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d Population

검색결과 1,602건 처리시간 0.022초

인구균형식을 이용한 어가인구 전망 연구 (A Study on the Prospect of Fishery Household Population with the Population Balancing Equation)

  • 정명생
    • 수산경영론집
    • /
    • 제36권1호
    • /
    • pp.155-166
    • /
    • 2005
  • Since 1980's, fishery household population have been continuously in a down slope with a 5$\%$ annual decreasing rate in Korea. With a particular situation that the scale of over 60s population has been soaring compared with that of under 16 aged population plunging, some difficulties have been raised with the respect of labor supply into fishery communities.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tendency of fisheries population with the change of economic development rates and prospect a future fisheries popula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present decreasing rate. Model results indicate that the tendency of future fishery household population would be decreased by 4.96$\%$ annually through a decade from 2000. Interestingly, it is predicted that the decreasing rate of male fishery household population would be faster than that of female. Consequently, women would hold a greater part in Fishery household population in 2010. In addition, the fishery household population of 40s and 50s would increase from 36$\%$ to 49$\%$, that of over 60s from 21$\%$ to 37$\%$. In conclusion, as a population over 40's encompass almost 90$\%$ in the total population, the fishing communities have a difficulty in shortage of the young workforce.

  • PDF

수도권 고령층 분포지역의 유형화와 유형별 거주 및 고용 특성 분석 (Classification of the Aged Distribution and the Occupational-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박소현;이금숙
    • 지역연구
    • /
    • 제33권3호
    • /
    • pp.79-100
    • /
    • 2017
  • 본 연구는 저성장 시대 인구고령화에 대응하여 고용과 노동의 측면에서 취업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고령층이 노동현장에 필요인력으로 적절히 활용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우리나라 인구구조의 변화와 고령층 취업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고령인구의 분포가 높은 수도권을 대상으로 고령인구의 학력별, 고령취업자의 주요 산업별, 직업별 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한다. 또한 고령층의 거주 및 고용 특성을 바탕으로 지역별 군집화한 후, 고령층 군집지역별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분석결과, 수도권에 분포하는 고령층은 그들의 학력수준과 산업별, 직업별 분포의 유사성에 따라 지역 간 공간적 차이를 보이며 분포하는 양상이 관측되었다. 특히 대졸 이상의 고학력 고령인구와 지식기반 서비스업, 관리 전문직에 종사하는 고령취업자의 밀집지역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공간적으로 분리되었고, 초졸 이하의 저학력 고령인구와 농림어업 및 관련 숙련 직에 종사하는 고령취업자도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분포하였다. 중 저학력의 도시고령층은 주요 산업별 분포에서 비교적 상관성을 보이며 분포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직업분포는 단순노무직에 편중되어 있어 세부 유형으로 구분되지 않았다. 각 지역별 고령층의 학력수준과 종사하고 있는 업종과 직종 분포 및 지역별 고령인력의 구직수요 등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차등화 된 취업알선 및 평생교육 차원의 재교육과 직업훈련 등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고졸 등 중 저학력 고령인구의 직능수준을 고려한 적절한 일자리 제공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공동주택 경로당의 계획적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부천시 중동 소재 아파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nning Improvement of A Hall for the Aged in Apartment Housing -Focusing on apartments of Joong-dong, Bucheon city-)

  • 하승범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5-35
    • /
    • 2009
  • This study is planning improvement of welfare facilities about the hall for the aged in apartment housing. An apartment house, famous residential type in Korea, put an important value on its convenience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furniture arrangement by maximizing floor space index. In this regard, leisure usage of house was not carefully considered for the aged people. To redefine the efficiency of welfare facilities, research mainly deals with analysis of realistic needs for the aged through the spot survey and interview.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quality of welfare facilities and propose the improv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people. Through the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ed First, Facility standard and provisions of the law should be revised for considering population growth of the aged people. Second, there are 4 plan types in the hall for the aged. Contrary to our expectation, diversity of program was not found however various program planning is needed for considering its different types of plan. Third, according to regulation, space restriction is based on the number of households. Therefore, room and space standard does not depend on the number of people. From now on,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welfare facilities of the aged, revision of laws and overall facility standard should be implemented in advance.

  • PDF

중·고령자의 사회활동 참여와 인지기능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y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population)

  • 황종남;권순만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971-98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고령자의 다양한 사회활동 참여가 치매 진단의 1차적 기준이 되는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위해 2006년 고령화 연구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만 45세 이상 중·고령자들의 사회활동 참여와 인지기능 점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사회활동의 유형은 김영범·이승훈(2008)의 연구에서 정의한 종교활동, 여가활동, 공공집단 활동과 연고집단 활동으로 분류하였으며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MMSE-K의 원점수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사회경제수준과 건강수준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만 45세 이상 중·고령자 전체를 분석한 결과 종교활동과 여가활동이 인지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과 성별을 층화하여 중년 남성, 여성집단과 고령 남성, 여성집단으로 분석한 결과 중년 남성집단에서는 여가활동이 유의하였으며 중년 여성에서는 4가지 사회활동이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고령 남성과 여성에서는 종교활동과 여가활동이 모두 인지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령 여성의 공공집단 활동 참여가 인지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년자들의 사회활동 참여보다 고령자의 종교활동과 여가 활동의 참여가 인지기능 장애와 치매예방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노인들이 건전한 여가활동을 누릴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정책과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건강보험 연령별 급여비 추이, 2001-2016 (Trend of Benefit Expenditure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by Age Group, 2001-2016)

  • 문종윤;박은철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2-374
    • /
    • 2017
  • Korea is one of the fastest aging country in the world. The increase in health expenditure is an inevitable problem in an aging country. We examined trend of benefit expenditure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by age group during 2001 to 2016. The benefit expenditure of NHI was 13.0 trillion won (2001) and 48.7 trillion won (2016); that is 3.76 times to 2001. This rapid increase was mostly due to people aged 65 and over. Proportion of beneficiaries aged 65 and over was 6.9% (2001) and 13.7% (2016), benefit expenditure per capita aged 65 and over was 279 thousand won (2001) and 960 thousand won (2016), and utilization days per capita aged 65 and over 21.44 (2001) and 30.23 (2016). This phenomenon was more pronounced in 75 or 85 aged and over. To contain the health costs for older people, the NHI system should be reformed.

수지반응에 의한 중고령자의 동노적응능력 평가 (Evaluation of labor adaptation of middle and old aged by finger reaction)

  • 서승록;이상도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38
    • /
    • 1992
  • The population of aged people in industries has been increased remarkably due to the decline of birth rates and the increase of average life span. Also, the current automation trends makes aged people to work easy in industries since automation technologies help them to avoid physically hard tasks. Therefore the evaluation of aged workers' adaptability would be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the stud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reaction time are calculated to see the differences with four lamps's types and ages. It is found that the mean reaction time and the standard deviation are increased with the the increase of age. The quantitative approach provides an important information to be used not only for the adaptability estimation of aged workers but also for the working capability qualification for re-employment.

  • PDF

농촌지역 인구구조 변화의 방향과 성격 -농촌지역 인구구조 및 외국인 인구 변화추이 전망- (A Review of the Changes on the Population Structure in Rural Area)

  • 김배성;최세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1-307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the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in rural area for the last 45 years, and to forecast mid and long term structure of the population in the near future. Moreover, forecast has been done whether the rapid increase by the inflow of foreigners has any offset on the structural change in rural popul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 rural area is experiencing a rapid decrease in population, a rapid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the aged, and foreigners. To resolve the problematic situation mentioned above, some effective counterplan has to be considered by all agencies concerned.

  • PDF

우리 국민의 총 지방 및 지방산 일상 섭취량 추정 및 평가: 2019 -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단면조사연구 (Estimating and evaluating usual total fat and fatty acid intake in the Korean population using data from the 2019-202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a cross-sectional study)

  • 이경윤;김동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14-422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usual dietary intakes of total fat and fatty acids among the Korean population based on the revised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20 (2020 KDRI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eigh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9-2021). We included 18,895 individuals aged 1 year and above whose 1-day 24-hour dietary recall data were available. To calculate the external variability using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1-day method, data from the U.S. NHANES 2017-March 2020 Pre-pandemic dataset were employed. The total fat and fatty acid intake were evaluated based on the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s (AMDRs) and Adequate intake (AI) of 2020 KDRIs for each sex and age groups. Results: Approximately 86% of the Korean population obtained an adequate amount of energy from total fat consumption (within the AMDRs), indicating an appropriate level of intake. However, the percentage of individuals consuming saturated fatty acids below the AMDR was low, with only 12% among those under 19 years of age and 52% aged 19 years and older. On a positive note, approximately 70% of the population showed adequate consumption of essential fatty acids, exceeding the AI. Nevertheless, monitoring the intake ratio of omega 3 (n-3) to omega 6 (n-6) fatty acids is essential to ensure an optimum balance. Conclusions: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stimating the distribution of nutrient intake in a population by applying the external variability ratio. Therefore, if future KNHANES conduct multiple 24-hour recalls every few years-similar to the U.S. NHANES-even for a subset of participants, this may aid in the accurate assessment of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population.

센서스 데이터를 활용한 고령인구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for the Distribution of Elderly Population by Utilizing the Census Data)

  • 남광우;권일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64-469
    • /
    • 2013
  • 부산광역시는 2000년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이후, 2011년 기준 고령화율이 7대 도시중 가장 높은 11.8%에 이르고 있다. 또한 전체인구 및 평균세대원수가 감소하는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2020년 이후 고령화율이 20%를 상회하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그 동안의 고령층의 주거 관련분석이 동단위로 이루어져 보다 미시적인 분석의 필요성 증가에 따라 2000년부터 2010년 사이에 조사된 센서스 집계 구단위의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고령인구의 밀집지역, 급증지역, 고밀지역등과 같은 관심지역을 1차 추출하여 미시적인 위치와 공간상의 분포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인구는 도심과 그 인접지역인 고지대에 밀집해 있었으며, 특정 집계구의 경우 10년간 증가속도가 30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의 국지적 수준의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부산시 원도심에 고령인구의 편중이 심화되고 있고,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부산의 전반적 분포 패턴에서는 고령인구가 점점 분산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이전의 관련연구 결과와 대치되는 결과로 향후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사회적 비용의 경감과 고령층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공간적 차원의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노인의 건강과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분석 (Socio-Economic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Aged)

  • 김숙희;강혜경;김주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1호
    • /
    • pp.86-101
    • /
    • 2000
  • 노화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이 죽음을 향해서 변화해가는 과정을 포괄적으로 말한 것으로 사람들은 위의 과정을 일생이라 정의하는데, 이를 세분하여 성장, 성숙 또는 유지, 노화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보면 노화는 초기 성장단계로부터 연계되고 또한 노화이전의 결과가 노화로 나타난다고 말 할 수 있다. 올해는 유엔이 정한 노인의 해이다. 과학의 발전과 경제적 조건의 향상으로 전세계적으로 인간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로써 65세 이후의 노인의 비율이 각 나라마다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건강한 노후를 위해 다각적인 배려가 모색되어야 한다. 이런 입장에서 노인의 건강과 영양섭취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적 요인을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한국의 경우, 65세 이상의 노인의 비율이 1997년 현재 전 인구의 6.3%로 다른 OECD국가에 비해 노인인구의 비율은 낮지만 평균 수명의 증가로 점차 그 비율이 높아지고 있어 프랑스, 스웨덴과 같이 노인 인구가 10%를 넘는 고령화 국가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점차로 그에 접근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추세라면 2020년경에는 노인 인구가 아동인구를 앞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노인들은 경제적으로 궁핍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런 경제적인 조건이 노인들의 주관적인 생활 만족도와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가족간의 결속력이 클수록 노인들이 느끼는 주관적 건강 상태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수입, 교육, 직업, 고용상태, 결혼상태, 가족구성원, 성, 어린시절의 조건 등이 노인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수입의 감소는 노인의 사망률을 증가시키며 결혼 한 경우는 결혼하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률이 낮았다. 고용상태와 직업의 경우도 사망률에 영향을 주는데, 고용된 사람의 경우 비고용된 사람의 경우 보다 사망률이 낮았으며 비전문직 종사자보다 전문직 종사자의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어린 시절의 조건은 노인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건강에 대한 관심도에 의해 중재될 수 있는데, 노인의 어린 시절에 발생한 가족간의 불화는 건강에 대한 관심도를 낮추어 그후 노인기 건강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IUGR은 신생아의 크기와 모양의 차이를 가져오며 성인기의 상이한 질병을 유발시키므로 태아기의 성장 손상은 성인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생활방식은 사회경제적 차에 의한 건강 불평등을 야기시키는 한편, 생활방식의 차는 사회경제적 차에 따른 건강 불평등을 다소 완화시킬 수 있다. 생활방식이 양호한 경우 노인의 자가건강 만족도는 증가된다고 한다. 그러나 생활방식에 의한 영향은 사회경제적 요인에 비해 그 영향이 적다고 한다. 한국노인의 영양섭취상태는 권장량에 비해 부족하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수입, 교육, 계층의식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영양섭취량과 식습관, 우울도 등이 영향을 받는다. 또 도시거주노인에 비해 농촌거주노인이, 재가노인에 비해 시설노인의 영양상태가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거주상태에 따라 노인의 건강과 영양상태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노인들과 연관된 사회경제적 요인은 노인의 건강과 영양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들이 영향을 받고 있는 사회경제적 요인의 복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노인의 건강과 영양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