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olescent Runaway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청소년 가출에 관한 이론적 고찰 (Literature Review on Adolescent Runaways)

  • 정운숙;박신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5-114
    • /
    • 2001
  • It was orginally thought that runaway adolescents needed to improve their ability to cope with personal problems based on their own understanding of them. As a result we exchanged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matter as follows: 1. Generally, adolescency is a transitional period from childhood to adulthood and characterized by a dramatic conversion period with unique phenomena relative to other periods. Futhermore, it is the key transitional moment in the development of an adult personality. 2, Runaway adolescents are defined as 'adolescents who leave impulsively or intentionally their homes without permission of their parents for at least 24 hours.' 3. The reasons for this behavior are generally regarded as complex, interdependent and dynamic including a cast-away factor. seducing factors, and other action-provoking factors. There is also another view to explain the adolescent run-away as a combination of personal. domestic, academic, peer, or socal factors. 4. We found that adolescent runaways have different attitudes dependent on the reasons and procedures of runaways, lifestyles of adolescents. and results of their runaway experience. In conclusion, runaway adolescents are in a very important period in their development and growth of bodies and minds, but are in a great crisis for various complex reasons. Therefore, we propose that nursing should provid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ability of the runaway adolescents address theses problems by themselves.

  • PDF

청소년의 가출: 가족적, 개인적 요인 및 대처행동의 영향 (Adolescent Runaway: The Impact of Family, Individual Factors and Coping Behavior)

  • 현은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1-56
    • /
    • 2000
  •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family,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coping behaviors on adolescent runawa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Adolescent who had higher level of family violence, lower level of communication with parent,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resource adequacy perception reported higher scores in runaway. 2. Adolescents who had higher level of emotional distress, lower level of self-esteem and self-control tended to have higher scores in runaway.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olescent runaway according to coping behavior styles. 4. Maladaptive cop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unaway adolescent group. 5. Adaptive coping behaviors were not associated with both runaways and non-runaways group. 6. Communication with father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 runaway and also indirect effects through emotional stress and maladaptive coping behavior. 7. Maladaptive coping behaviors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 runaway but adaptive coping behavior had no effect. 8. Emotional stress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maladaptive coping behavior on adolescent runaway. 9. Communication with father had a direct effect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self-esteem of adolescents on the adaptive coping behavior. 10. Family adaptability had a direct effect on the adaptive coping behavior.

  • PDF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적용한 청소년의 최초 가출 발생시점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Determinants of the Onset of Adolescent Runaway Behavior : An Application of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 홍세희;김동기
    • 아동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7-233
    • /
    • 2007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factors on the onset of adolescent runaway behavior. Using the Korean Youth Panel data(n=3,118),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was applied for research purposes. Results showed that the likelihood of onset of adolescent runaway behavior increased sharply during the early middle school years. The variables of self-control, aggression, parents' divorce, paternal abuse, attachment with parents, and number of delinquent peers were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runaway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dolescents in the early middle school years and that various preventive programs, e.g., aggression and stress management, and peer relation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 PDF

여자 가출청소년의 독서심리코칭 프로그램 개발 효과에 관한 연구 -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적용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ading Psychology Coaching Program for Female Teenage Runaways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 허정희;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405-428
    • /
    • 2017
  • 본 연구는 용인과 시흥의 쉼터에 있는 여자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적용한 독서심리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6년 8월 9일부터 2016년 10월 30일까지 1회 120분씩 12회 독서심리코칭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생활양식척도, 열등감증후척도의 사전 사후 검사 및 차시별 결과보고서, 글쓰기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적용한 독서심리 코칭 프로그램은 쉼터 여자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시설 가출청소년의 정신병리에 대한 평가와 분류 (THE CLASSIFICATION OF ADOLESCENTS IN RUNAWAY SHELTERS BY THE EVALUATION OF THEIR PSYCHOPATHOLOGY)

  • 이종성;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2호
    • /
    • pp.192-217
    • /
    • 2001
  • 연구목적:기존 가출청소년 보호시설에 거주하거나 입소하는 청소년에 대한 자아능력과 가출원인에 내재하는 정신병리 조사를 통하여 가출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해냄으로써, 청소년 가출에 대한 예방 대책 수립은 물론, 궁극적으로 가출청소년을 개개인의 다양한 문제에 따라 적합한 보호시설로 의뢰할 수 있도록 보호시설을 다양화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의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방 법:본 연구는 청소년 보호시설에 수용 중인 만 12세에서 21세까지의 남녀 청소년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호시설 전문 상담원의 상담 기록 및 대상자 자신의 기록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기초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동행동증상목록표(CBCL), 미네소타 다면적인성검사(MMPI), 벤더-게슈탈트 검사(BGT), 한국웩슬러지능검사(K-WAIS),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등을 실시하여 가출청소년들의 자아능력 평가와 함께 가출의 원인에 기여하는 내재된 정신병리를 조사하였다. 결 과:본 연구대상인 보호시설 가출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임상소견은 다음과 같다. 대상 청소년의 나이는 15세가 가장 많았고, 중기 청소년기에 있는 청소년들이었으며 학교는 중학교 때 중단하고 가정생활은 중간 정도이며, 부모 학력은 고졸인 청소년이 가장 많았다. 가출과 관련된 특징은 첫 가출이 중학교 때 가장 많았고, 가출횟수는 10회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 재가출자였다. 약물을 한 경우는 10%정도였고 술을 한 경우는 80%정도였다. 37%에서 법을 어긴 경험이 있고 돈을 받고 성행위를 한 경우가 약 10%에서 있었다. K-YSR 결과 95명(83%), SCL-90-R 결과 42명(36%), MMPI 결과 70명(69.3%)에서 임상수준을 보였다. 지능검사 결과 22명(22%)에서 정신지체 수준을 보였다. BGT에서 35명(39.4%)이 뇌기능장애 소견을 보였다. 결 론:시설의 가출청소년들은 가출이라는 행동 밑에 다양하고도 심각한 정신건강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그 문제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가 있었다. 주의력결핍장애를 포함한 행동장애군, 불안/우울 등의 정서장애군,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신체화장애군, 심한 정신병리의 가능성이 있는 정신병위험군 등이다. 따라서 가출청소년에 대한 정신의학적 평가는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른 특성화된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

  • PDF

사회적 관계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ocial Relations on Youth School Adjustment)

  • 정규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1호
    • /
    • pp.235-25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허쉬(Hirschi)의 사회유대이론과 학교적응 영역의 기존연구를 토대로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사회적 관계 모델을 제시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사회적 관계 모델에는 부모관계변인, 친구관계변인, 교사관계변인이 포함되었다. 연구 대상은 인문계 고등학교 재학생 351명과 전국 쉼터에 머무르고 있는 청소년 143명으로 총 494명이었다. 자료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사회적 관계 모델이 청소년의 전반적 적응과 학업적 적응(성적)을 설명하는 데 유의미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구체적으로는, 부모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친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청소년의 학교적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가장 영향력있는 변인은 교사관계 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높이는 방법으로서 교사 친구 부모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실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