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ation Basi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9초

활성슬러지 하수처리장에서의 Filamentous Bulking의 원인규명을 위한 조사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Causes of Filamentous Bulking at the Southerly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Columbus, Ohio)

  • 고광백;로버트 엠 싸?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77-87
    • /
    • 1987
  • 미국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시에 소재한 하수처리장(an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treatment plant: 일 평균 처리 용량은 46.4 MGD)을 대상으로 filamentous bulking(Schizothrix calcicola)의 원인규명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수관거 및 하수처리장내에서의 실제 운영조건을 실험실에서 재현하기 위하여 주정폐수와 하수의 혼합액을 산화시키기 위한 산화조와 활성슬러지 처리조를 설치하여 산화조에서의 유출수를 활성슬러지 처리조에 유입수로 투입하였다. 실험결과로 sludge bulking의 주원인은 하수 관거내에서 혐기성으로 산화되어 유입원 주정폐수와 낮은 용존산소임이 밝혀졌다. 아울러 본 연구대상 하수처리장의 일차침전지에서 대량으로 검출된 volatile fatty acids는 sludge bulking의 지표일 뿐 유일한 원인이 아니며 주원인은 낮은 용존산소하에서 정상적인 슬러지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혹은 filamentous microorganisms의 과대성장을 촉진시키나 아직은 그 실체가 규명되지 않은 유기물이라고 사료된다.

  • PDF

생활악취 배출원의 악취 배출 특성 연구: 하수처리장을 중심으로 (Odorous Emissions from Household-related Sources: A Case Study on a Sewage Treatment Plant)

  • 전의찬;사재환;김선태;홍지형;김기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7-351
    • /
    • 2006
  • In this study, to describ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strong odorous sources, the emissions of odorous compounds from a large-scale sewage treatment plant in K city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emission patterns of major odorous compounds were distinguished clearly by several factors such as treatment processing types, chemical compositions of odors released, and temporal changes (e.g., seasonal varia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emission rates of odorous compounds were quantified using a dynamic flux chamber (DFC) method from three major treatment (T) processes including T1 (Grit sedimentation basin), T2 (Aeration tank), and T3 (Final sedimentation). When the relative strengths of each emission source were compared, the strongest one was seen from T1 with the maximum of $NH_{3}\;(34.5\;{\mu}g/m^{2}/min)$ followed by $H_{2}S\;(20.4\;{\mu}g/m^{2}/min)($. While the strongest emissions of most odorous compounds were seen commonly from T1, those seen from T2 and T3 were significantly reduced relative to the ones found in T1. Considering the general patterns of odorous emission, it is concluded that control of odors from T1 unit is most important because of its considerably high emission strengths.

활성오니에서 발견된 사상세균, 원생동물 및 후생동물의 유형과 우점도 분석 (Types and Abundance of Filamentous Bacteria, Protozoa and Metazoa in Activated Sludge)

  • 정재춘;김남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5-371
    • /
    • 1995
  • 슬러지 팽화의 원인이 되며 활성오니 공정운영상의 지표생물이 되는 사상세균과 원생동물을 동정하기 위하여 도시하수 활성오니 처리장 6개소와 산업폐수활성오니 처리장 5개소의 폭기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현미경 경검법과 일부 생리학적 방법을 써서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가장 많이 출현하였던 사상세균은 Microthrix parvicella이었으며 다음이 type 0041, type 1701, Nocardia의 순이었다. 비록 시료수는 적었지만 이러한 출현빈도는 미국과 네덜란드에서 조사된 것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사상세균의 형태는 이전의 문헌에서 보고된 것과 대체로 일치하였는데 type 1701의 경우에는 전형적인 형태에 비해 사상체(filament)의 직경이 약간 가늘었다. 이러한 사상세균들은 낮은 유기물부하 또는 낮은 DO와 관계가 있는 것들이었으므로 더 많은 조사가 이루어지면 지표생물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원생동물에 있어서는 Voricella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이 Aspidisca, Opercularia, Diffugia의 순이었다. 후생동물에 있어서는 Philodina가 유일하게 출현한 속이었다. 이러한 속들은 활성오니성 미생물로서 처리상황이 좋을때 우점적으로 나타나는 미생물이라고 알려져 있으므로 처리수의 수질과 관련하여 유추해 볼때 상당한 타당성이 인정되었다.

  • PDF

지하수에 대한 소고 (A Note on Under ground water)

  • 최귀열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55-1063
    • /
    • 1966
  • Ground water hydrology may be defined as the science of the occnrrence, distribution, and movement of water below the surface of the earth. Geohydrology has an identical connotation, and hydrogeology differs only by its greater emphasis on geology. Ground water referred to with out further specification is commonly understood to mean water occupying all the voids with in a geologic stratum. This saturated zone is tobe distinguished from an unsaturated, or aeration zone where voids are filled \yith water and air. Water contained in saturate:! zones is important for engineering works, geologic studies, and water supply developements Conseqently, the occurrence of water in these zones will be emphasized here. Un-saturated zones are usualiy found above saturated zones and extending upward to the ground surface. Because this water includes soil moisture with in the root zone, it is a major concern of agricultlre, botmy and soil science. No rigid demarcation of waters, between the two zones is possible, for they possess an iriterdependent boundary and water can move from zone to zone in either science, including eology, hydrology,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are concerned with earths water, but ground water hydrology may be regarded as a specialized science combining elements of geology, hydrology, and fluid mechanics. Geology governs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ground water, hydrology determines the supply of water to the ground, and fluid mechanics explains its movement. To provide maximum development of grofnd water resources. for benefical use requires thinking in terms of an entire ground water basin. In order to inorease the natural supply of ground water, man has attempted to artifially recharge ground water basins. Coastal aquifers come in contact with the ocean at seawater of the coastline. Fresh ground water is discharged in to the ocean. the seaward flow of ground water has been decreased or even reversed, Sea water penettating in land in aquifer.

  • PDF

하수처리를 위한 막결합형 $A_2O$공정에서 최적 내부 순환율 및 MLSS 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cal Internal Recycle Rate and MLSS Concentration of Membrane Coupled $A_2O$ Process for Wastewater Treatment)

  • 김관엽;김진모;김형수;이상백;박유진;배성수
    • 멤브레인
    • /
    • 제15권2호
    • /
    • pp.114-12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하수처리를 위한 막결합형 $A_2O$공정에 관해 실제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공경 $0.25\;{\mu}m$의 평판형 정밀여과막을 공기가 주입되는 호기조에 침지시켜 처리수는 저압으로 여과된다. 인공폐수를 대상으로 최적의 처리수질과 장기운전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내부반송율과 MLSS 농도 등의 최적 운전인자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내부반송은 각각 호기조에서 무산조로 반송한 것을 type 1, 무산조에서 혐기조로 반송한 것을 type 2라고 규정지었다. 플럭스는 15 LMH, type 1을 2Q로 고정하고 실험하였을 때 최적의 운전 조건은 MLSS 농도는 11,000 mg/L, type 2가 IQ로 나타났다. 이때, BOD $COD_{cr}$, T-N, T-P의 제거율이 각각 $97.3\%,\;94.2\%,\;64.0\%,\;63.0\%$로 타 내부반송율보다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