Assawasuparerk, Kanjana;Vanichviriyakit, Rapeepun;Chotwiwatthanakun, Charoonroj;Nobsathian, Saksit;Rawangchue, Thanakorn;Wittayachumnankul, Boonsir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2호
    • /
    • pp.511-517
    • /
    • 2016
  • Scabraside D, a sulfated triterpene glycoside extract from sea cucumber Holothulia scabra, show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but effects on human cholangiocarcinoma cells have not previously been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ctivity of scabraside D against human cholangiocarcinoma (HuCCA) both in vitro and for tumor growth inhibition in vivo using a xenograft model in nude mice. Scabraside D ($12.5-100{\mu}g/m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viability and the migration of the HuCCA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50%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of $12.8{\pm}0.05{\mu}g/mL$ at 24 h. It induced signs of apoptotic cells, including shrinkage, pyknosis and karyorrhetic nuclei and DNA fragmentation on agarose gel electrophoresis. Moreover,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scabraside D effectively decreased Bcl-2 while increasing Bax and Caspase-3 gene expression levels suggesting that the scabraside D could induce apoptosis in HuCCA cells. In vivo study demonstrated that scabraside D (1 mg/kg/day, i.p. for 21 days) significantly reduced growth of the HuCCA xenografts without adverse effects on the nude mice. Conclusively, scabraside D induced apoptosis in HuCCA cells and reduced the growth of HuCCA xenographs model. Therefore, scabraside D may have potential as a new therapeutic agent for cholangiocarcinoma.

Monoterpenoid Loliolide Regulates Hair Follicle Inductivity of Human Dermal Papilla Cells by Activating the AKT/β-Catenin Signaling Pathway

  • Lee, Yu Rim;Bae, Seunghee;Kim, Ji Yea;Lee, Junwoo;Cho, Dae-Hyun;Kim, Hee-Sik;An, In-Sook;An, Sungk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1호
    • /
    • pp.1830-1840
    • /
    • 2019
  • Loliolide is one of the most ubiquitous monoterpenoid compounds found in algae, and its potential therapeutic effect on various dermatological conditions via agent-induced biological functions, including anti-oxidative and anti-apoptotic properties, was demonstrated.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oliolide on hair growth in dermal papilla (DP) cells, the main components regulating hair growth and loss conditions. For this purpose, we used a three-dimensional (3D) DP spheroid model that mimics the in vivo hair follicle system. Biochemical assays showed that low doses of loliolide increased the viability and size of 3D DP spheroid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is result correlated with increases in expression levels of hair growth-related autocrine factors including VEGF, IGF-1, and KGF. Immunoblotting and luciferase-reporter assays further revealed that loliolide induced AKT phosphorylation, and this effect led to stabilization of β-catenin, which plays a crucial role in the hair-inductive properties of DP cells. Further experiments showed that loliolide in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DP signature genes, ALP, BMP2, VCAN, and HEY1. Furthermore, conditioned media from loliolide-treated DP spheroids significantly enhanced proliferation and the expression of hair growth regulatory genes in keratinocyt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oliolide could function in the hair growth inductivity of DP cells via the AKT/β-catenin signaling path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