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anced Modification Attack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Advanced Modification 공격에 안전한 패스워드 기반 키 동의 프로토콜 (Password-based Authenticated Key Agreement Protocol Secure Against Advanced Modification Attack)

  • 곽진;오수현;양형규;원동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3호
    • /
    • pp.277-286
    • /
    • 2004
  • 사용자의 인증기술로 패스워드를 기반으로 하는 메커니즘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패스워드를 기반으로 하는 메커니즘은 사용자들이 기억하기 쉬운 패스워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패스워드 추측 공격(password guessing attack)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패스워드 추측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많은 키 분배 프로토콜이 제안되고 있으며, 최근 Seo-Sweeny는 패스워드를 기반으로 하는 인증키 동의(SAKA Simple Authenticated Key Agreement)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패스워드를 기반으로 하는 SAKA 프로토콜과 이를 개선한 방식들의 키 설정 및 키 확인 과정을 살펴보고, 각각의 프로토콜이 본 논문에서 정의한 Advanced Modification 공격에 대해 취약함을 보인다. 그리고 Advanced Modification 공격에 대해 안전한 패스워드 기반 인증 키 동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자동추력 제어시스템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utomatic Thrust Control System)

  • 김종섭;조인제;이동규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905-912
    • /
    • 2010
  • Modern version of advanced supersonic fighter have ATCS (Automatic Thrust Control System) to maximum flight safety, fuel efficiency and mission capability the integrated advanced autopilot system such as TFS (Terrain Following System), GCAS (Grou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AARS (Automatic Attitude Recovery System) and etc. This paper addresses the design and verification of ATCS based on advanced supersonic trainer in HILS (Hardware In the Loop Simulator) with minimum hardware modification to reduce of development cost and maintain of system reliability. The function of ATCS is consisted of target speed hold mode in UA (Up and Away) and angle of attack hold mode in PA (Power Approach). The real-time pilot evaluation reveals that pilot workload is minimized in cruise and approach flight stage by ATCS.

스캔 기반 사이드 채널 공격에 대한 새로운 AES 코아 키 보호 기술 (A New Key Protection Technique of AES Core against Scan-based Side Channel Attack)

  • 송재훈;정태진;박성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6권1호
    • /
    • pp.33-39
    • /
    • 2009
  • 본 논문은 Advanced Encryption Standard(AES) 암호화 코아가 내장된 System-on-a-Chip(SoC)의 스캔 기반 사이드 채널 공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비밀 키 정보 누출 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시큐어 스캔 기술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큐어 스캔 설계 기술은 어플리케이션에 최적화 되어있는 암호화 코아를 수정하지 않고 적용을 할 수 있다. 또한 SoC 상의 IEEE1149.1 제어기 표준을 유지하며 기존 방식보다 적은 면적 오버 헤드와 전력 소모 및 높은 고장 검출율을 갖는 기술을 제안한다.

Access Point 기반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MAC Address Spoofing 공격 탐지 및 차단 기법 (MAC Address Spoofing Attack Detection and Prevention Mechanism with Access Point based IEEE 802.11 Wireless Network)

  • 조제경;이형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85-96
    • /
    • 2008
  •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사용자 I P 주소와 클라이언트 단말의 MAC 주소 정보를 등록/관리하여 인증 등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MAC 주소 등록/관리 방식은 공격자 자신의 MAC 주소 값을 클라이언트의 MAC 주소 값으로 변경하는 MAC Spoofing 공격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MAC Spoofing 공격을 탐지하기 위해 기존에 제시된 기법은 패킷의 시퀀스 번호 등에 기초하여 MAC 주소 값의 변경 등을 순차적으로 판별하는 기법이었으나 무선 공격에 대한 탐지/차단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AirSensor와 AP를 기반으로 무선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W-TMS에 구축된 MAC Address Lookup 테이블을 통해 실시간으로 MAC Spoofing 공격을 탐지하며, 다시 AP를 통해 해당 공격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탐지 및 차단 알고리즘은 성능평가 결과 MAC Spoofing 공격 시도에 대해서 고성능의 탐지/차단 기능을 수행하였으며 최소한의 무선 트래픽 전송 지연만으로도 무선 MAC Spoofing 공격에 대해 실시간으로 대응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스캔 설계된 AES 코아의 효과적인 비밀 키 보호 기술 (An Efficient Secrete Key Protection Technique of Scan-designed AES Core)

  • 송재훈;정태진;정혜란;김화영;박성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7권2호
    • /
    • pp.77-86
    • /
    • 2010
  • 본 논문은 Advanced Encryption Standard(AES) 암호화 코아가 내장된 System-on-a-Chip(SoC)의 스캔 기반 사이드 채널 공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비밀 키 정보 누출 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스캔 설계 기술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큐어 스캔 설계 기술은 IEEE 1149.1의 명령어 방식을 사용하여 거짓 키를 이용한 테스트를 진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에 최적화 되어있는 암호화 IP 코아를 수정하지 않고 적용을 할 수 있다. SoC상의 IEEE 1149.1 제어기 표준을 유지하며 기존 방식에 비해 낮은 면적오버헤드 및 전력 소모량을 갖는 기술을 제안한다.

영상 인증과 변형 검출을 위한 Fragile 워터마킹 (Fragile Watermarking for Image Authentication and Detecting Image Modification)

  • 우찬일;전세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59-465
    • /
    • 2009
  • 디지털 워터마킹은 소유권 검증이나 인증을 목적으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정보를 영상에 삽입하는 기술로, 연성 워터마킹과 강인한 워터마킹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강인한 워터마크는 저작권과 소유권 주장을 위한 목적으로 유용하며 삽입된 워터마크는 쉽게 제거되지 않아야 하고 회전, 크기변환, 크롭핑 등과 같은 일반적인 영상처리에 견뎌내야 한다. 반면에 연성 워터마크는 어떠한 영상처리 과정에 의해서도 삽입된 워터마크는 쉽게 훼손되어야 하며, 영상의 사소한 변경뿐만 아니라 국부적으로 변경된 영역도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구조를 이용하여 영상의 무결성 검증과 변형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연성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워터마크가 삽입되는 영상을 여러 레벨로 구성하여 각 레벨별로 영상을 여러 블록으로 나눈 후 각 블록에 대한 디지털 서명을 계산한다. 제안 방법은 cut-and-paste와 같은 공격에 강건하며, 실험 결과는 제안방법의 효율성을 나타내고 있다.

  • PDF

Hyperledger Composer 기반 컨소시움 블록체인을 이용한 위조 모바일 APK 검출 DApp (Consortium Blockchain based Forgery Android APK Discrimination DApp using Hyperledger Composer)

  • 이형우;이한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9-18
    • /
    • 2019
  • APK (Android Application Package)는 리패키징 공격에 취약하므로 APK 파일 내부에 난독화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하지만 리버스 엔지니어링 기술 역시 더욱 고도화 됨에 따라 또다른 위조 모바일 APK 파일이 개발 및 배포되고 있어 새로운 대응 방식이 필요하다. 블록체인은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연결 및 보호되는 레코드 블록이 지속적으로 추가되는 방식으로, 각 블록에는 일반적으로 이전 블록의 암호화 해시값, 타임스탬프 및 트랜잭션 데이터 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일단 블록체인에 기록되면 해당 블록의 데이터는 이후에 생성된 모든 블록을 변경하지 않고서는 소급해서 변경/수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면 모바일 APK 파일에 대한 정상 및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yperledger Composer를 이용한 컨소시움 블록체인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합법적인 APK를 블록체인 내에 기록하고 유지함으로써 위조 APK에 대한 검출 기능을 제공하는 DApp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DApp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위조된 앱이 설치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 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정상적이고 합법적인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 사용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