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obic Exercise Program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3초

유산소 운동과 부추섭취가 혈중지질,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and Allium Tuberosum Intake on Blood Lipids, MDA and Antioxidant Enzyme in Rats)

  • 백영호;이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5-252
    • /
    • 2010
  • 실험동물은 생후 4주령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 30마리로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6마리), 유산소운동군(6마리), 부추섭취군(6마리), 대조군(6마리)으로 총 24마리로 구분하였다. 운동은 총 2주간 트레드밀로 실시하였으며, 유산소 운동은 주5회, 1일 25~30분 실시하였다. 부추는 5%를 첨가한 사료를 섭취시킨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혈중지질에서 TC와 TG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DL-C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 유산소운동군,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LDL-C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 보다 낮았다. MDA는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낮았다. 항산화 효소에서 SOD의 활성도는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CAT의 활성도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낮은 강도의 유산소 운동과 천연 항산화제인 부추섭취는 지질과산화물을 낮춤으로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부추섭취와 관련하여 운동강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for Improving the Health of the Elderly)

  • 백순기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2호
    • /
    • pp.75-81
    • /
    • 2023
  • 본 연구는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에 있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운동군 10명과 통제군 10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처치프로그램은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으로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을 주 3회 60일간 실시하였다. 운동 참여 전에 혈중지질과 염증지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종료하면서 혈중지질과 염증지표 검사를 재 실시하였다. 검사결과는 SPSS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초통계와 집단간의 처치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기본으로 이와 같은 결과 및 결론을 얻었다. 첫째,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은 운동군과 통제군의 혈중지질에서 TC, LDL, TG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처치프로그램에 대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둘째,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은 운동군과 통제군의 염증지표에서 IL-6, TNF-a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처치프로그램 대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트레드밀 운동 시 호흡 저항 마스크가 호흡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piratory Resistance Mask on Respiratory Function during Treadmill Exercise )

  • 강종호;박태성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1-57
    • /
    • 2023
  • PURPOSE: Recently, the proportion of respiratory diseases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and deaths from respiratory diseases in Korea are increasing. Maintaining a healthy respiratory function is a crucial factor in preventing respiratory diseases. There are various ways to improve respiratory function, such as respiratory muscle and aerobic exercises. In other countries, respiratory muscle exercise is performed using a respiratory resistance mask, but such research is insufficient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respiratory exercise program using a respiratory resistance mask.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healthy adults in their 20s into a treadmill exercise + respiratory resistance mask group and a treadmill exercise group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changes in the subject's physical function before and after exercise were confirmed by cardiopulmonary exercise and pulmonary function tes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creased their physical function significantly (p < .05).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crease rate according to the group was confirmed, the increase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spiratory exercise program using respiratory exercise tools such as a respiratory resistance mask and provide it easily to various subjects.

복싱에어로빅 운동이 안정 시 심박수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oxing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Heart Rate Variability in Rest)

  • 곽이섭;김은영;심영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71-276
    • /
    • 2009
  •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에게 복싱에어로빅 운동 후, 그 운동이 심박수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운동전 측정과 3개월 복싱에어로빅 운동 후 측정, 두 차례에 의하여 검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심박수변이도의 결과 Mean HRT는 집단 및 시간, 집단과 시간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심박수변이도의 결과 SDNN은 집단 및 시간, 집단과 시간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심박수변이도의 결과 RMSSD는 집단 및 시간, 집단과 시간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심박수변이도의 결과 TP는 집단 및 시간, 집단과 시간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심박수변이도의 결과 LF는 집단 및 시간, 집단과 시간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6) 심박수변이도의 결과 HF는 집단 및 시간, 집단과 시간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7) 심박수변이도의 결과 LF/HF는 집단 및 시간, 집단과 시간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8) 심박수변이도의 결과 VLF는 집단 및 시간, 집단과 시 간간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을 종합할 때 심박수변이도는 환경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심박수변이도가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하기 규명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동일한 집단을 더욱 세분화시키고 연령대와 성별, 운동형태 등에 따른 보다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유산소운동과 생활양식 프로그램 병행이 비만 여자청소년의 비만유래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erobic Exercise Plus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on Obese-Induced Metabolic Syndrome in Obese Adolescent Girls)

  • 박찬호;박태곤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8-205
    • /
    • 2009
  • 본 연구는 비만 여자중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 유산소운동군(AEG), 유산소운동과 생활양식수정 병행 실시군(ALG), 대조군(CG)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 연구대상자 전체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48.1%로 나타났으나, 프로그램 실시 후 AEG, ALG에서 각각 33.3, 27.8%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개선되었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는 AEG와 ALG에서 허리둘레, TG, 혈당 및 수축기혈압이 CG보다 더 개선되었다. 그러나 HDL-C와 이완기혈압의 변화는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대사증후군의 모든 항목의 변화에서 AEG와 ALG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유산소운동과 생활양식수정 병행 실시군의 이 같은 긍정적인 변화는 생활양식수정 실시의 추가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으로 유산소운동의 단독효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에어로빅복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동작 적합성 평가 (An Evaluation of Aerobic Exercise Wear Mobility as a Basic Criterion for Universal Design)

  • 손주희;최정화;강태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43-350
    • /
    • 2007
  • This study compared and studied the clothing mobility of two types of aerobic clothes - those made of currently popular stretch materials and those made of new stretch materials that were specially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focus of the comparison was on the range of joint movement during activity, and the physiological burden imposed on the body by the clothes. In total, 18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controlled conditions in an artificial climatic chamber with a temperature of $25{\pm}1^{\circ}C$, air humidity of $60{\pm}5^{\circ}C$ and negligible air movement. Each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a 30-minute of aerobic workout and a 20-minute rest following the exercise. Measurements were taken to determine the following: physiological reactions (whole-body and local sweat rates), subjective sensations(of temperature, humidity, comfort, tightness, and clothing wetness), joint angle(measured with a goniometer), and so on. The results of the study us as follows: Material B excels in clothing mobility. Material C excels in sweat absorbency and drying speed. Material A was found to be the hottest material, while material C was found to be slightly ho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nge in pre- and post-exercise bodyweight(= amount of sweat). Regarding the amount of evaporated sweat, material A>material C>material B. Material B produced the smallest amount of evaporated sweat. The wider the range of joint movement, the smaller the amount of sweat and the lower the average skin temperature.

스텝박스와 탄력밴드를 이용한 하지근력강화운동이 지역사회 노인의 균형능력과 하지근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 with Step Box and Elastic Band on Balance Ability and Lower Extremity Muscular Strength in Community-living Elderly Individuals)

  • 김두섭;최임순;김선엽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21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examined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using a step box and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 with an elastic band on the balance ability and lower extremity muscular strength in elderly subjects. METHODS: Forty-one healthy adul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1 (Exp 1, n=14), experimental group 2 (Exp 2, n=14), and a control group (n=13). The Exp 1 conducted lower limb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an elastic band and the Exp 2 performed aerobic exercise with a step box 50 minutes per day, twice per week, for eight weeks.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 1 and Exp 2 in comparison of the change of lower limb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measurement time (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intervention methods. In one-leg standing test change among the three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 1 and Exp 2 saw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intervention methods. The change of the functional reaching test results, the Exp 1 and Exp 2 saw significant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time of measurement. In the change of the Timed Up and Go test,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 1 and Exp 2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intervention methods. CONCLUSION: Exercise to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program accompanied with aerobic exercise is considered more effective in dynamical balance and ability to walk.

혈류제한 유산소운동 프로그램의 웰니스를 위한 효과검정 - 근활성도와 운동신경원을 중심으로 - (Effect for Wellness of Blood Flow Restriction Aerobic Exercise Program - Focusing on Mscle Ativity and Mtor Nurons -)

  • 정대근;강정일;장준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25-233
    • /
    • 2021
  • 본 연구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건강을 위한 유산소 능력과 관계가 깊은 하지에 혈류제한 유산소 훈련을 시행함으로써 하지 근활성도와 운동신경원을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여 효과적인 혈류제한 운동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압력 정도가 140 mmHg으로 혈류제한하여 트레드밀 위에서 유산소 운동을 적용한 집단 10명을 실험군I, 트레드밀 위에서 유산소 운동만 적용한 집단을 11명을 대조군으로 각각 무작위 배치한 후, 트레드밀에서 4주간, 주 3회, 1일 1회, 1회 30분간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중재 전 표면근전도를 활용하여 근활성도와 운동신경원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실험군I의 집단 내 전후 비교에서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및 장딴지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대조군의 집단 내 전후 비교에서는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및 장딴지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집단 간 변화 비교에서는 넙다리곧은근의 활성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하지 혈류제한과 병행하여 유산소운동을 접목하는 것은 엘리트선수 육성과 관절이 약한 노인 등 재활 트레이닝에 기능적인 활동을 회복시킬 수 있는 부상방지 운동프로그램 등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정상인이 아닌 대상의 영역을 확대하고, 압력강도에 따른 다각적인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방암 환자의 운동치료 효과에 대한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f Exercise Therapy Effect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 김인섭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9-58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therapies for breast cancer patients through review analysis of the rehabilitation they had usually receiv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ir lives. Exercise therapy for breast cancer patients has proven to be highly effective, so it is strongly recommended. Method : Focusing on breast cancer-relat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since 1990, an analysis using the Spolit and Medline search engines was undertaken of breast krebs, tumors, cancer, sportaktivitaet, and exercis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Exercise for breast cancer patients has been consider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fatigue, muscle weakness, and the range of motion of upper extremities, as well as on depression. Breast cancer patients have to be divided according to their identifying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n have to be prescribed a suitable exercise program. In accordance with previous articles, a varied exercise program was organized in terms of frequency, duration, and intensity. The frequency was more than three times per week. Its duration was about 30 minutes per session. Result : The intensity of exercise was moderate. The types of exercises included recommended strengthening exercises, as well as various aerobic exercises. Based on previous data, a new exercise method for breast cancer patients was introduced in this study. Conclusion : Above all, exercise programs should be plann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order to reduce physical impairments and psychological problems.

트위스트 운동 시 성별에 따른 심박수와 에너지 소모량의 비교 (The Comparison of Heart Rate and Energy Expenditure between Male and Female During Twist Exercise)

  • 전병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243-252
    • /
    • 2015
  • The present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xercise for weight control, compares the difference of the heart rate and energy expenditure by sex during Twist exercise. Twenty eight adults (male 14, female 14) were carried out Twist exercise for 7 minutes and 14 minutes. During performing the exercise program, to perform HR and related variables were measured for 7 minutes and 14 minutes. Through a twist exercise treatment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Females had slightly higher,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number of heart beat, minimum heart rate, maximum heart rate, and average heart rate than male had for both 7 minutes and 14 minutes of Twist exercise. 2. In the case of energy consumption, significant differences did not appear until 7 minutes to perform Twist exercise. On the other hand, the energy consumption for 14 minutes of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than in female (p<.05). However, energy expenditure for the period per minute per unit weight (kcal/min/kg) showed no difference. 3. If more than 30 minutes duration were preformed the Twist exercise, males were expected to consume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s (p<.05). To consume calories for the 10,000 step walk of, it would be required about 76 minutes for Twist exercise time without distinction of sex. Through the above findings, twist exercise is a form of aerobic exercise for obesity prevention and weight control, as well as it might be beneficial to practice and maintain the health and physical fitness with offering a variety of exercise opportunities in the 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