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justment disorder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1초

주의산만과 과잉운동을 주소로 하는 정신과 내원 아동들의 임상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CHILDREN WITH INATTENTION AND HYPERACTIVITY IN A PSYCHIATRIC CLINIC)

  • 권용실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93-103
    • /
    • 2002
  • 저자는 소아정신과 영역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주의산만과 과잉운동을 주소로 하는 아동들의 진단특성과 이와 관련된 임상변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학병원 소아정신과에 내원한 아동들에서 주의력과 과잉운동 문제를 보이는 5세에서 14세 사이 총 71명(남자 63 명, 여자 8명)을 대상으로 하여, KEDI-WISC, KPI-C, ADS를 시행하였고 진단 분류에 따라 1) ADHD만 있는 군 2) 공존 질환이 있는 ADHD군 3) ADHD 이외의 진단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DHD 단독 진단군이 17명(23.9%), 공존질환이 ADHD는 26명(38.0%)이었으며 공존질환은 틱장애가 가장 많고 발달성 언어장애, 경계성 지능, 적대적 반항/품행장애, 경계성 지적능력, 학습장애의 순서를 보였으며, ADHD 이외의 진단군 27명(38.0%)은 틱장애, 경계성 지능, 우울/불안장애, 적대적 반항/품행장애의 진단 분포를 나타냈다. 2) 지능검사에서 전체지능, 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 모두 군별 차이를 보였고 ADHD만 있는 군에서 공존질환 ADHD군보다 전체지능과 언어지능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KPI-C 임상 척도는 군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DS 시각자극 검사에서 누락오류(omission)와 민감도(d')가 세 군 사이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고, 공존질환이 있는 ADHD 군이 ADHD이외의 진단군에 비해 유의하게 누락오류가 많고 민감도는 낮았다. 본 연구 결과를 볼때 아동의 주의산만과 과잉운동 증상은 주 진단인 ADHD 이외에도 다양한 정신과 질환으로 진단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감별이 필요하며, 또한 공존질환이 있는 ADHD군이 ADHD만 있는 군이나 기타 질환군보다 주의력에 문제가 많고 지능 수치가 상대적으로 낮아 학습 및 학교 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더 많을 것이므로 적극적인 치료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한국 육군 일개 사단에서 군 복무 부적응자들의 정신의학적 평가 : 그린캠프 참가자들을 중심으로 (Psychiatric Evaluation of Maladaptive Male Conscripts in a Division of the Republic of Korean Army : Focus on Green Camp Participants)

  • 김주현;강석훈;예병석;황현국;서재원;채공주;이환배;김찬형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1-136
    • /
    • 2010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aimed to elucidate the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ladaptive soldiers in the Republic of Korean Army. Methods :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10 male conscrip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Green camp, which was a form of group psychosocial treatment program for maladaptive soldiers. All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diagnosed by a psychiatrist, and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y left or rejoined the army.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in terms of demographic features, psychiatric diagnosis and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subscores. Results : Compared with soldiers who rejoined their units, those who left military service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educational level (p=0.041) and a higher rate in psychiatric treatment prior to enlistment (p=0.011). Among the 106 subjects, 63 (59.4%) and 23 (21.7%) were diagnosed with personality disorder and adjustment disorder, respectively. Further, those who left military service were diagnosed more frequently with mood disorder (p=0.001) and schizophrenia (p=0.014) than those who rejoined their units. Additionally, the MMPI scores of soldiers who left military service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psychasthenia (p=0.028) and schizophrenia (p=0.039) scales than those of soldiers who rejoined their units. Conclusion : Most of the maladaptive soldiers were diagnosed with mental disor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ystematic, consistent psychiatric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r maladaptive male conscripts is crucial in the Republic of Korean army.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의 역사적 재조명 : 약물치료적 접근 (Revisiting History of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Pharmacologic Approach)

  • 반건호;홍민하;이연정;한주희;오수현
    • 생물정신의학
    • /
    • 제21권2호
    • /
    • pp.37-48
    • /
    • 2014
  • Besides from medical data, the patients who were previously called as attention disorder, mental instability, moral imbeciles, or moral defectives, can also be identified by exploring literatures and historical figures. In the past, as we can notice from the titles, they were recognized as a 'moral defect group'. And rather than treating them, separation from the society was the main solution. After the endemic encephalitis from 1917 to late 1920s, however, many survivors suffered from behavioral problems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 'moral defect group' and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in damage and behavior problems were started henceforth. After being known as the 'minimal brain dysfunction', it was developed into the curren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While the disease concept changed and developed over time, after numerous trials and errors, treatment medication starting from central nervous system stimulants such as amphetamine and methylphenidate is used for treatment in children and adult patients with ADHD, and most recently non-stimulants such as atomoxetine has become the one of the first line treatment options. Although we went through a thorough verification process of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medication by contemplat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we believe that adjustment is needed for remaining concerns on medication abuse and slight differences in disease paradigm and therapeutic philosophy depending on cultures.

가족 빈곤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환경과 부모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overty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Testing Mediator Effec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Parental Depression-)

  • 하태정;강현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40호
    • /
    • pp.139-16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가정의 빈곤 여부에 따라 지역사회 환경, 부모 우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빈곤 여부가 지역사회 환경과 부모 우울을 통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를 통해 수집된 총 2,218명의 12~18세 청소년과 그 부모에 대한 2차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빈곤 여부는 욕구소득비로, 지역사회 환경은 지역사회 무질서,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 및 유대, 비공식적 사회통제 수준으로 파악하였다.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은 외현화 내재화 문제 행동 수준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빈곤 가정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취약한 지역사회 환경에 거주하며, 부모 우울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빈곤가정 청소년의 외현화 내재화 문제행동도 일반 청소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빈곤 여부는 매개변인인 지역사회 환경과 부모 우울을 통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 환경은 부모 우울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빈곤가정 청소년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사별 돌봄 (Bereavement Car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김창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0권3호
    • /
    • pp.120-127
    • /
    • 2007
  • Bereavement is the state of loss resulting from death. Grief is the emotional response associated with loss, intense and acute sorrow resulting from loss. Complicated grief represent a pathological outcome involving social,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spiritual morbidity. The common psychiatric disorders associated complicated grief or abnormal grief responses include clinical depression, anxiety disorders, alcohol abuse or other substance abuse, and dependence, psychotic disorder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Grief tasks involve a series of stage or phases following an important loss that gradually permit adjustment and recovery. Three phases of grief involve phase 1 (walking the edges), phase 2 (entering the depths), and phase 3 (reconnecting the world). For intervention to be effective they need to be individually tailored to abnormal grief reaction or unresolved grief reaction. Clear understandings of complicated grief, abnormal responses, factors increasing risk after bereavement will often enable us to prevent psychiatric disorders in bereaved patients.

  • PDF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es)

  • 백승영;선국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159-161
    • /
    • 2013
  •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사회적 심리적 요인들과 그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는 점에 대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였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정서 행동문제에 대한 연구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부모의 갈등과 양육태도, 정서 행동으로서의 내재화와 외현화 그리고 학교생활과 관련된 학교적응과 또래관계에 대해서 단편적이고 개별적인 변수들만의 관계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차원에서 변수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독거노인의 외로움과 수면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Sleep and Lonelines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 최유정;이경규;이석범;김경민;김도현;이정재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68-176
    • /
    • 2020
  • 연구목적 외로움과 수면의 질 저하는 노인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노인의 외로움과 수면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외로움과 수면의 질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천안 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1,090명을 대상자로 시행되었다., 훈련된 간호사의 면담과 외로움 척도,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인구사회학적 정보, 신체 건강상태(Cumulative illness rating scale, CIRS), 인지기능, 단축형 노인우울척도 등의 자가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인구학적 변인과 외로움 척도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기술적 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외로움과 수면의 질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단변량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 과 외로움군의 평균 PSQI 점수(9.2±4.2)는 정상군(7.3±3.7)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student-t test, p<0.001). 성별, 기분장애 및 상관분석에서 유의성을 보인 변수를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에서 외로움은 전체 PSQI 총점(standardized β=0.065, p=0.025), 수면방해(standardized β=0.086, p=0.005), 수면제 사용(standardized β=0.065, p=0.034)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 론 외로움은 수면문제와 연관성을 보였으며 이는 독거노인의 수면의 질 저하에 외로움이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독거노인의 외로움을 줄이기 위한 개입은 수면의 질을 호전시키고 신체 및 정신 질환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외로움을 예방하고 줄일 수 있는 지역사회 기반의 보건복지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음악치료가 만성정신장애인의 자기표현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Musical Therapeutic Approch for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 김계원;정광조;최애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3호
    • /
    • pp.43-57
    • /
    • 2011
  • Chronic mental-handicapped people are lacking in non-verbal expression such as eye contact, intonation, voice volume, facial expression, and gesture as well as the contents of speech, speak with a monotonous voice, fail to be vivid and clear in voice, and have absence of expression, thereby bringing about difficulty even for social adjustment and about low self-esteem.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iveness for enhancing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by applying music therapy to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The subjects were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who receive rehabilitation service at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nd who have over 10 years in the duration of disease. 1he music therapy activity was progressed with totally 14 sessions during 7 weeks with twice a week. This study confirmed t-test that is verification of difference in the mean,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music therapy in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and researched into qualitative cas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core in self-expression scale, the significant improvement was shown after music therapy compared to before music therapy.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verbal self-expression, phonetic self-expression, and non-verbal self-expression, which are its sub-spheres. Thus, the conclusion was obtained as saying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enhancing self-expression. Second, as a result of score in self-esteem scal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after music therapy compared to before music therapy. Thus, the conclusion was obtained as saying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enhancing self-esteem.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music therapy showed effectiveness of self-expression ability and self-esteem in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at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thereby having been confirmed to be possibly utilized as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social skill ability and the social adjustment of the chronic mental-handicapped.

패킷망에서 NGN을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MPLS망에서 장애 개선을 위한 복구 기법 (A Restoration Method for Improving Fault Recovery in MPLS Networks Routing Protocol)

  • 인치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1B
    • /
    • pp.956-966
    • /
    • 2004
  • 향후 NGN(Next Generation Network)은 패킷 기반의 QoS가 제공되는 네트웍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PLS 네트웍에서의 보다 효율적인 경로 선택에 관한 기법으로 Service interruption time을 줄이는 복구방법을 제안한다. 장애복구의 주요 성능 중의 하나인 복구자원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각 노드들 간의 state information을 fault detector 와 bandwidth broker가 서로 공유하여 장애 발생 시 복구를 위한 message transmission time을 줄였다. 또한 트래픽양의 변화에 따라 망 전체의 필요한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변화시킴으로써 대역폭 사용의 효율성을 개선하였다. 그리고 우선순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MPLS 망에서 우선순위에 따른 트래픽에 대해서도 전체 망에 도메인을 나눔으로써 우선순위가 높은 트래픽에 대한 종단간 복구방법에 대해 효율적인 자원 할당을 하며 낮은 우선순위의 트래픽에 대해서 장애가 발생한 도메인 내에서만 경로 복구를 하여 재설정을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불필요한 메시지의 전달을 줄일 수 있다

일부 대학생의 인식체형, 식행동, 체질량지수 및 섭식장애 경향 (Body Mass Index, Self-recognized Body-type, Eating Habits, and Eating Disorders of College Students)

  • 이승교;송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95-508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ognize the need for diet and nutrition education to correct body-shape and eating habits that lead to eating disorders in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and obesity was confirmed. Approximately 405 (male 46.4%, female 53.6%) students were evaluated by questionnaire in September 2014. The statistical program SAS (ver. 4.3) was used to evaluate the Chi-squared, F and T-value. The correlation between eating disorder risk and eating habits was evaluated by Pearson's correlation. Body type recognition was classified into nine steps up the body fatty (9) to skinny (1) to show their body. Eating disorder risk (KEAT-26) was composed of F1 (attachment factors for weight loss), F2 (attachment factors for binge eating, and food), and F3 (adjustment factor to eating their will. The risk of eating disorders in male 73.4% of low risk, in female 61.3% (p<0.05).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underweight groups recognized in the normal weight (53.7%), normal weight group was in overweight (29.1%) (p<0.001). According to body-type, the overweight group had a higher risk of eating disorders (68.2%). The KEAT-26 showed that the overweight and obese group were high-risk in F1 & F2, while the underweight group was high-risk in F3 (p<0.001). Recognized overweight showed the dangers of eating disorders, proper recognition of body-type and body mass index required. Tendency to seek a balanced diet was associated with eating disorders, no-imposed adequate diet for nutritional education would be made. Proper nutrition education for males is needed depending on the increased incidence of male eating dis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