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ation, psychological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3초

초혼계모의 재혼가족생활 스트레스와 적응에 대한 경험적 연구 (The Experience of the first-married stepmother's stress and adaptation to her stepfamily)

  • 임춘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73-10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pecific and empirical contents in terms of first-married stepmother about her stress and efforts to adapt to her stepfamily. This studies reli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order to approach stepmother's subjective experience. There were 6 stepmother respondents who were 6 first-marrieds living in Seoul or Kyoungki area. The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personal interview.‘Open coding process’, a part of grounded theory procedures were used to analyzed the data.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hen focused o stressors, the stress of stepmothers were categorized into 4 categories. Those were the following: 1 When focused on stressors, the stress of stepmothers were categorized into 4 categories. Those were the following: (1) Stepmother's own problem such as stepmother' identity problem; (2) Problems within stepfamily such as problems about relations with husbands, stepchildren, and her own children; (3) Problems of stepmother family's kin such as relational problems with former spouses, in-laws, and her parent; (4) Problems of social relationship such as isolation and alienation in social relationship and neighbors' prejudice about stepmother. 2. In overcoming stress from stepfamily life and adapting to it, 4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Contents of 4 categories were such like this: (1) Stepmother's own efforts - (a) give a positive meaning to marriage or remarriage (b) flexible personality (c) situation-accepting attitude (d) exclusive management of household income (e) job (f) perseverance for time to adaptation; (2) Positive feedback within stepfamily - (a) supportive husband (b) sense of unity as a couple (c) psychological reward from stepchildren (d) existence of stepmother's own child (e) behavior for family solidarity (f) family-centered religious life; (3) Stepfamily's relationship with former spouses such as breakdown in relationship with ex-wives or ex-husbands; (4) Support from stepmothers' kin and people in social network with stepmothers. It was concluded that to reduce stress and to help adapt to stepfamily, stepmother should make an effort, and that her stepfamily and her kin should cooperate and support. In addition, negative stereotype of stepmother and stepfamily should disappeared. It was suggested that studies on stepfamily should be vitalized and that programs for preparing remarriage and counseling for stepfamily should be spread.

  • PDF

현대 사회의 저출산에 대한 진화적 분석 (Evolutionary Approaches to Low Fertility in Modern Societies)

  • 전중환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1호
    • /
    • pp.97-110
    • /
    • 2012
  • 19세기부터 현재까지 산업화된 국가들을 중심으로 출산율이 급락하고 있는 전세계적인 현상은 진화적인 관점에서 선뜻 이해하기 어렵다. 왜 자원이 더 풍부해진 현대에 들어서 사람들은 자식수를 자발적으로 줄이는가? 본 논문은 현대의 저출산 현상을 설명하는 다양한 진화적 접근들을 요약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 사회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얻고자 한다. 1) 현대의 극히 낮은 출산율은 수렵-채집 생활에 맞추어진 우리의 심리적 적응이 진화적으로 낯선 환경과 불협화음을 일으킴에 따른 부적응적인 부산물이라는 가설, 2)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이 자녀를 적게 낳는 행동이 전파되거나, 가족 중심의 네트워크가 붕괴하여 출산의 중요성이 덜 강조됨에 따라 저출산이 야기되었다는 유전자-문화 공진화 가설, 그리고 3) 부모가 자녀에게 투자하는 양이 대단히 많이 요구되는 현대의 환경에서 극심한 저출산은 부모의 장기적인 적합도를 최대화하는 적응적인 형질이라는 가설을 차례대로 검토한다. 저출산에 대한 진화적 관점은 저소득층의 출산을 지원하는 정책보다는 모든 사회경제적 계층에서 자녀를 장차 경쟁력 있는 성인으로 키우기 위한 비용을 줄이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PDF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MMTIC for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 김행미;채명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54-965
    • /
    • 2019
  • 본 연구는 저소득층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설계 유사실험 연구이다. J-do, J시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가정 내 초등학생 5~6학년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으며 실험군 28명과 대조군 28명이었으며, 2016년 8월 3일부터 8월 31일까지 주 2회(1회 60분), 10회기 동안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왜도와 첨도, 실수와 백분율, ${\chi}^2$-test, t-test로 분석하였고,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우울 점수는 감소하였다. MMTIC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 향상 및 우울 감소를 통해 정서적 안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성소수자의 성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 메타요약 (Factors influencing the Sexual Identity Formation of Sexual Minorities (LGB) in Korea: A Qualitative Meta-Summary)

  • 표소휘;이슬아;장애경;이준우;이은비;양은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2호
    • /
    • pp.241-27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메타요약 방법론을 활용하여 국내 게이, 레즈비언, 바이섹슈얼 성소수자의 성정체성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본 질적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종합함으로써 이질적인 질적 연구 결과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국내 질적 연구들을 통해 보고된 성소수자의 성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하여 이러한 요인들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는 것은 그들의 내적 경험을 이해하고, 심리적 적응을 돕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질적 메타요약을 통해 국내 질적 연구들이 제시한 게이, 레즈비언, 바이섹슈얼 성소수자들의 성정체성 수용과 통합, 더 나아가 긍정적 정체성 형성에 관여하는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확인하고 체계적으로 요약하고자 하였다. 먼저 학술DB 검색을 통하여 국내에서 2021년까지 발표된 총 9편의 관련 연구물을 확보하였다. 9편의 연구물의 질은 Critical Appraisal Screening Programme을 통해 평가되었다. 분석 결과, 총 179개의 진술문이 추출되었고 관련 진술문들을 축약시킨 결과 34개의 축약진술문이 산출되었다. 34개의 축약 진술문은 성정체성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과 촉진하는 요인,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두 가지 축을 기준으로 크게 성정체성 발달을 촉진하는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성정체성 발달을 저해하는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네 영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논의에서는 영역별 주요 요인을 설명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의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여중생들의 월경력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Menstrual History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Middle School Girls)

  • 송민선;최찬헌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3-260
    • /
    • 2013
  •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strual history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middle school girls. The study included 165 students. Self image, optimism and self-efficacy are measured structured questionnaires each.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test, ANOVA and Scheffe's test. The proportion of the students with bleeding period less than 7 days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high self image(p=.002). The self image was higher in the group who take analgesics occasionally than the group who take daily(p=.009) and in the group with irregular menstruation(p=.024). Emotional tone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irregular menstruation(p=.008), and psychopathology was higher in the group who take analgesics occasionally(p=.008). Family relationship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bleeding period less than 7 days(p=.004), in the group who take analgesics occasionally(p=.007) and in the group with irregular menstruation(p=.015). Mastery and coping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bleeding period less than 7 days(p=.026). Adaptation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irregular menstruation(p=.034). Also optimism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bleeding period less than 7 days(p=.005), in the group who experienced menorrhalgia a few years after menarche(p=.014) and the group with irregular menstruation(p=.027). Self-efficacy was higher in the group of polymenorrhea(p=.029). Because menstruation is related with psychiatric factors, it is necessary to ask menstruation history and psychiatric status.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oriental medical examination.

만성 통증장애의 정신과적 치료 (Psychiatric Treatment of Chronic Pain Disorder)

  • 노승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2호
    • /
    • pp.256-262
    • /
    • 1999
  • 만성 통증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생물정신사회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치료는 다각적이고 포괄적인 체제하에서 상호 긴밀한 협력을 필요로 한다. 치료의 목표는 즉각적인 통증의 해소보다는 재활에 초점을 맞추어 환자의 활동과 기능이 증진됨에 따라 부수적으로 통증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정신과적 영역에서 만성 통증의 치료는 정신의학적 평가로부터 시작하는데 여기에는 스트레스와 연관된 통증의 정신생리적 기전과 이상 질병행동과 관련된 조작적 조건화 기전, 그리고 증상으로서 통증을 동반하거나 만성 통증에 의해서 유발되는 정신과적 질환들에 대한 평가가 포함된다. 정신과적 치료를 약물치료와 심리적 치료로 나눌 때 약물치료에는 마약성 진통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향정신성약물, 항경련제 들이 포함되는데 그 중에서도 항우울제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심리적 치료로는 역동적 정신치료와 행동치료적 방법들이 있고 행동치료적 접근법에는 자가조절기법과 조작적 조건화기법 등이 포함되는데, 환자가 갖는 대인관계의 어려움, 신체적 손상, 이상 질병행동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적용하게 된다.

  • PDF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 학업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Conflicts, Academic Stress Cop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mong Male Nursing Students)

  • 전해옥;염은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796-80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간호대학생의 성역할 갈등, 학업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소재의 4년제 간호학과 6곳에 재학 중인 남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 1일부터 6월 4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 대처(${\beta}=0.33$, p<.001)가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변수로, 남자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약 22%설명하였다. 또한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성역할 갈등, 동아리 활동 순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전체 변수는 대학생활 적응에 대해 약 3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23.50, p<.001). 그러므로 남자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처능력 강화와 성역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수, 선후배로 구성된 사회적 지지망 구축이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을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노령화에 대한 애도 - 영화 '수상한 그녀'의 정신분석학적 탐색- (Grief about Aging - Psychoanalytic search of the movie 'Miss Granny'-)

  • 조창운;이현심;이창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51-358
    • /
    • 2017
  • 본 연구는 영화 '수상한 그녀'에서 노령화에 대한 애도의 과정을 융 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영화의 내용을 반복적으로 탐색하면서 주인공이 노화과정에서 나타난 노년의 상실감을 애도의 과정으로 해석하면서 정신분석학적으로 탐색하였다. 즉 노화 과정을 인생의 재해석 과정과 향후 삶에 대한 발달적 태도 변화를 애도의 심리세계로 정신분석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의 애도과정은 '상실과 결핍' ${\rightarrow}$ '도피와 퇴행' ${\rightarrow}$ '탈동일시와 탈집중' ${\rightarrow}$ '새로운 현실 적응'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의하여 상담자는 내담자의 애도작업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도록 심리적 애도환경 조성에 주력해야 할 뿐 아니라, 내담자의 애도능력 향상을 위한 복합적 상담기법을 구사할 수 있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Perception, Attitudes, Preparedness and Experience of Chemotherapy-Induced Alopecia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a Qualitative Study

  • Kim, Im-Ryung;Cho, Ju-Hee;Choi, Eun-Kyung;Kwon, In-Gak;Sung, Young-Hee;Lee, Jeong-Eon;Nam, Seok-Jin;Yang, Jung-Hy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383-1388
    • /
    • 2012
  • Objectives: Regardless of its nega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little is known about the importance of alopecia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whole experience of chemotherapy-induced alopecia among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including perception, attitudes, preparedness, and changes after alopecia. Methods: Patients expected to experience or had experienced alopecia were recruited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in 21 patients. Recurrent issues were identified and placed into thematic categories. Results: All patients think that appearance is important and they pay attention to how they look like. They had negative perceptions about alopecia. Patients were not well prepared for alopecia, and experienced substantial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istress. Lack of information and limited social support combined with negative images of cancer made it difficult for patients to overcome the trauma and deterred them from usual daily activities resulting in poor quality of life. Conclusions: Patients were not well prepared for alopecia and negative perceptions, lack of preparedness, and limited social support and resources increased alopecia-related distress. Educational programs for preparing patients to cope with alopecia distress and advocate activities to change people's negative perception about alopecia are needed to reduce the burden imposed by alopecia in cancer patients.

상담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정신건강과 심리·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분석 (The Effects of Consultation Program upon the Mental Health of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Psychological·Social Factors)

  • 유해선;변상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11-2519
    • /
    • 2015
  •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30명씩 선정하였고, SPSS 20.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동질성검사와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우울 수준,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상담프로그램이 가정폭력피해 여성들의 심리사회적 요인을 긍정적으로 향상시켰으며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만족도와 갈등대처방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 등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대 후유증에서 벗어나 심리사회 적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