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ive modulation

검색결과 400건 처리시간 0.024초

레일리 페이딩 채널에서 MPSK와 MQAM을 이용한 적응적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daptive System Using MPSK and MQAM for Rayleigh Fading Channel)

  • 문재경;김재원;최송인;하영호;김수중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6A호
    • /
    • pp.782-790
    • /
    • 1999
  • 본 논문은 slowly 레일리 페이딩에서 기존의 ATCMPSK(Adaptive Trellis-Coded Multiple Phase Shift Keying) 시스템을 트렐리스 코디드(Trellis-Coded) MQAM(Multiple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을 적용한 적응화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한 적응화 시스템 모델은 채널 상태에 따라서 프래크메틱 부호화기를 사용하여 부호율과 변조 레벨을 가변하였다. 컴퓨터 모의 실험에서는 제안한 ATCMQAM(Adaptive Trellis-Coded MQAM)과 기존의 ATCMPSK(Adaptive Trellis-Coded MPSK) 모델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MQAM을 적용한 시스템이 MPSK를 적용한 시스템에 비해 성능이 비슷할 때, 데이터 출력율면에서 보면 SNR이 증가함에 따라 0.5 ∼ 1비트이상 향상되었다. 또한 코딩 이득 (coding gain)도 2 ∼ 5dB정도 얻을 수 있었다.

  • PDF

STTD 기법을 적용한 적응변조시스템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daptive Modulation System with STTD)

  • 강도욱;강희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411-41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STTD(Space Time Transmit Diversity)를 적용한 적응변조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무선채널 환경에서는 지연파에 의한 ISI(Intersymbol interference)간섭으로 인해 전송 오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ISI간섭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STTD를 적용함으로써 적응변조시스템의 성능개선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STTD를 적용함에 따라 더 낮은 SNR에서도 변조 다치수가 높은 변조 모드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고품질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레일리 페이딩 채널에서 전송 안테나 다이버시티 기법을 적용한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of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with Transmit Diversity in Rayleigh fading Channel)

  • 김인경;김주응;강창언;홍대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73-76
    • /
    • 2001
  • A key requirement for packet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s to provide a high data rate packet service and improved throughput. To achieve a high throughput, adaptive methods for adjustment of the modulation and coding can be us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analyze a scheme which is a combination of an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AMC) and transmit diversity(TD). Two different TD schemes are analysed: STTD and STD. Proposed system provides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verage throughput.

  • PDF

무선 멀티미디어 통신 환경에서 적응변조시스템의 성능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Adaptive Modulation Systems in Wireless Multimedia Communication Environment)

  • 강희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893-89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무선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고속의 전송데이터를 전송할 시스템을 이루기 위해 적응변조 방식을 적용한 Truncated Type-II Hybrid ARQ 방식과 부호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나카가미 페이딩 채널 환경으로 적응변조방식을 해석하였다. 적응변조 시스템은 나카가미 페이딩 지수에 따라서 변조 레벨과 심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Eb/No가 높거나 나카가미 페이딩 지수 m이 높을 경우 이 시스템은 높은 변조 레벨과 높은 심볼율을 선택하여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반대로, Eb/No가 낮을 경우, 전송 성능 감소를 막기 위해 낮은 변조 레벨과 낮은 심볼율을 선택한다. 변조 방법으로는 QPSK, 16QAM, 64QAM, 256QAM 방식을 채용하였다. Truncated Type-II Hybrid ARQ 기법에 의한 적응변조 방식은 실시간 처리 및 고 신뢰도가 요구되는 무선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적응변조 이동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길이와 에너지소비에 따른 적절한 전송방법 (Optimum Transmission Method with Energy Saving and Frame length on the Adaptive Modulation Mobile System)

  • 오의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401-406
    • /
    • 2013
  •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적응변조방식의 변환은 주변 환경을 고려한 변환을 사용하므로, 변환 조건 및 이에 따른 전송량의 변화에 대한 관점에서 다루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에너지 효율이 좋아야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적응방식이 성능을 낮게 할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송효율만을 고려하던 기존방식에서 소비 에너지를 고려하고, 프레임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적응변조방식을 제어하는 최적화 방식을 제안한다.

Decision Feedback 신호의 자기 상관 기반 SNR 추정 방법을 적용한 적응 변조 시스템 (Adaptive Modulation System Using SNR Estimation Method Based on Correlation of Decision Feedback Signal)

  • 김선애;유흥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82-291
    • /
    • 2011
  • 적응 변조(Adaptive Modulation: AM) 방식은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바뀌는 채널의 상태에 적합한 변조 방식을 적응적으로 할당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는 중요한 통신 방식이다. 고정 변조 방식은 시간에 따라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가 변하는 채널에서 BER(Bit Error Rate) 성능이 변한다. 하지만 적응변조 방식은 모든 채널 상태의 SNR에 대하여 일정한 평균 BER 성능을 유지하므로 채널의 상태가 수시로 변하는 통신 환경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정확하고, 빠르게 신호 대 잡음비를 추정할 수 있는 간단한 SNR 추정 방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적응 변조를 위하여 SNR 추정 성능이 적응 변조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평균 BER과 평균 데이터 처리율(throughput)을 통하여 분석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decision feedback 신호의 자기 상관 기반의 SNR 추정 방법 및 기존의 SNR 추정 방법들을 적응 변조시스템에 적용하여 각 변조 레벨 변환 점에서 SNR 추정 성능에 따라 결정되는 적응 변조 시스템의 성능 변화를 확인한다. Decision feedback 신호의 자기 상관 기반 SNR 추정 방법은 M-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신호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추정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적응 변조 시스템에서 다른 SNR 추정 방법들에 비해 변조 레벨 변환 점에서 성능 열화를 줄인다.

적응 등화기를 이용한 적응 OFDM 시스템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daptive OFDM Systems using Adaptive Equalizer)

  • 강희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55-360
    • /
    • 2011
  • 본 논문에서 OFDM 시스템의 성능분석을 Matlab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적응 OFDM 시스템에 채널 추정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멀티미디어 무선통신 다중경로 페이딩 채널환경에서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추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적응 등화기를 적용한 적응 OFDM 시스템의 성능을 BER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채널상태에 따라 가변을 취하는 적응변조 OFDM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에 비해 (BER=$10^{-1}$)를 기준으로 약 7dB 성능의 이득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속 멀티미디어 무선통신 채널환경에서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제안한 적응 시스템이 효율적임을 확인 하였다.

AMC와 MIMO 기법이 결합된 Adaptive-MCM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of an Adaptive-MCM System with Combining AMC and MIMO Schemes)

  • 서창우;조인식;윤길상;이정환;황인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501-50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기법에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법이 결합된 Adaptive-MCM(Modulation, Coding and MIMO) 시스템을 제안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분석한다. AMC 기법은 채널 환경에 따라서 변조방식, 코드율을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전송률과 신뢰도의 향상을 가져온다. 제안된 Adaptive-MCM 시스템은 채널 환경에 따라서 MIMO 기법을 적응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변조방식과 코드율의 조합에 국한된 AMC 기법보다 더욱 향상된 전송률과 에러 성능을 가져 오게 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 분석은 Adaptive-MCM 시스템을 적용한 시스템과 적용하지 않은 시스템의 각 전송률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 수행되었다. 실험결과, Adaptive-MCM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각 MCMS(Modulation, Coding, and MIMO Scheme) 레벨에 해당하는 조합을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나타났던 SNR(Signal to Noise Ratio) 확보와 데이터율 증가 사이의 Trade-Off 관계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평균 데이터율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Feedback Error Quantification in Adaptive Modulation over Fading Channels

  • Choi, Se-Yeo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2호
    • /
    • pp.183-186
    • /
    • 2011
  • In this work, we consider imperfectness of feedback channels in the adaptive transmission scheme which was previously studied with an assumption of error-free feedback channels. New method of mapping the modulation index into the feedback channel symbols and quantifying feedback error over fading channels are proposed. The presented method and results are expected to offer valuable tools for the system designer to efficiently implement adaptive diversity schemes to compensate for the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feedback error.

나카가미 페이딩 환경에서 Truncated Type-II Hybrid ARQ 방식과 최대비 합성 다이버시티 기법에 의한 적응변조방식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daptive Modulation Systems with Truncated Type-II Hybrid ARQ Scheme and MRC Diversity Techniques in Nakagami Fading Environment)

  • 양재훈;강희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810-81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의 전송데이터를 전송할 시스템을 이루기 위해 적응변조 방식을 적용한 Truncated Type-II Hybrid ARQ 방식을 제안했다. 여기서, 나카가미 페이딩 채널 환경으로 적응변조 방식을 해석하였다. 적응변조 시스템은 나카가미 페이딩 지수에 따라서 변조 레벨과 심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E$_{b}$ /N$_{0}$가 높거나 나카가미 페이딩 지수 m이 높을 경우 이 시스템은 높은 변조 레벨과 높은 심볼율을 선택하여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반대로, E$_{b}$ /N$_{0}$rk 낮을 경우, 전송 성능 감소를 막기 위해 낮은 변조 레벨과 낮은 심볼율을 선택한다. 변조 방법으로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 QAM, 256 QAM을 채용하였다. Trucated Type-II Hybrid ARQ 기법에 의한 적응변조 방식은 실시간(delay-limited)처리 및 고신뢰도가 요구되는 이동 통신 및 무선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