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ison onl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9초

X 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의 분류, 진단 및 치료의 최신 지견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Recent Advances in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 정을식;고아라;강훈철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1-83
    • /
    • 2016
  •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X-ALD) is caused by mutations in the ATP binding cassette subfamily D member 1 (ABCD1), a gene that encodes peroxisomal membrane located on ABC half-transporter named adrenoleukodystrophy protein (ALDP). X-ALD is characterized by a highly variable clinical spectrum, including progressive cerebral type, adrenomyeloneuropathy, and addison-only phenotype. No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has been established. Thus, unidentified modifier genes and other co-factors are speculated to modulate the phenotypic variation and disease severity. Recent advanced sequencing methods and reprogramming technologies not only offer an affordable and applicable approach to investigate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f adrenoleukodystrophy, but also provide means to develop therapy. A causal therapy of X-ALD is lacking. Lorenzo's oil therapy is recommended for asymptomatic boys, but the longest study found that the oil was not beneficial at all to symptomatic X-ALD patients. Hematopoietic stem cell therapy has a relevant chance of success when performed during this early stage of cerebral type X-ALD. Recently, it has been insisted that lentiviral-mediated gene therapy of hematopoietic stem cells can provide clinical benefits in X-ALD. This review describes current knowledge on the clinical presentation, pathogenesis, diagnosis and management of X- ALD.

색소 과다 침착만으로 조기 발견한 소아 부신백질이영양증 1례

  • 박선형;홍용희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5-199
    • /
    • 2014
  • X 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adrenoleukodystrophy, X-ALD)는 성염색체 Xq28에 위치한 ABCD1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매우 긴 사슬 지방산(saturated very long chain fatty acids, VLCFA) 운반의 장애로 뇌와 척수의 백질과 부신 피질을 포함한 모든 조직에 VLCFA가 쌓이게 되어 중추와 말초 신경 조직 내에 탈수초(demyelination)가 진행되고, 부신 피질의 기능 저하가 나타나게 된다. X-ALD의 임상적 증상은 매우 다양하나, 크게 3가지 표현형으로 나누어 대뇌 부신백질형성 장애(cerebral ALD), 부신 척수 신경병증(adrenomyeloneuropathy), 부신 피질 기능 저하 즉 애디슨병(Addison's disease only ALD)으로 나눌 수 있다2). 부신 피질 기능 저하 증세만을 보이는 Addison's disease only ALD의 경우 주로 2세에서 7.5세에 발생하며, 증세는 구토, 위약, 혼수, ACTH 분비 증가에 따른 색소 과다 침착(hyperpigmentation)으로 나타나고 발생 당시에는 신경학적 증세가 동반되지 않는다. 저자들은 구역, 구토, 탈수, 저혈당 및 저혈압 등의 증상 없이 색소 과다 침착이 부신 피질 기능 저하의 유일한 증세였던 환아를 혈장 VLCFA 검사를 통해 X-ALD로 진단하였고, ABCD1 유전자 분석 검사에서 c.1992-2A>G 변이를 확인하였다. 국내에서 색소 과다 침착만을 보이는 환아가 X-ALD로 진단받은 보고는 찾을 수 없었으며,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은 돌연변이로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X-ALD 환아의 장기적인 예후 예측과 자세한 상담을 위해서 유전자형과 표현형의 상관관계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유전자형에 따른 증상과 예후에 대한 자료가 공유되어야 할 것이다.

X 염색체 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환아들의 임상양상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in Childhood)

  • 유은정;김은영;국훈;우영종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43
    • /
    • 2005
  • 목적 : X 염색체 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은 과산화소체의 지방산 대사 장애로 인하여 포화 장쇄 지방산이 신경계의 수초와 부신 피질에 축적되어 여러 가지 신경학적 증상과 부신 기능 저하를 나타내는 드문 유전 질환이다. 증상의 발현 시기와 임상 경과에 따라 소아 대뇌형, 성인부신척수신경병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나누어 지며 예후도 달라진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광주기독병원 소아과와 전남대병원 소아과에서 부신백질이영양증으로 진단받은 6명과 타병원에서 진단받고 골수 이식을 위해 내원한 7명, 총 13명의 남아들을 최소 1년 이상 추적 관찰하여 임상 경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1. 첫 신경학적 증상은 행동 장애, 청력 저하, 보행 장애, 시력 저하 및 사시 순이었고, 10명에서 ALD 가족력이 있었다. 2. 신경학적 증상의 발현시기, 증상의 진행 정도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소아 대뇌형이 10명, 청소년 대뇌형이 2명, 신경학적 증상과 MRI 병변은 없이 부신 기능의 저하만 있는 "Addison-only"가 1명이었다. 1) 소아 대뇌형의 경우 8명이 사망하였는데 첫 증상 발현 시기는 평균 7.02세, 자연 경과로 첫 증상으로부터 식물 인간 상태에 이르는 기간은 1.35년, 사망에 이르는 기간은 3.35년으로 빠르게 진행하였다. Lorenzo oil을 투여하였던 2명에서 증상은 진행하였고, 제대혈 이식을 시행했던 2례는 질환의 진행과 이식편 대 숙주반응에 의해 사망하였다. 2) 청소년 대뇌형의 첫 증상 발현시기는 11.5세로, 2명 모두 현재 19세, 26세로 생존해 있으나, 1례는 식물 인간 상태이다. 3) "Addison only" 1례는 Lorenzo oil과 steroid를 투여하면서 3년째 증상 없이 지내고 있다. 3. 뇌 MRI에서 양측 두정엽과 후두엽의 백질을 침범한 형태가 대부분(11명)이었고, 청소년대뇌형 1명에서만 내포, 대뇌각과 뇌교를 침범하였다. 4. 진단 당시 부신 기능 저하가 67%에서 있었으며, ACTH만 상승된 형태였다. 결론 : 소아기에 발현한 부신백질이영양증의 경우, 두정엽과 후두엽 백질을 침범한 소아 대뇌형이 대부분이었고, 첫 증상 이후 빠르게 진행하여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인 경과를 보였다. 따라서 가족력이 있는 경우, 많은 구성원에서 장쇄지방산 검사를 시행하여 조기에 무증상 환자를 진단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X 염색체 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에서 Lorenzo Oil의 투여효과 (Lorenzo's Oil Treatment in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 김효정;김은영;우영종;국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1호
    • /
    • pp.1232-1238
    • /
    • 2005
  • 목 적 : X 염색체 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환자에게 단일 불포화지방산의 혼합물인 Lorenzo oil을 투여하였더니 혈중 포화장쇄지방산치가 감소되었다는 보고가 1989년에 있은 이래, 부신백질이영양증을 가진 환자들의 많은 수가 Lorenzo oil을 복용해 왔다. 그러나 실제 투여효과에 대해서 아직까지 완전하게 알려진 바는 없고,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경우는 투여를 해도 진행을 막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저자들은 X 염색체 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 환아들에서 Lorenzo oil의 투여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광주기독병원과 전남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부신백질이영양증으로 진단받고 추적 중인 환아들 중 Lorenzo oil을 적어도 1년 이상 경구 투여하였던 4명의 남아들(소아대뇌형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있었던 2례, 신경학적 증상이 없었던 2례)을 대상으로 하였다. Lorenzo oil 투여 전후의 혈중 포화 장쇄지방산치(C26:0)의 변화, 신경학적 증상 및 뇌 자기공명영상 병변의 진행 등을 조사하였다. 소아대뇌형 2례의 경우는, 같은 시기에 소아대뇌형 ALD로 진단받고 Lorenzo oil을 투여하지 않았던 5례를 대조군으로 하여 임상경과의 진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결 과 : 1) 소아 대뇌형으로 이미 신경학적 증상이 있었던 2례는 Lorenzo oil 투여 후에도 신경학적 증상과 뇌병변의 진행을 보였다. Lorenzo oil 비투여군과 비교시, 증례수가 적어 통계적 비교를 할 수는 없었지만, 투여군에서 신경학적 진행이 느린 것으로 생각되었다. 2) 신경학적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투여했던 2례 중 1례는 5년 후 소아대뇌형으로 진행하였고, 나머지 1례 "Addison only"는 증상 없이 3년째 추적관찰 중이다. 3) 4례 모두에서 진단 당시 증가되었던 포화 장쇄지방산치(C26:0)는 Lorenzo oil 투약 후 감소되어 3례에서는 정상화되었다. 4) Lorenzo oil 투여 중 2례에서 경한 혈소판 감소, 1례에서 경한 간기능치 상승 등의 부작용이 있었다. 결 론 : Lorenzo oil의 투여로 혈중 포화장쇄지방산치는 감소하였으나, 이미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소아 대뇌형의 경우는 임상경과의 진행을 막지 못하였다. 증상이 없는 경우, 투여효과를 판정하는데는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High-flying Notes from a Korean-American Poet: Notes from the Divided Country by Suji Kwock Kim

  • Lee, Il-Hwan
    • 영어영문학
    • /
    • 제57권3호
    • /
    • pp.413-428
    • /
    • 2011
  • Compared with Cathy Song and Myung-Mi Kim, Suji Kwock Kim is yet to be known in Korea, even though she won prestigious American literary awards like the Walt Whitman Award from the Academy of American Poets and the Addison Metcalf Award from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 for her debut book of poems, Notes from the Divided Country. Although she was born and raised in the United States and had little knowledge of Korean at first, she came to recognize her identity and be familiar by and by with Korean history. The knowledge of the facts that Korea had been ravaged by foreign forces and suffered from the Japanese colonization and the Korean War aches her soul, and this soul-aching is aggravated by her ancestors' direct experiences of those Korean historical tragedies. But this book of poems does not contain poems regarding Korean history alone. The first part shows her guilty consciouseness for her brother and sister, who are suggested to be physically abnormal or mentally retarded. The third and fourth parts are filled with poems of very diverse subject matters, tones, and themes. Of those poems, "Monologue for an Onion" is probably most worthy of special attention. It is not only a searing indictment for human folly but also a very intriguing poetic rendering of Nietzschean ultimate lessson. Her achievement in the first book of poems makes us eagerly wait for the second one, which is, reportedly, forthcoming sooner or later.

조기 난소기능 부전증 환자에서 자가면역 질환과의 상관관계 (Association with Autoimmune Disease in Patients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 박준철;김종인;이정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3호
    • /
    • pp.149-154
    • /
    • 2004
  • Objective: To assess the association with autoimmune endocrine diseases and detection rate of autoimmune antibodies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 in patients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Methods: Twenty eight patients with primary or secondary amenorrhea manifesting hormonal and clinical features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primary POF: 7, secondary POF: 21) were investigated. We tested them TFT, 75 g OGTT, ACTH and S-cortisol for thyroiditis, IDDM, Addison's disease, and antithyoglobulin antibody, antimicrosomal antibody, antinuclear antibody, rheumatic factor, anti-smooth muscle antibody, anti-acetylcholine receptor antibody for non-organ specific autoimmune disorders. Results: Only one patient was diagnosed as IDDM and no patients had abnormal TFT or adrenal function test. More than one kind of autoantibody was detected in 11 patients of all (39.2%): 5 patients (71.4%) of primary POF group and 6 patients (21.4%) of secondary POF group. Eleven patients (39.3%) had antithyroglobulin antibody, 4 (14.3%) had antimicrosomal antibody, 2 (7.1%) had antinuclear antibody, 2 (7.1%) had rheumatic factor, 1 (3.6%) had anti-smooth muscle antibody, 1 (3.6%) had anti-acetylcholine receptor antibody. Conclusions: Premature ovarian failure may occur as a component of an autoimmune polyglandular syndrome, so patients should be measured with free thyroxine, thyroid-stimulating hormone, fasting glucose and electrolytes. Measurement of thyroid autoantibodies in POF patients may be important in identifying patients at risk of developing overt hypothyoidism, but other autoantibodies may not be suitable for screening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