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osol measurement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6초

천리안위성 기상 탑재체의 가시 채널 관측을 이용한 지표면 반사도 산출 - 배경광학두께 보정의 효과 분석 - (Estimation of Surface Reflectance by Utilizing Single Visible Reflectance from COMS Meteorological Imager - Analysis of BAOD correction effect -)

  • 김미진;김준;윤종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27-639
    • /
    • 2014
  • 인공위성의 가시 영역 관측으로부터 에어로솔의 정량적인 정보를 산출하는데 있어, 지표면 반사도의 보정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천리안위성의 기상탑재체로부터 관측된 가시채널의 반사도로부터 지표면 반사도를 산출하고, 상호 비교 하여 정확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최소 반사도법으로, 동일한 화소에서 일정 기간 동안 관측된 반사도 중 최소값이 에어로솔에 의한 영향 없이 지표반사에 의한 영향만을 포함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대기산란 효과를 보정하여 지표면 반사도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미리 알고 있는 에어로솔 정보를 고려하여 대기-에어로솔 효과를 보정함으로써 지표면 반사도를 얻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 대기 보정법 이라 칭한다. 두 번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에어로솔 정보가 요구되므로, 에어로솔 광학두께의 오차범위가 0.01 (${\geq}440nm$) 이내인 것으로 알려진 AERONET의 산출물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최소 반사도법을 통하여 산출되는 지표면 반사도가 어느 정도의 정확도를 가지는지를 파악하는데 있어, 대기 보정법을 통하여 산출되는 값을 기준 값으로 두고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기 중 존재하는 배경광학두께가 최소 반사도법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서울 지역에서 2012년 봄철 기간(3월 ~ 5월)동안 AERONET 관측지점에서 산출된 결과를 분석 한 결과, 대기 보정법을 통해 산출된 지표면 반사도의 평균이 0.108로 나타났고, 배경광학두께에 대한 고려 없이 최소 반사도법을 통하여 산출된 지표면 반사도는 그에 비해 약 0.012 높은 값을 보였다. 한 편 배경광학두께를 고려하였을 경우 그 차이는 0.010으로 감소하여,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GIST/ADEMRC 다파장 라만 라이다 시스템을 이용한 안면도 지역에서의 라이다 비 연구 (Determination of the Lidar Ratio Using the GIST / ADEMRC Multi-wavelength Raman Lidar System at Anmyeon Island)

  • 노영민;김영민;김영준;최병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4
    • /
    • 2006
  • Tropospheric aerosols are highly variant in time and space due to non-uniform source distribution and strong influence of meteorological conditions. Backscatter lidar measurement is useful to understand vertical distribution of aerosol. However, the backscatter lidar equation is undetermined due to its dependence on the two unknowns, extinction and backscattering coefficient. This dependence necessitates the exact value of the ratio between two parameters, that is, the lidar ratio. Also, Iidar ratio itself is useful optical parameter to understand properties of aerosols. Tropospheric aerosols were observed to understand variance of lidar ratio at Anmyeon island ($36.32^{/circ}N$, $126.19^{/circ}E$), Korea using a multi-wavelength raman lidar system developed by the Advanced Environmental Monitoring Research Center (ADEMRC), Gwangju Institute Science and Technology (GIST), Korea during measurement periods; March 15$\sim$April $16^{th}$, 2004 and May 24$\sim$ $8^{th}$ 2005. Extinction coefficient, backscattering coefficient, and lidar ratio were measured at 355 and 532 nm by the Raman method. Different types of aerosol layers were distinguished by the differences in the optical properties such as Angstrom exponent, and lidar ratio. The average value of lidar ratio during two observation periods was found to be $50.85\pm4.88$ sr at 355 nm and $52.43\pm15.15$ sr at 532 nm at 2004 and $57.94\pm10.29$ sr at 355 nm and $82.24\pm15.90$ sr at 532 nm at 2005. We conduct hysplit back-trajectory to know the pathway of airmas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s. We also calculate lidar ratio of different type of aerosol, urban, maritime, dust, continental aerosols using OPAC (Optical Properties of Aerosols and Clouds), Remote sensing of atmospheric aerosol using a multi-wavelengh lidar system with Raman channels is quite and powerful tool to characterize the optical propertises of troposheric aerosols.

실시간 에어로졸 측정장비를 이용한 대기 중 입자상 물질의 무게 농도 분포의 추정 (Estimation of Mass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Aerosols Using Real-Time Aerosol Measuring Instruments)

  • 지준호;배귀남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9-50
    • /
    • 2013
  • SMPS, APS, ELPI는 실시간으로 대기 중 입자상 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측정장비의 특성과 입자 분류 특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없다면, 단순히 장비에 제공된 소프트웨어의 계산 결과를 여과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SMPS, APS, ELPI의 측정 메커니즘을 간단히 정리하였고, 전기적 이동도로 입자를 분리하는 SMPS와 공기역학적 거동을 이용하는 APS를 함께 사용하여 입자의 크기분포를 측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크기분포 측정결과를 이용해서 무게 농도를 환산하는 과정에서 대기 입자의 입경에 따른 밀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였다. 특히, APS 측정결과를 이용하는 경우 무게 농도의 추정 결과가 크게 영향을 받았다. ELPI의 경우 입자 밀도를 정확히 설정하지 않으면 입자의 수 농도에 오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밀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했다. 반면에 ELPI로 대기 중입자상 물질의 무게 농도를 추정하는 경우 밀도가 실제와 다르게 설정되더라도 공기역학적 입경으로 나타내면 총 무게 농도는 수 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었다. 향후 SMPS와 APS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크기 분포 변화와 연간 수 농도와 무게 농도의 변화 추이를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국내 대기 중입자의 입경에 따른 평균 밀도 혹은 유효 밀도를 측정하여 크기분포와 총 수 농도 혹은 PM2.5나 PM1에 해당하는 무게 농도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데이터 환산 프로그램의 개발도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로 시간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대기 입자의 오염원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는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주도 고산의 입자특성: 1992-2001년 측정결과 요약 (Aeroso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at Kosan, Jeju: Measurement Data between 1992 and 2001)

  • 박민하;김용표;강창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5-86
    • /
    • 2002
  • 제주도 고산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배경농도지역으로 동북아시아에서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이동 특성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지역이다. 이 발표에서는 1992년부터 2001년까지 고산에서 측정한 입자상 무기이온 성분의 농도를 통하여 입자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인자분석을 통한 대기 입자상 물질의 입경별 발생원 추정-Drum impactor를 이용한 2002년 5월 제주도 고산지역 측정을 중심으로 (Size-segregated Sources of Aerosol Estimated by Factor Analysis-For the Measurement using Drum Impactor at Gosan, Jeju Island in May 2002)

  • 한진석;문광주;공부주;류성윤;김영준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85-695
    • /
    • 2004
  • Size-segregated measurements of aerosol composition are used to estimate the transport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aerosols at Gosan site during May 2002. The results of measurement show that not only soil dust but also anthropogenic aerosols, including sulfur and enriched trace metals such as Pb, Zn, Cu, are transported to Gosan. This study combines the size- and time-resolved aerosol composition measurements with factor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some source materials. As a result, coarse particles (2.5${\mu}m$~12${\mu}m$) are influenced by soil, sea-salt, coal, coal combustion, and nonferrous sources. But fine particles have different sources. The fine particles, which the diameter is from 0.56${\mu}m$ to 2.5${\mu}m$, are more affected by road dust, oil combustion, industry. municipal incineration, and ferrous metal sources. The very fine particles, from 0.09${\mu}m$ to 0.56${\mu}m$, mainly supplied by biomass burning, oil combustion, nonferrous and ferrous metal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