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olescent brain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7초

Mobi-Kids Study: 휴대전화의 전자파 노출량 평가 I. 노출 유형 분석 (Mobi-Kids Study: Exposure Assessment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from Mobile Phones I. Analysis on Exposure Types)

  • 이애경;위현호;윤용현;김대건;소재상;이병제;최형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017-1026
    • /
    • 2013
  • Mobi-Kids 연구의 노출량 평가 분야에는 4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각 국은 해당 지역 또는 자국의 통신 환경 및 통신 방식 등을 고려하여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는 휴대전화로부터 복사되는 무선주파수 및 극저주파수의 어린이 및 청소년 노출에 대한 중추신경계 발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환자-대조군 대상자의 누적 노출량 평가에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Mobi-Kids 연구의 노출량 평가 프로토콜에 따라 과거 약 10년간 우리나라에서 사용해온 휴대전화의 노출 유형을 분석한다. 국내 출시 휴대전화 모델 조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노출 유형 분류, 수치해석적 대표 휴대전화 설계 방법, 그리고 휴대전화의 ELF 복사 측정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뉴로피드백 훈련이 후기청소년의 신체적, 정서심리적 스트레스 반응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비무작위 연구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Physical, Psychoemotional Stress Response and Self-Regulation for Late Adolescence: A Non-Randomized Trial)

  • 최문지;박완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08-220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for reducing stress and enhancing self-regulation in late adolescence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use for nursing interventio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78 late adolescent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39) that received the neurofeedback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 (n=39). Data were collected 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skin conductance level (SCL) to assess stress-biomarker response. The questionnaire contained 164 items fro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and Self-regulatory Ability scale. The neurofeedback training was based on the general adaptation syndrome and body-mind medicine.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0 sessions for 30 minutes per session with high-beta, theta and sensory motor rhythm training on scalp at central zero.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ndard deviation of normal to normal interval (p=.036) in HRV and SCL (p=.029) of stress-biomarker response between the two groups. Negative affect (p=.036) in PANAS and obsessive compulsive (p=.023) and depression (p<.001) in SCL-90-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lf-regulation mode (p=.004) in self-regulation ability sca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eurofeedback training is effective in stress-biomarkers, psychoemotional stress response and self-regulation. Therefore, neurofeedback training using neuroscientific approach based on brain-mind-body model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late adolescents in clinics and communities for effective stress responses.

전전두엽 뉴로피드백 훈련이 초등학생들의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prefrontal lobe neurofeedback traing on the primary student about selfregulation ability)

  • 안상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161-4166
    • /
    • 2010
  • 본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B. 뇌 훈련 센터에 자기조절 능력 및 학업 성취도 향상을 위하여 방문한 내담자 52명(실험군 26명, 대조군 26명)의 뇌파를 검사하여 뉴로피드백 훈련 전과 훈련 후의 뇌 기능과 자기 조절 능력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자기조절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뇌 기능의 훈련 전과 후의 결과를 시계열 선형분석으로 비교하였으며, 자기조절 능력 반응 측정 변화를 보기 위하여 5점 척도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자기조절지수, 훈련모드, 최대편차에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 능력 반응 설문지에서도 두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전전두엽 뉴로피드백의 기술을 적용한 뇌 훈련은 자기 조절지수와 자기조절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겠다.

청소년 시기의 두개 근막염 1례: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Cranial Fasciitis in an Adolescent Male)

  • 김신영;전영준;김영진;서병철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3-66
    • /
    • 2011
  • Purpose: Cranial fasciitis is a rare type of benign tumor that occurs mostly in children younger than 6 years. It arises from the deep fascia, periosteum, or fibromembranous layer that covers fontanelles. The etiology is unknown, although prior trauma has been postulated to be an underlying cause. There is a 2:1 male predominance. Despite its rapid growth, this tumor has a benign clinical course and can be cured by total excision. Methods: A 16-year-old male presented with a 3 cm-sized palpable mass in the left lateral eyebrow region that he first noticed 4 months before presentation. The mass had grown rapidly since it was first noticed. Preoperative brain computed tomography showed a well-demarcated mass approximately 3 cm in size extending from the subcutaneous layer to the periosteum. Preoperatively, the presumed diagnosis was a dermoid cyst. An operation was performed with the patient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subcutaneous mass was completely excised by periosteal dissection. Results: Histological diagnosis revealed the presence of cranial fasciitis. After 20 months of follow-up, there have been neither complications nor evidence of local recurrence besed on clinical examination. Conclusion: Although cranial fasciitis is quite rare, i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for lytic skull lesions in patient whose clinical presentation suggests this possibility. This condition could be occasionally mistaken for malignant or locally aggressive lesions. To prevent local recurrence, curettage of the underlying bone is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bone involvement.

스마트폰 사용정도에 따라 후기 청소년들의 척추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지강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Effects of degree of Use of Smartphone on the Spinal Health of Later Teens: Moderating Effect of Cognition Strength)

  • 김상우;이진;이병희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213-230
    • /
    • 2018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척추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인지강도에 따른 척추건강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스마트 폰 중독 진단 척도, 경추의 전방 기울기 각도(거북목 각도), 그리고 뇌파의 인지감마피크(Cognitive Gamma-Peak)의 진폭변화량을 측정하여 스마트폰 사용 정도, 척추각도, 그리고 인지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사용 정도가 증가할수록 척추각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인지강도가 증가할수록 척추각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또한 인지강도는 스마트폰 사용정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척추각도에 조절효과를 나타냈다(p<.05).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인지강도가 낮을수록 스마트폰 사용정도는 증가하며 이에 따른 척추각도도 증가함을 의미한다. 결국 이 결과는 후기 청소년들에게 인지강도가 중간인 그룹과 낮은 그룹에서 스마트폰 사용 정도가 높아질수록 경추의 전방 기울기 각도(거북목 각도)가 더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utism-Like Behavioral Phenotypes in Mice Treated with Systemic N-Methyl-D-Aspartate

  • Adil, Keremkleroo Jym;Gonzales, Edson Luck;Remonde, Chilly Gay;Boo, Kyung-Jun;Jeon, Se Jin;Shin, Chan 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0권3호
    • /
    • pp.232-237
    • /
    • 2022
  •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aving core characteristics of social interaction problems and repetitive behaviors and interests affects individuals at varying degrees and comorbidities,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precise etiology underlying the symptoms. Given its heterogeneity, ASD is difficult to treat and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s is slow due to the scarcity of animal models that are easy to produce and screen with. Based on the theory of excitation/inhibition imbalance in the brain with ASD which involves glutamatergic and/or GABAergic neurotransmission, a pharmacologic agent to modulate these receptors might be a good starting point for modeling. N-methyl-D-aspartic acid (NMDA) is an amino acid derivative acting as a specific agonist at the NMDA receptor and therefore imitates the action of the neurotransmitter glutamate on that receptor. In contrast to glutamate, NMDA selectively binds to and regulates the NMDA receptor, but not other glutamate receptors such as AMPA and kainite receptors. Given this role,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NMDA administration could result in autistic-like behavior in adolescent mice. Both male and female mice were treated with saline or NMDA (50 and 75 mg/kg) and were tested on various behavior experiments. Interestingly, acute NMDA-treated mice showed social deficits and repetitive behavior similar to ASD phenotypes. These results support the excitation/inhibition imbalance theory of ASD and that NMDA injection can be used as a pharmacologic model of ASD-like behaviors.

Isolated Bilateral Midbrain Infarction in A Healthy Female Adolescent: A Case Report

  • Dong Ho Yoo;Byunghoon Lee;Yong Beom Shin;Myung-Jun Shin;Jin A Yoon;Sang Hun Kim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2권3호
    • /
    • pp.207-213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mplex anatomical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midbrain to better understand the patient's symptoms and plan effective treatment including pharmacological and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Design: A single case study Methods: A 17-year-old girl presented with acute onset of drowsiness, gait disturbance, mutism, and ptosis.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postural instability, rigidity of all limbs, and limitations in extraocular movement. The brain MRI revealed an isolated acute infarction in the bilateral midbrain.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infarction, the presenting symptoms were the result of an impairment of the dopaminergic pathway in addition to lesions in the nuclei of the oculomotor nerve. Levodopa/carbidopa was prescribed. And the intensive and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was don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ough comprehensive intervention, which encompassed assessments such as the manual muscle test,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score, and Trail-making test, significant enhancements in the patient's condition were observed.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in promoting the patient's physical functioning and overall well-being.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case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comprehending the intricate anatomical structure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midbrain, which led us to approach appropriate pharmacological and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among the medical team, we were able to establish a therapeutic plan, which demonstrated that effective treatment can be achieved.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mental health in South Korean adolescents: a secondary data analysis

  • Hyeseon Yun;Eun Kyoung Choi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87-96
    • /
    • 2024
  • Purpose: The rising prevalenc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adolescents and its detrimental impact on mental health have become a growing concer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he ment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drawn from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onducted in 2020. The dependent variable as smartphone overdependence, while the main exposure of interest was mental health, encompa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perceived stress, sources of perceived stress, perceived loneliness, and perceived depressive symptoms. The study employed the Rao-Scot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using IBM SPSS version 26.0. Results: The participants comprised 54,948 adolescents aged 13 to 18 years. Among them, 25.1% (n=13,775) were categorized as smartphone overdependence group. Specifically, 20.3% of adolescents who reported GAD ≥10 and 22.5% of those who reported experiencing high levels of perceived loneliness were identified as smartphone overdependent. The GAD increased a risk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by 2.61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2.46-2.77). Perceived loneliness was associated with 1.98-fold (95% CI: 1.87-2.09) increased risk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dditionally, conflict with peers was found to increase the risk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by 4.63-fold (95% CI: 3.89-5.52), followed by conflict with parents (odds ratio [OR]: 4.52, 95% CI: 3.84-5.31), and family environment (OR: 4.52, 95% CI: 3.75-5.46). Conclusion: The findings underscore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Healthcare services to improve their emotional coping and interpersonal skills are necessary.

외상성 뇌손상 아동의 신경정신과적 후유증 평가 (NEUROPSYCHIATRIC SEQUELAE AND ITS EVALU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 김혜경;방형석;박광수;왕미란;민성호;박기창;안정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2호
    • /
    • pp.212-219
    • /
    • 1999
  • 본 연구는 뇌손상 아동의 후유증을 조사하고, 이 증상에 손상요인, 치료요인, 환경요인이 관련되어 있는 지와, 후유증을 평가하는데 일반적인 심리검사가 적절한지를 규명함으로써 뇌손상 아동의 후유증 치료, 예방 및 평가에 관한 임상적 지침을 얻고자하였다. 연세대학교 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와 신경외과에서 뇌손상에 관한 치료를 받고 최소한 6개월이 지난 후 정신과에 신경정신과적 평가가 의뢰된 47명의 아동(연령 $5{\sim}14$세)을 대상으로 후유증을 네 범주로 나누어 조사했다. 초기 GCS 점수, 동반손상, 치료방법, 입원일수를 조사하고, EEG, MRI, 지능검사, 심리검사를 시행한 후 통계처리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지증상이 행동증상, 정서증상, 신체증상보다 많았으며, 이들 증상의 빈도는 경도집단과 중등도-중증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인지증상은 두부수술을 받지 않은 아동이 더 많이 호소하였다(p<0.01). 3) 행동증상은 뇌손상 당시의 연령이 낮은 아동과(p<0.05), 투약한 아동에서(p<0.05) 더 많이 호소되었다. 4) 정서증상은 동반손상이 있는 아동이 더 많이 호소하였다(p<0.05). 5) 신체증상은 약물치료를 받지 않은 아동에서(p<0.05), 지능지수가 높을수록(p<0.05) 많았다. 6) GCS 점수가 낮을수록 지능지수가 낮았다(p<0.05). 인지증상을 호소한 총 42명 중 25명에서 심리검사상 인지장애가 확인되었다. 이들은 다른 아동에 비해 입원일수가 길었다(p<0.05). 7) 정서증상을 호소한 총 25명 아동 중 심리검사를 통하여 정서장애가 확인된 아동은 22명이었다. 이들은 다른 아동에 비해 인지증상이 더 많았다(p<0.05).

  • PDF

소아기 외상 : 발달경로에 따른 보호 및 위험인자 (CHILDHOOD TRAUMA:RESILIENCE AND RISK FACTORS ON DEVELOPMENTAL TRAJECTORY)

  • 김영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15-23
    • /
    • 2002
  • 소아기 외상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부정적인 결과를 예방하는 resilience factor와 부정적인 결과를 더욱 증폭시키는 위험인자에 대한 지식은 이 분야의 전향적인 연구의 부재와 소아기 외상과 발달과정, 아동의 환경 등 다양한 측면들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으로 아직은 초보적인 단계이다. 이러한 소아기 외상의 연구에서의 개념적, 연구 방법론적인 어려움은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들의 결과가 일관적이지 못하고 때로는 상반적이기도 한 면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보면 몇 가지 중요한 공통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가 있다. 즉 사춘기 전에는 여아가, 사춘기 후나 영아에서는 남아가,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가정의 아동, 기질적인 문제가 없는 경우, 쉬운 기질, 조기 이별이나 상실의 경험이 없는 경우, 외상을 받은 시기가 어릴수록, 문제 해결능력이 좋은 경우, 높은 자존감, internal locus of control, 우수한 대처 능력, 대인 관계를 인지 할 수 있는 능력, 놀이를 할 수 있는 능력, 유머 감각이 있는 경우, 유능한 부모를 가지고 있거나 혹은 적어도 한명의 보호자와 따뜻한 관계를 맺고 있을 때, 교육 정도가 높거나 조직적인 종교 활동에 참여 하고 있는 아동들은 외상을 경험하였을 때 외상의 부정적인 결과에 대하여 resilient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기 외상의 위험 및 보호인자가 서로 독립되어 있기 보다는 상호작용을 하는 유기적인 관계이며, 각 요소가 아동의 발달 단계, 아동 자신 및 그들의 가족과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작용하고, stressor의 영향은 그 강도에 따라 다양한 작용을 보이며 일부 위험요소와 보호요소는 상대방의 효과를 상승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등 복잡한 상호 관계를 보이는 것을 시사한다. 앞으로 소아기 외상과 발달 정신병리와의 관계, 위험 및 보호인자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및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예방 및 치료적인 개입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stress가 정상적인 신경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전적인 소인과 부모의 요인과 같은 개개인의 소인에 대한 차이점, 신경조절의 resilience 연구, 소아기 외상의 예방과 뇌의 plasticity에 관한 연구가 같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