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anced stomach cancer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9초

위암 환자에서 국가암검진의 효과 (Effect of Gastric Cancer Screening o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 조용석;이상훈;소현주;김동욱;최윤정;전한호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102-108
    • /
    • 2020
  •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에서는 위암 검진을 수행하고 있으며, 조기위암의 비중이 증가되고 있으나, 위암 검진 지침에 따른 구체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많은 보고는 없다. 이에 최근 위암 검진의 현황과 조기위암과 진행성 위암의 년도별 발생률 변화의 추이 등 여러 검진관련 자료 분석을 통한 국가 위암 검진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위암, 조기위암, 진행성 위암 그리고 그 외로 청구된 이력들을 조사하였다. KCD-6 코드가 2011년부터 적용되었으며, 질병청구 시 상병 코드가 KCD-6로 개정되면서 위암을 조기위암과 진행성 위암으로 코드를 세분화하였다. 국가건강검진에서 40세 이상 대상자에 대해 2년에 한 번씩 시행되는 위암 검사에 대한 효율성 평가를 위해 위암으로 등록되기 이전에 검진 경험 유, 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또한 위암 검진의 효과에 대해 성별로 구분지어 분석하였다. 결과: 2009-2015년 위암으로 등록된 환자 중 이전에 위암 검진 경험이 있었던 대상자가 전체 위암 대상자 중 74%로 검진 무경험자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그 중 검진 이후 1년 이내에 위암으로 진단된 사람이 28.8%, 2년 이내 15.5%를 차지하였다. 암 진단 당시에 위암 진행 정도를 확인해 본 결과 검진 이후 1년 이내 발생한 경우, 조기위암은 21.1%, 진행성 위암 14.6% 로 나타났고, 검진 이후 2년 이내 조기위암은 31.5%, 진행성 위암 17.5%로 나타났다. 검진 무경험자들의 암 유형별 발생 현황을 보면 같은 기간 검진 경험자에 비해 조기위암은 15.1%, 진행성 위암은 25.3%로 진행성 위암의 비율이 높았다.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남자의 경우 검진을 통해 암 발생을 확인한 경우가 76% 여자의 경우 암 발생을 확인한 경우가 70.2%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에서 검진 경험자가 검진 무경험자에 비해 조기위암으로 진단되는 비율이 높았다. 결론: 최근 위암 국가검진 자료가 포함된 이번 분석을 통하여 위암 검진의 병기 이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2년 이내 위암 검진 음성인 군에서 양성으로 진단된 환자가 상대적으로 적지 않았다. 따라서 위암 검진의 효과와 위해를 평가하고, 위암 검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더 많은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At Which Stage of Gastric Cancer Progression Do Levels of Carcinoembryonic Antigen and Carbohydrate Antigen 19-9 Increase? Applica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Treatment

  • Han, Eui Soo;Lee, Han Hong;Lee, Jun Suh;Song, Kyo Young;Park, Cho Hyun;Jeon, Hae Myu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4권2호
    • /
    • pp.123-128
    • /
    • 2014
  • Purpose: Since there are no proven tumor markers that reflect the course of gastric cancer,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and carbohydrate antigen 19-9 (CA19-9) are commonly used alternatives. However, the degree of progression that corresponds to an increase in these markers, and the values of these markers at different cancer stages, remains unclear.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nrolled 1,733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and whose pre-operative CEA and CA19-9 levels were known. Survival curves and mean values of the two marker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ancer progression: serosa-unexposed (SU), serosa-exposed (SE), direct invasion (DI), localized seeding (P1), and extensive seeding (P2). Results: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s at each stage differed significantly, except between DI and P1 patients (17.1% vs. 10.5%, P=0.344). The mean CEA values in SU, SE, DI, P1, and P2 patients were 5.80, 5.48, 13.36, 8.06, and 22.82, respectively. The CA19-9 values for these patients were 49.40, 38.97, 101.67, 73.77, and 98.57, respectively. The increase in CEA in P2 pati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2), and the increases in CA19-9 in DI and P2 patients were significant (P=0.025, 0.007, respectively). There was a fair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arkers in P2 patients (r=0.494, P<0.001). Conclusions: CA19-9 can be used to assess DI of gastric cancer into adjacent organs. Both markers are useful for predicting the presence of extensive peritoneal seeding.

위암의 재발양상에 따른 혈관내피성장인자의 발현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Correlated with Recurrence in Gastric Carcinomas)

  • 성기영;박일영;이도상;김욱;백종민;신동준;원종만;이재학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권4호
    • /
    • pp.195-199
    • /
    • 2002
  • Purpose: Angiogenesis is essential for tumor growth and metastasis and depends on the production of angiogenic factors that are secreted by tumor cell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the most significant angiogenic factor and a selective mitogen for endothelial cells. VEGF, also known as the vascular permeability factor, acts on endothelial cells to increase microvascular permeability and directly stimulate the growth of new blood vessels.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expression of VEGF is correlated with hematogenous recurrence via angiogenesis in gastric carcinomas. This research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of VEGF and hepatic and peritoneal recurrence in gastric 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specimens resected from patients with primary gastric carcinomas who had undergone curative resec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 Group I, early gastric carcinomas without recurrence; Group II, advanced gastric carcinomas with hepatic recurrence; and Group III, advanced gastric carcinomas with peritoneal recurrence. The expression of VEGF and the density of the microvessel count were examin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1) The expression of VEGF in Group II and Group III ($63.2\pm\24.3\%$) was stronger than that in Group I ($7\pm\4.2\%$). The expression of VEGF in Group II ($76.5\pm\13.2\%$)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Group III ($50\pm\14.2\%$) (P<0.05). 2) The microvessel count in Group II ($49.9\pm14.5$) was more than that in Group I ($8.6\pm2.6$) and Group III ($29.1\pm18.1$) (P<0.05). 3) The microvessel coun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VEGF. Conclusions: The expression of VEGF is associated with advanced stomach cancer and hepatic recurrence has a higher expression of VEGF than peritoneal recurrence with neovascularization. Thus the expression of VEGF can be considered to be a useful indicator of recurrence in gastric carcinoma and especially in hepatic recurrence.

  • PDF

진행성 위암에서 종양 연관성 대식세포, 비만세포, 가지세포의 침윤과 임상-병리학적 인자와의 연관성 (Correlation between Infiltrations of Tumor-associated Macrophages, Mast Cells, and Dendritic Cells with Clinicopathologic Factors in Advanced Gastric Cancer)

  • 이승범;지경천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3호
    • /
    • pp.206-212
    • /
    • 2005
  • 목적: 신생혈관형성은 암의 증식, 침습, 전이에 있어 중요한 과정이며 위선암에서 대식세포, 비만세포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를 통한 신생혈관형성 작용을 보이고 가지세포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에 의해 기능이 억제된다. 이들 세포의 조직 침습이 조직병리 및 임상예후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진행성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79명을 대상으로 하여 파라핀 포매 조직을 이용하여 대식세포, 비만세포, 가지세포 및 미세혈관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고, 이들의 발현과 임상병기 및 생존율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식세포의 수는 분화도가 낮을수록, 조직침습이 깊을수록, 림프절전이가 많을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미세혈관 밀도 및 생존기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비만세포와 가지세포의 침윤정도는 조직병리 및 생존율과의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종양연관성 대식세포가 위암환자에 있어 예후인자로 가치를 가질 수 있을 것 인지와 대식세포의 침습부위에 따른 임상적 관련성에 대해 좀 더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술과 항암요법으로 치료한 국소 진행된 위함 환자에서의 치료실패 양상분석 : 수술후 방사선 치료의 역할에 대한 연구 (The Analysis of Failure Pattern in Locally Advanced Stomach Cancer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 Chemotherapy: To Explore The Role of Post-Op Irradiation)

  • 최은경;장혜숙;서처원;이규형;이정신;김상희;;김명환;민영열;김진천;이승규;박건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49-252
    • /
    • 1991
  • 수수로가 항암요법만으로 치료한 국소 진행된 위암환자에서 치료실패의 양상을 분석해봄으로써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89년 6월부터 1990년 8월까지 치료받은 10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제2기 ($T_2N_1,\;T_3N_0$)환자는 20이었으며 제3기 ($T_3N_1,\;T_3N_2$(환자는 87명이었다 16명은 수술후 추적이 어려워 91명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았고 이중 57명은 수술후 항암요법을 시행하고 24명은 계속적 추적 관찰만을 하였다. 국소재발율은 항암 요법 시행군에서는 $321\%$, 추적관찰군에서는 $24\%$로 차이가 없었고 원격전이는 항암요법 시행군에서는 $12\%$ 추적관찰군에서는 $26\%$로 항앙요법 시행군에서 원격 전이가 적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국소 재발환자의 $52\%$는 anastomosis site에서 재발하였고 원격 전이시 가장 많이 침범되는 장기는 간이었다. 아직 추적 관찰 기간이 짧으나 수술후 방사선 치료가 최소한 $20\%$이상의 환자에서 도움이 될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위 점막암에 동반된 간전이 1예 (Early Gastric Mucosal Cancer Associated with Synchronous Liver Metastasis)

  • 봉성준;전경화;진형민;조현민;원용성;박우배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4호
    • /
    • pp.277-281
    • /
    • 2004
  • 조기위암은 림프절 전이에 상관없이 위점막이나 점막하층까지 암이 국한된 것으로 정의된다. 진행성 위암에 동반된 간전이율은 $5\~12\%$이나 조기위암에 동반된 간전이는 드물다. 64세 여자 환자나 상복부 통증을 주소로 성빈센트 병원에 내원하여 시행한 위내시경 검사에서 위전정부에 폴립형 종괴가 있었으나 간전이 소견은 없었다. 수술 시 간에 단일 전이가 발견되었으며, 2군 림프절을 포함하여 원위부 아전절제술과 전이된 간이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에서 위전정부의 종괴는 선종의 일부에 선암성 변화가 있었고 이는 위점막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절제된 간은 선암의 소견을 보였다. 저자들은 조기위암에 동반된 간전이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ffect of Early Adjuvant Chemotherapy on Survival of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a Propensity Score-matched Analysis

  • Lee, Yoontaek;Min, Sa-Hong;Park, Ki Bum;Park, Young Suk;Kim, Ji-Won;Ahn, Sang-Hoon;Kim, Jin Won;Park, Do Joong;Lee, Keun-Wook;Kim, Hyung-H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8권1호
    • /
    • pp.58-68
    • /
    • 2018
  • Purpose: Generally, adjuvant chemotherapy (AC) should be initiated as soon as possible after surgery to eradicate microscopic cancer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arly AC on the survival of stage II/III gastric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our hundred sixty patients who received AC (S-1 or XELOX) for pathologic stage II/III gastric canc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14 were includ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early AC administration (within 4 weeks) and late AC administration (more than 4 weeks). Patients in the early AC group (n=174) were matched 1:1 with patients in the late AC group (n=174) by propensity scoring to adjust for clinical differences. Three-year relapse-free survival (RF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timing of AC. Results: Three-year RFS was 98.1% in stage IIA (n=109), 85.0% in stage IIB (n=83), 87.4% in stage IIIA (n=96), 83.5% in stage IIIB (n=91), and 62.5% in stage IIIC (n=81).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RFS was similar between early and late AC groups (hazard ratio [HR],1.04; 95% confidence interval [CI], 0.62-1.74; P=0.889). Pathologic stage and histological type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of RFS (HR, 2.05; 95% CI, 1.06-3.96; P=0.033 and HR, 2.61; 95% CI, 1.42-4.80; P=0.002, respectively). Conclusions: Early initiation of AC within 4 weeks does not affect survival rates in stage II/III gastric cancer.

Retinoid Receptors in Gastric Cancer: Expression and Influence on Prognosis

  • Hu, Kong-Wang;Chen, Fei-Hu;Ge, Jin-Fang;Cao, Li-Yu;Li, Ha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1809-1817
    • /
    • 2012
  • Background: Gastric cancer is frequently lethal despite aggressive multimodal therapies, and new treatment approaches are therefore needed. Retinoids are potential candidate drugs: they prevent cell differentiation, proliferation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in gastric cancer cell lines. They interact with nuclear retinoid receptors (the retinoic acid receptors [RARs] and retinoid X receptors [RXRs]), which function as transcription factors, each with three subclasses, ${\alpha}$, ${\beta}$ and ${\gamma}$. At present, little is known about retinoid expression and influence on prognosis in gastric cancers. Patient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expression of the subtypes RARa, $RAR{\beta}$, $RAR{\gamma}$, RXRa, $RXR{\beta}$, $RXR{\gamma}$ by immunohistochemistry in 147 gastric cancers and 51 normal gastric epithelium tissues for whom clinical follow-up data were available and correlated the results with clin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e quantified the expression of retinoid receptor mRNA using real-time PCR (RT-PCR) in another 6 gastric adenocarcinoma and 3 normal gastric tissues. From 2008 to 2010, 80 patients with gastric cancers were enrolled onto therapy with all-trans-retinoic acid (ATRA). Results: RARa, $RAR{\beta}$, $RAR{\gamma}$ and $RXR{\gamma}$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p < 0.001) and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in the carcinoma tissue sections (p < 0.01), with lower $RAR{\beta}$, $RAR{\gamma}$ and RXRa expression significantly related to advanced stages (p < =0.01). Tumors with poor histopathologic grade had lower levels of RARa and $RAR{\beta}$ in different histological types of gastric carcinoma (p < 0.01). Patients whose tumors exhibited low levels of RARa expression had significantly lower overall survival compared with patients who had higher expression levels of this receptor (p < 0.001, HR=0.42, 95.0% CI 0.24-0.73), and patients undergoing ATRA treatment had significantly longer median survival times (p = 0.007, HR=0.41, 95.0% CI 0.21-0.80). Conclusions: Retinoic acid receptors are frequently expressed in epithelial gastric cancer with a decreased tendency of expression and RARa may be an indicator of a positive prognosis. This study provides a molecular basis for the therapeutic use of retinoids against gastric cancer.

컴퓨터 컬러 영상을 이용한 위암 자동검출 알고리즘 (Using a computer color image automatic detection algorithm for gastric cancer)

  • 한현지;김영목;이기영;이상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250-257
    • /
    • 2011
  • 본 연구는 발생률 2위에 머무르고 있는 위암의 자동검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증상이 진행된 염증과 암은 비교적 쉽게 판단 가능하지만 초기의 경우 주의 깊게 보지 않는 이상 병변의 진단이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진행 중인 위암 뿐 아니라 조기 진단에 효과적인 자동검출 알고리즘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연구엔 정상인의 위,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 환자의 내시경 영상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우선 연구에 사용될 각각의 내시경 영상에 표면 음영 기법의 유무를 결정한다. 기본영상에 표면 음영 기법을 넣거나 제거함으로써 종양의 유무를 색으로 쉽게 판별가능하게 한다. 이 때 각각의 수치 값은 동일하게 유지한다. 표면 음영의 제거, 추가는 각자의 기호에 달렸으나 연구에서는 음영을 넣은 것으로 진행한다. 두 번째, 표면 음영을 추가한 영상에 침식 필터를 거쳐 잡음을 제거하여 진찰에 유의하게 한다. 세 번째, 표면 음영을 추가한 영상에 특정 부위의 선 윤곽 그래프 검출하여 증상 정도에 따른 RED 값을 추출한다. 네번째, 각 환자의 내시경 영상을 세분화 그래프로 나타내 RED 그래프 값을 포함한 후 색을 반전시켜 종양의 위치를 붉게 표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함으로써 위암 뿐 아니라 나아가 타 암과 염증의 진단에도 도움이 되고자 했다.

복강신경총 차단후 하지마비 -증례 보고- (Paraplegia Following Celiac Plexus Block -A case report-)

  • 나애자;문동언;서재현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6권1호
    • /
    • pp.129-132
    • /
    • 1993
  • Paraplegia complicating a block of the celiac plexus with alcohol for recurrent stomach cancer is described. A 33 year old male patient was admitted to control for severe epigastric pain. With the patient in prone position, the needle was advanced further than 2 cm on the anterior margin of $L_1$ vertebral body under fluoroscopy. 3 ml of 1% lidocaine and 5 ml of conray were injected through each needle, and the diffusion of the contrast medium was checked, This was followed by 7 ml of pure alcohol and 8 ml of 50% alcohol for each needle. At that time, the patient was very satisfied with loss of abdominal pain. About 30 minutes after injection of alcohol, suddenly patient complained of severe burning pain on back and both extremities. Thereafter, loss of sensation and paralysis in both extremities were developed slowly. The senstivity to cold recovered 3 days after block. By the 33rd day after the block, sensation had recovered in both extremities, the bladder and rectum. Movement of the right ankle joint and left great toe was also possi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