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renoceptor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3초

Majarine 유도체인 majarol의 흰쥐에 있어서 혈압 및 심박동수에 대한 작용과 적출 개구리 심장에 대한 작용 (The Effects of Majarol on the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Rats and Isolated Frog Heart)

  • 이종화;박영현;조병헌;김유재;김종배;김천숙;차영덕;김영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4-44
    • /
    • 1986
  • 본 실험실에서는 한국 특산인 매자나무 (Berberis koreana Palibin)의 뿌리에서 majarine(isoquinoline alkaloid)을 분리하여 여러 가지의 약리작용을 검토한 바 있다. 현재는 majarine의 화학적 구조를 변화시켜 그 유도체의 약리작용을 검색하고 있으며, 그 중 majarine의 isoquinoline ring에 치환되어 있는 두 methoxy group 중 하나를 hydroxy기로 치환된 majarol을 합성하였다. Majarol을 흰쥐 정맥내로 투여하여 혈압 및 심박동수의 변화와 epinephrine, phentolamine, isoproterenol, propranolol, atropine, diphenhydramine과 hexamethonium 등에 대한 약물 상호작용을 관찰하였으며 또 적출 개구리 심장에 대한 작용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Majarine을 저용량(0.5-2 mg/kg)에서 용량의존적으로 현저하고 일시적인 혈압 강하와 약간의 심박동수 감소를 나타냈으며, 고용량(>5mg/kg)에서는 이차적으로 지속적인 혈압강하와 심박동수 감소를 나타냈다. 일시적인 혈압강하작용은 atropine sulfate, diphenhydramine과 hexamethonium에 의해 억제되지 않았고, epinephrine의 혈압 상승작용은 majarol의 전처치로 현저하게 차단되었으며, majarol 투여시 나타나는 지속적인 혈압 강하는 심박동수 감소에 수반되어 나타났고 이는 propranolol에 의해 억제되지 않았으며, isoproterenol의 positive chronotropic effect는 majarol 전처치로 차단되지 않았다. majarol은 저용량에서 적출개구리 심장의 수축기 장력을 증가시켰으며 고용량에서는 개구리 적출심장에 대해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majarol의 일시적이고 현저한 혈압강하작용은 ${\alpha}$-adrenoceptor 차단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고, 이차적으로 나타나는 지속적인 혈압강하작용은 심박동수의 감소와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심장에 대한 작용인 것으로 추정되며, majarol의 심장에 대한 작용을 ${\beta}$-adrenoceptor에 대한 작용보다는 심근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인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뇌내(腦內) Norepinephrine, Clonldine에 의한 심박(心搏) 및 혈압변동(血壓變動)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nges in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Induced by Central Norepinephrine and Clonidine)

  • 이정청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4권1_2호
    • /
    • pp.13-23
    • /
    • 1978
  • 1) Urethane 마취가토(痲醉家兎)의 내뇌(腦內)(측뇌실(刻腦室) 또는 소뇌연수조내(小腦延髓槽內)에 norepinephrine (NE), clonidine을 주입(注入)할 때 일어나는 심박감소(心搏減少), 혈압하강(血壓下降)에 관한 이들 약물(藥物)의 작용점(作用點)을 조사(調査)할 것을 시도(試圖)하였다. 2) NE의 뇌내주입(腦內注入)은 심박감소(心搏減少)를 일으켰으나 혈압(血壓)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뚜렷치 않았다. Clonidine은 심박감소(心搏減少), 혈압하강(血壓下降)을 일으켰다. 3) 측뇌실내주입(刻腦室內注入) 소뇌연수조내주입간(小腦延髓槽內注入間)에는 NE, clonidine, phenylephrine, isoproterenol의 심박(心搏), 혈압효과(血壓效果)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또 NE에 의한 심박감소효과(心搏減少效果)의 출현(出現)은 소뇌연수조내주입시(小腦延髓槽內注入時) 더 빨랐다. 4) 약(約) 2시간(時間) 간격(間隔)으로 NE를 반복(反復) 주입(注入)할 때 심박효과(心搏效果)에는 거의 변동(變動)이 없었으나 혈압효과(血壓效果)는 반복주입(反復注入)함에 따라 혈압상승효과(血壓上昇效果)가 현저(顯著)히 나타났다. Clonidine의 심박감소(心搏減少) 및 혈압하강효과(血壓下降效果)는 반복주입(反復注入)에 따라 점차 약화(弱化)되었다. 5) NE 주입후(注入後) NE 효과(效果)가 지속(持續)하고 있을 때 clonidine은 더 이상(以上)의 심박감소(心搏減少)를 일으키지 않고, 혈압하강(血壓下降)도 일으키지 않았다. Clonidine 주입후(注入後) clonidine 효과(效果)가 지속(持續)하고 있을 때 NE는 더 이상(以上)의 심박감소(心搏減少)를 일으키지 않았고 현저(顯著)한 혈압상승(血壓上昇)을 일으켰다. 6) Regitine 또는 desmethylimipramine의 뇌내주입후(腦內注入後) NE는 심박(心搏)에 거의 변동(變動)을 일으키지 않았으나 현저(顯著)한 혈압상승(血壓上昇)을 일으켰다. Clonidine은 심박(心搏), 혈압(血壓)에 거의 변동(變動)을 일으키지 않았다. 7) Reserpine 처리가토(處理家兎)에서는 NE는 심박증가(心搏增加)와 혈압상승(血壓上昇)을 일으켰으며, clonidine은 심박(心搏)에는 거의 변동(變動)을 일으키지 않았고 경미(輕微)한 혈압상승(血壓上昇)을 일으켰다. 8) NE 및 clonidine에 의한 심박감소(心搏減少), clonidine에 의한 혈압하강(血壓下降)은 주(主)로 presynaptic ${\alpha}$-adrenoceptor를 중개(仲介)하여 일어나나, NE 및 clonidine에 의한 혈압상승(血壓上昇)은 presynaptic site 이외(以外)의 부위(部位)를 중개(仲介)하여 일어나는것 같다.

  • PDF

우울장애 아형간에 Isoproterenol 자극후 임파구 Cyclic AMP Levels의 차이 (Difference in Isoproterenol-Stimulated Cyclic AMP Levels of Lymphocytes between the Subgroups of Depressive Disorders)

  • 박원명;전양환;김광수;성양숙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1호
    • /
    • pp.46-50
    • /
    • 1996
  • 주요 우울장애 환자와 기분부전장애 환자에서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임파구에 isoproterenol 자극 후 cyclic AMP 생성반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 두 질환군에서 net cyclic AMP levels와 우울정도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주요 우울장애군 8명, 기분부전장애군 9명, 정상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Cyclic AMP 농도는 방사면역 측정법 (radioimmunoassay)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연 다음과 같다. 1) HDRS 정수상 주요 우울장애군이 기분부전장애군보다 유의하게 우울정도가 높았다. 2) Isoproterenol 자극전 basal cyclic AMP levels는 정상대조군, 주요 우울장애군, 기분부전장애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3) Isoproterenol $10^{-5}mol/L$ 자극후 net cyclic AMP levels는 정상대조군 주요 우울장애군, 기분부전장애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주요 우울장애군에서 isoproterenol $10^{-5}mol/L$ 자극후 net cyclic AMP levels와 HDRS 점수간에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기분부전장애군에서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저자들은 기분부전장애가 임상적으로는 주요 우울장애의 우울정도가 경미한 한 형태로 보이지만 생물학적으로는 이들 두 질환이 다른 질환일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 PDF

위대망동맥의 혈관 수축제 및 이완제에 대한 반응 (Reactivity of Human Isolated Gastroepiploic Artery to Constrictor and Relaxant Agents)

  • 이종태;이응배;박창률;김인겸;유완식;유영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9호
    • /
    • pp.884-892
    • /
    • 1998
  • 우측 위대망동맥이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에 사용되는 이식혈관으로서 관심을 끌게 된 것은 1980년대 중반 관동맥 우회로 이식술후 내유동맥의 장기 개통성이 복재정맥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것이 알려진 다음부터였다. 처음에는 재수술을 하는 경우 등에서 사용 가능한 다른 이식혈관이 없을 때만 선택되었고 이식장소도 심장 후면에 위치하고 있는 후하행지 등에 제한되었으나, 최근에는 좌전하행지에도 이식되고 있고 위대망동맥의 중단기 개통성이 내유동맥의 것과 비슷한 것으로 보고된바 있으며, 일차 수술에서도 선택되는 경우가 늘어 나서 내유동맥과 복재정맥 다음으로 중요한 이식혈관이 되었다. 아직 장기 개통성이 알려 있지 않은 위대 망동맥에 대하여 이식도관으로서의 기능과 개통성 등을 연구하기 위해서 이 혈관의 수축성 및 이완성이 조사된 바 있으나 결과들이 일치하지 않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위절제술을 받는 환자들에서 수술 중에 위대망동맥을 채취하여 고리절편으로 만든 후 organ bath내에 장치하여 혈관 수축제 및 이완제에 대한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도관으로서의 가치 평가를 함과 동시에 이식된 도관의 경련발생 및 이의 치료를 위한 이완제 투여 등에 관해 연구하였다. 수축제들 중 epinephrine, noprepinephrine 및 KCl은 강한 수축력을 보였고 5-HT의 수축력이 가장 약했으며 전자들의 것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Nitroprusside과 histamine은 norepinephrine으로 유도된 수축의 거의 전부를 이완시켰으며 acetylcholine의 이완력은 이들의 것에 비해 유의하게 약했다. 이완제들중 isoproterenol의 이완력이 가장 약했으며 나머지 이완제들의 것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에서 위대망동맥의 강한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력은 본 혈관이 관상동맥우회로이식술에 도관으로 사용되었 을 때 개통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고, 위대망동맥은 catecholamine에 대한 반응이 커서 관상동맥우회 로이식술후 혈중 catecholamine치료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이식된 위대망동맥에 경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의 치료에는 nitroprusside가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내피세포가 보존된 위대망동맥의 beta-adrenoceptor 촉진제 및 5-HT에 대한 반응은 약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exmedetomidine attenuates H2O2-induced cell death in human osteoblasts

  • Yoon, Ji-Young;Park, Jeong-Hoon;Kim, Eun-Jung;Park, Bong-Soo;Yoon, Ji-Uk;Shin, Sang-Wook;Kim, Do-Wa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6권4호
    • /
    • pp.295-302
    • /
    • 2016
  • Background: Reactive oxygen species play critical roles in homeostasis and cell signaling. Dexmedetomidine, a specific agonist of the ${\alpha}2$-adrenoceptor, has been commonly used for sedation, and it has been reported to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dexmedetomidine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and the mechanism of $H_2O_2$-induced cell death in normal human fetal osteoblast (hFOB) cells. Methods: Cel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cells were incubated in normoxia without dexmedetomidine, hydrogen peroxide ($H_2O_2$) group-cells were exposed to $H_2O_2$ ($200{\mu}M$) for 2 h, and Dex/$H_2O_2$ group-cells were pretreated with dexmedetomidine ($5{\mu}M$) for 2 h then exposed to $H_2O_2$ ($200{\mu}M$) for 2 h. Cell viability and apoptosis were evaluated. Osteoblast maturation was determined by assaying bone nodular mineralization. Expression levels of bone-related proteins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Results: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_2O_2$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is effect was improved by dexmedetomidine. The Hoechst 33342 and Annexin-V FITC/PI staining revealed that dexmedetomidine effectively decreased $H_2O_2$-induced hFOB cell apoptosis. Dexmedetomidine enhanced the mineralization of hFOB cells when compared to the $H_2O_2$ group. In western blot analysis, bone-related protein was increased in the Dex/$H_2O_2$ group. Conclusions: We demonstrated the potential therapeutic value of dexmedetomidine in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by inhibiting apoptosis and enhancing osteoblast activity. Additionally, the current investigation could be evidence to support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dexmedetomidine in vitro.

Up-regulation of Heme Oxygenase-1 Expression by cAMP-elevating Agents in RAW 264.7 cells

  • Ko, Young-Shin;Park, Min-Kyu;Kang, Young-Jin;Lee, Young-Soo;Seo, Han-Geuk;Lee, Duck-Hyung;Yunchoi, Hye-Sook;Chong, Won-Seog;Chang, Ki-Chur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0권2호
    • /
    • pp.71-77
    • /
    • 2002
  • Heme oxygenase-1 (HO-1) is the inducible from of the rate-limiting enzyme of heme degradation; it regulates the cellular contents of heme. HO-1 is up-regulated by various stimuli including oxidative stress so that it is thought to participate in general cellular defense mechanism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mammalian cell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cAMP-dependent protein kinase A (PKA) signaling pathway on nitrogen oxidative stress-induced HO-1 gene expression, RAW 264.7 cell cultures were treated with sodium nitroprusside (SNP). SNP increased the expression of HO-1 mRNA and protein, time- and concentration-dependently. Treatment with H89, PKA inhibitor, but not LY83583, guanylate cyclase inhibitor, significantly diminished the HO-1 expression by SNP, indicating that cAMP plays a crucial role in the induction of HO-1. Incubation with cAMP-elevating agents, such as forskolin or isoproterenol resulted in up-regulation of the expression of HO-1. Forskolin-induced expression of HO-1 was inhibited by H89. Furthermore, propranolol, $\beta$-adrenoceptor blocker, inhibited the isoproterenol-induced HO-1 expression, supporting the importance of cAMP in the induction of HO-1 expression. Higenamine-S, but not higenamineR, enhanced the HO-1 expression induced by SNP. Furthermore, cellular toxicity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as attenuated by the presence of SNP, which was further increased by the presence of ZnPPIX, HO-1 inhibitor. Collectively,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up-regulation of HO-1 expression in RAW 264.7 cells involves PKA signal pathway.

문맥 고혈압 흰쥐에 있어서 내장혈관의 아드레나린성 수용체의 기능변동과 이에 대한 Propranolol의 효과 (Altered Functions of Adrenoceptors in Splanchnic Vascular Beds in Portal Hypertensive Rat Model: Effect of Propranolol)

  • 김치대;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3-70
    • /
    • 1988
  • 문맥 고혈압 동물에서 내장장기의 혈류역동학적 변동으로서 문맥압의 증가와 동반하여 장간의 혈류량 증가와 혈관저항의 감소뿐만 아니라 전신 혈관저항의 감소가 특징적으로 야기된다. 문맥고혈압에 있어서 propranolol이 beta 1과 beta 2 수용체의 봉쇄작용으로 문맥고혈압을 저하시킨다는 점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본 실험에서는 흰쥐에서 문맥을 부분적으로 결찰하여 문맥고혈압을 야기하고 10일 후에 내장장기의 혈류역동학적 변동과 혈관 수축성 약물에 대한 반응성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동시에 이에 대한 propranolol의 효과도 검토하였다. 문맥 결찰 후에는 비 펄프압의 증가와 동반하여 내장장기의 혈류량과 모세혈관압 증가가 야기되었고 동시에 모세혈관 전 저항(Ra)과 모세혈관 후 저항(Rv)은 저하되었다. Noradrenaline에 대한 Rv의 증가반응, adrenaline에 대한 Ra와 Rv의 증가반응, 및 phenylephrine에 대한 상장간막 동맥압, Ra및 Rv의 증가반응이 특징적으로 문맥결찰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약화되었다. Propranolol 처치군(PPL-3)에서 장간막 혈류량의 감소가 초래되었고, 문맥결찰군에서 저하된 Ra와 Rv가 propranolol투여로 대조군 수치로 회복되 었다. 이러한 성적의 결과로 문맥 결찰에 의하여 장간막 혈류량 증가와 동반된 Ra와 Rv의 저하는 비 펄프압 증가로 야기된 것으로 추측되며 내장장기 혈류역동학적 및 혈관 반응도의 변동은 장기적인 propranolol 처치로 효과있게 교정되는 점으로 미루어 내장장기의 과혈류역동은 내장장기 혈관의 아드레나린성 수용체의 기능변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사료되었다.

  • PDF

약용식물 추출물이 흰쥐의 뇌혈류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Plant Extract on the Change of Cerebral Hemodynamic in Rats)

  • 박성진;함태식;김천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06-510
    • /
    • 2010
  • 본 연구는 뇌혈관성 질환의 예방을 위한 양생약선으로의 활용을 위한 약용식물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계획되었고 문헌상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 약용식물의 여러 기능 중 혈류 및 혈압 개선 효과에 중점을 두고 그 기능을 과학적으로 확인하여 보고자 하였다. 흰쥐를 대상으로 LDF를 이용하여 약용식물 추출물이 국소 뇌혈류량과 혈압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출물을 여러 농도로 투여 시 국소 뇌혈류량은 증가되었다. 추출물이 국소 뇌혈류량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atropine, L-NNA, methylene blue, indomethacin을 전 처리한 후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는 국소 뇌혈류량에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propranolol을 전 처리한 후 추출물을 1.0 mg/kg 농도 이상으로 투여했을 때는 국소 뇌혈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추출물을 여러 농도로 투여 시 혈압은 감소되었다. 추출물이 혈압의 변화를 초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atropine, L-NNA, methylene blue, indomethacin을 전 처리한 후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는 혈압변화에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propranolol을 전 처리한 후 추출물을 1.0 mg/kg 농도 이상으로 투여했을 때는 혈압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과에서 약용식물 추출물은 뇌혈류량을 증가시키고 혈압을 강하시키는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기전은 교감신경 $\beta$ 수용체의 활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인 약선식으로의 활용에 있어 원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완제품에 대한 영양성분 및 유효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때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술적 방법으로 유도된 3단계 발목염좌에 대한 전침의 진통기전 연구 (The Mechanism for Analgesic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Surgical Ankle Sprain Model Classified as Grade 3 in Rats)

  • 양승범;최석준;이성호;김민수;손인철;김재효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0권4호
    • /
    • pp.220-229
    • /
    • 2013
  • Objectives : Electroacupuncture(EA) has been used effectively in producing analgesia on ankle sprain pain of humans and animals. Currently to examine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EA-induced analgesia, the effects of EA on weight-bearing forces(WBR) were examined at ankle sprain classified as grade 3 in rats. Methods : The severe ankle sprain classified as grade 3 was induced surgically by ankle ligament injury in the Sprague-Dawley rats. WBR of the affected foot were examined to evaluate effects and mechanism of EA(2 Hz, 1 ms pulse width, 2 mA intensity, for 15 min) which was applied to either SI6, GB34, or GB39 acupoints. The rats were pretreated with naltrexone(10 mg/kg, i.p.) as an opioid receptor antagonist or phentolamine(5 mg/kg, i.p) as an ${\alpha}$-adrenoceptor antagonist at 30 min before EA. Results : The daily repeat EA at either SI6, GB34, or GB39 showed significant analgesic effects on the severe ankle sprain. Particularly, daily EA at GB34 showed more potent analgesic effect than the others. In addition, the naltrexone pretreatment completely blocked the analgesic effect of EA at GB34, indicating the involvement of the endogenous opioid system in mediating the effect of EA at GB34. However, the phentolamine pretreament blocked analgesic effects of EA at either SI6 or GB39, indicating the involvement of ${\alpha}$-adrenoceptors in mediating the effect of EA at either SI6 or GB39. Conclusions : These data suggest that EA-induced analgesia on ankle sprain pain is mediated through either endogenous opioids or ${\alpha}$-adrenoceptors dependant on acupoint specific pattern.

카두라 정(독사조신 2 mg)에 대한 카르딜 정의 생물학적 동등성 (Bioequivalence of Cardil Tablet to Cardura Tablet (Doxazosin 2 mg))

  • 조혜영;김수진;심영순;임동구;오인준;문재동;이용복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0권1호
    • /
    • pp.61-65
    • /
    • 2000
  • Doxazosin, a postsynaptic selective ${\alpha}1-adrenoceptor$ antagonist, is a potent antihypertensive agent which reduces peripheral resistance and blood pressure by vasodilatation of peripheral vessels. It is also used in the treatment of urinary obstruction by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equivalence of two doxazosin tablets, $Cardura^{TM}$ (Pfizer Korea Ltd.) and $Cardil^{TM};$ (Kyungdong Pharmaceutical Co., Lt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Sixteen normal male volunteers, $24.19{\pm}2.48$ years in age and $62.41{\pm}6.66$ kg in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 randomized $2{\times}2$ cross-over study was employed. After one tablet containing 2 mg of doxazosin was orally administered, blood was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ncentrations of doxazosin in serum were determined with an HPLC method using spectrofluorometric detector. Pharmacokinetic parameters such as $AUC_t,\;C_{max}\;and\;T_{max}$ were calculated and ANOVA test was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aramet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AUC_t,\;C_{max}\;and\;T_{max}$ between two tablets were -1.54%, -1.51 % and 3.42%, respectively, when calculated against the $Cardura^{TM}$ tablet. The powers $(1-{\beta})$ for $AUC_t,\;C_{max}\;and\;T_{max}$ were all more than 99.00%. Minimum detectable differences $(\Delta)$ at ${\alpha}=0.05\;and\;1-{\beta}=0.8$ were all less than 20% (e.g., 12.73%, 12.84% and 13.01% for $AUC_t,\;C_{max}\;and\;T_{max}$, respectively). The 90% confidence intervals were all within :${\pm}20%$ (e.g., $-8.97{\sim}5.90,\;-9.01{\sim}6.00\;and\;-4.16{\sim}11.05\;for\;AUC_t,\;C_{max}\;and\;T_{max},\;respectively)$. All of the above para- meters met the criteria of KFDA for bioequivalence, indicating that $Cardil^{TM}$ tablet is bioequivalent to $Cardura^{TM}$ table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