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hesive tape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8초

종이 기록물 보수용 테이프 점착제 합성 및 열화 안전성 연구 (The Stability of Aging and Synthetic Development of Paper Mending Tape for Conservation of Archive Document)

  • 신종순;이귀복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5-45
    • /
    • 2012
  • Polyacrylate dispersion(emulsion) as adhesive material was superior in quality such as preservation characteristics and reversibility. The tapes for repairing archival documents manufactured with four different types of formulation resulted in pH 7~8.8, soluble solid 50~52%, and viscosity 1,300~2,500 cps. Sample 4 of those was most excellent. Probably, sample 4 included inorganic materials such as MgO, silica gel, and zeolite. For selecting carrier of tape, tracing papers, were applied for manufacturing tapes and tested for adhesive strength and peel strength. Adhesive strength of tracing papers, was 3.1~3.8(N/10mm), 2.2~2.8(N/10mm), and 1.7-2.3(N/10mm), respectively. Peel strength was similar in all samples. To determine characteristic of conservation to the selected carriers, stability of deterioration was examined at conditions of $105^{\circ}C$ and $80^{\circ}C$ 65% for 7 days.

자외선이 차단되는 창문용 점착시트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UV Blocking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Window)

  • 김성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59-564
    • /
    • 2011
  • PVC 기재에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하는 종래의 방법 대신, 점착제에 차단제를 혼합하여, 유리창에 부착하는 창문용 점착시트를 제조 하였다. 무기계차단제와 유기계차단제를 모두 사용 하였으며, 파장 280-400 nm 구간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자외선 차폐성능을 평가하였다. 무기계보다는 유기계차단제의 성능이 우수하였으며, 1%만 첨가하여도 투명도나 점착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대부분의 자외선을 차단하였다.

불소함유 접착테잎의 법랑질 침식 예방효과 (PREVENTIVE EFFECT OF ADHESIVE TAPE SUPPLEMENTED WITH NaF ON ENAMEL EROSION IN VITRO)

  • 이상호;이난영;이인화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2-90
    • /
    • 2010
  • 본 연구는 불소함유 접착테잎의 법랑질 침식 예방효과를 평가하기 위해건강한 소의 치아를 절단하여 아크릴 주형에 매몰하고 정중선에 홈을 형성하여 대조면과 불소 제제를 도포할 실혐면으로 나누었다. 시편을 무작위로 18개씩 4군으로 나누었다. 1군은 APF gel를 도포하고, 2군은 불소 바니쉬를 도포하였으며, 3군과 4군은 5% NaF를 각각 첨가한 methyl cellulose와 poly vinyl alcohol 테잎을 부착하였다. 시편을 콜라에 5분, 증류수에 10분씩 6회 번갈아 처리하며 5일 동안 반복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라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고 5일후 각 시편을 절단하여 침식병소의 깊이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면미세경도 값은 5일째만 제외하고 2군, 3군, 4군의 실험면이 각각의 대조면에 비해 컸다 (p<0.05). 2군, 3군, 4군의 실험면 역시 5일째만 제외하고 1군의 실험면에 비해 표면미세경도가 컸다 (p<0.05). 3군과 4군 사이에는 표면미세 경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1군의 실험면과 대조면은 표면미세경도의 유의차가 없었다(p>0.05). 2. 침식병소의 깊이는 2군, 3군, 4군의 실험면이 각각의 대조면에 비해 컸다(p<0.05). 2군, 3군, 4군의 실험면은 1군의 실험면에 비해 침식병소의 깊이가 얕았다 (p<0.05). 2군, 3군, 4군의 실험면 사이의 침식병소의 깊이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상기 결과로 보아 새로 개발된 불소함유 접착테잎은 기존의 불소 바니쉬와 같은 법랑질 침식 예방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나, 법랑질 침식에 감수성이 높은 어린이 환자에게 임상적인 예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불소를 함유한 PVA 고분자 접착 테잎의 불소 유리 효과 (THE FLUORIDE RELEASING EFFECT OF PVA FLUORIDE-POLYMER ADHESIVE TAPE)

  • 임성옥;이상호;이난영;박승효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7-33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인체 안정성이 입증된 고분자제제인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 vinyl alcohol)로 얇은 박막을 제조하고 NaF을 첨가하여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을 개발하여 피실험자의 구강 내에 도포 후 잔류하는 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불소바니쉬(Cavityshiled$^{TM}$, 0.25 ml, Group 1)와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 Trial product, $1\;cm^2{\times}$ 12개, Group 2)을 각각 10명씩 치과대학 남학생의 치아(상악 12개, 순면)에 도포 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 비자극성 전타액내 불소농도를 불소이온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도포 후 30분과 1시간에서는 1군이 2군보다 높은 타액 내 불소농도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2. 도포 후 2시간, 3시간, 4시간에서 2군이 1군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다(p<0.05). 3. 도포 후 24시간 이후부터는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점탄성 테이프를 적용한 적층형 블레이드 기반 충격저감장치 (Development of Laminated Blade Based Shock Absorber Using Viscoelastic Adhesive Tape )

  • 최재섭;박연혁;오현웅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6-93
    • /
    • 2023
  • 일반적으로 발사체의 페어링, 위성체 및 단 분리와 더불어 위성체의 전개형 구조물 분리 시 높은 신뢰도의 화약폭발 기반 파이로 분리장치가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로부터 발생되는 파이로 충격은 짧은 시간에 높은 진폭의 하중이 발생함으로써, 위성 전장품 등 주요 탑재장비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 손상을 유발하여 임무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이로 구속분리장치의 폭발 시 전달되는 충격하중 저감을 목적으로 저강성 블레이드 기반 충격저감장치를 제안하였다. 설계의 주안점은 저강성 블레이드 적용에 따라 발사진동환경 하 구조건전성 확보에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댐핑 특성 구현이 가능하도록 점탄성 테이프를 이용한 적층형 구조를 적용함에 있다. 상기 충격저감장치의 설계 유효성은 낙하추를 이용한 충격시험을 통해 입증하였으며, 발사진동환경 하 구조건전성은 전개형 구조물 모사 모델을 적용한 하중조건에서의 구조해석을 통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종이 기록물 보수용 안전 테이프의 열화 안정성 연구(I) (수입 및 국내 시제품 물리 화학적 특성 비교) (The Stability of Heat Deterioration of Pressure Sensitive Tapes for Repairing Documents(I)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mported or Manufactured Tapes Repairing Documents))

  • 신종순;유선균;강영립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1
    • /
    • 2010
  •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dhesion power, and conservation of imported tapes repairing documents that consisted of adhesive, carrier, and masking were investigated. Materials related to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oduced in domestic companies were examined also. And the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prototype manufactured in our laboratory was undertaken. Both the pressure sensitive tapes were compared. The polyacrylate of adhesive agents such as polyacrylate, starch, Glue, and PVA of imported tapes was best. The adhesion strength, power, reversibility, and stability (deterioration) of imported tapes were analyzed. By comparing results of imported tapes, two adhesive agents were selected finally. The carriers of imported tapes are made of one of papers, cotton sheets, and felts. Major carrier material was a paper. The jutes, conifers, and hardwoods were main ingredient of papers. The durability of Hangi($18{\pm}2g/m^2$) was one and half times superior to imported one.

신축 가능한 에폭시 베이스 전도성 접착제 개발 (Development of Epoxy Based Stretchable Conductive Adhesive)

  • 남현진;임지연;이창훈;박세훈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9-54
    • /
    • 2020
  • 신축/유연한 전극을 무언가에 접착하거나 전극에 무언가를 접착하기 위해서는 전극의 특성에 맞는 전도성 접착제가 필요하다. 전도성 접착제는 접착성과 전도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접착성 부분은 내구성과 내열성이 요구되며 기존 접착제와 다르게 전도성까지 보유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강도와 접착성이 좋은 에폭시를 접착제로 선정하였고 여기에 기존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2액형 소재가 아닌 가소제와 보강제까지 혼합하여 4액형 소재를 사용하여 신축/유연성을 고분자에 부여하였다. 전도성 필러는 비저항이 낮은 재료인 은으로 선정하였고 높은 전도성을 위해 3가지 모양의 Ag 입자를 사용해 패킹성을 높였다. 이렇게 개발된 전도성 접착제와 실제 판매되고 있는 에폭시 기반 전도성 접착제 2개와 전도성을 비교하였고 실제 판매되고 있는 제품보다 약 10배정도의 우수한 전도성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가소제와 보강제 여부에 따른 전도성, 기계적 특성, 접착력, 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120℃에서 5분 경화 후에 60%의 인장에도 문제가 없었으며 연필경도는 6H로 우수하게 측정되었다. 3M tape test를 통해 전극의 접착력을 확인한 결과 바인더의 배합 비율에 관계없이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전극 위에 Cu sheet를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부착시킨 후 접촉저항을 확인한 결과 0.3 Ω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자동차용 사이드 몰딩과 엠블럼 적용을 위한 UV 경화형 아크릴 점착 테이프의 점착물성 (Adhesion Properties of UV-curable Acrylic PSA Tape for Automotive Sidemolding and Emblem)

  • 박지원;이승우;김현중;원동복;김동복;이강신;우항수;김언아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3호
    • /
    • pp.81-8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조립공정에 적용 할 수 있는 아크릴폼테이프를 합성하기 위하여 UV 중합 및 가교 공정을 도입하였다. 중합된 점착제를 폼에 합지하고 폼의 두께를 변화시켜 가며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기본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stainless steel 표면에서의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peel, dynamic shear and t-block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점착제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외부 요인 - 두께, 젖음시간 - 등에 의해 물성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활용된 아크릴폼점착제의 자동차 공정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플라스틱 피착제에서 물성 측정을 진행하였다. 저표면에너지그룹으로 분류되는 PP와 PE에서는 그 물성이 전혀 발현되지 못했으나 기작 차이에 의해 dynamic shear 시험에서는 일부 물성이 발현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elective Growth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by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Their Field Emission Characteristics

  • Jeong, Se-Jeong;Lee, Seung-Hwan;Lee, Nae-Sung;Han, In-Taek;Kim, Ha-Jin;Kim, Jong-Mi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5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vol.II
    • /
    • pp.1096-1099
    • /
    • 2005
  •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CNTs) grown on catalyst dots by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were vertically aligned with a high population density. Such densely populated CNTs showed poor field emiss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electrical screening effect. We reduced the number density of CNTs using an adhesive tape treatment. For dotpatterned CNTs, the tape treatment decreased the CNT density by three orders of magnitude, drastically improved the turn-on electric field from 4.8 to $1.8V/{\mu}m$, and changed the emission image from spotty to uniform luminescence. We also report long-term emission stability of dot-patterned CNTs by measuring the emission currents with time at different duty ratios.

  • PDF

손톱바닥 치료를 위한 부착형 실리콘 겔 시트의 유용성 (Adhesive Silicone Gel Sheet for Treatment of Nailbed Injury)

  • 김의식;황재하;김광석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107-112
    • /
    • 2006
  • If autogenous nail is lost in nail bed injuries, alternative effective nail bed protection material is questionable in postoperative follow up period. The conventional modality with autogenous nail coverage have several disadvantages such as drawback of maintenance, higher chance of loss and complex dressing step (eg. ointment apply for humidification and nail fixation using tape or bandage). So, we have studied the usefulness of adhesive silicone gel sheet for alternative nail bed protection material until the end of nail regeneration. From March 2003 to July 2004, we have experienced 215 traumatic nail bed injuries except fingertip loss. Among these patient, we classified two groups, 30 cases with autogenous nail protection(Group I) and 30 cases with adhesive silicone gel sheet protection(Group II). Mean full nail growth time was 3.6 months in group I and 3.8 months in group II. Mean final nail appearance score(0: poor, 4: excellent) was 3.0 in group I and 3.5 in group II. Adhesive silicone gel sheet protection(Group II) was slightly superior to the autogenous nail protection in final appearance, especially sterile matrix laceration. In conclusion, we believe that adhesive silicone gel sheet application is a simple, acceptable, alternative method for protecting nail bed with loss of autogenous nail. It has a number of advantages compared with autogenous nail such as better humidification, controllable hygiene, less pain, less hospitalization, less frequent visit, less chance of loss, avoiding complex dressing step and more even pressure with adhesiveness, flexibility and dur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